[i-point]시노펙스, 국산 혈액투석 필터 치료적용 개시부산 투석 전문병원 1호 환자 배출, 외산 의존 시장 대체 가속도
조영갑 기자공개 2024-08-16 09:58:48
이 기사는 2024년 08월 16일 09시5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시노펙스가 개발한 국산 인공신장기용 혈액여과기로 혈액투석 전문 병원에서 환자의 혈액 투석이 시작됐다.시노펙스는 14일 부산 동구 범일동에 위치한 혈액투석 전문병원(범일연세내과)에서 시노펙스 인공신장기용 혈액여과기 2개 모델(모델명 : Synoflux 160H, 200H)를 이용해 2명의 환자치료를 위한 혈액투석이 진행됐다고 밝혔다. 지속적으로 사용 환자를 늘려나간다는 방침이다.
이번 국산 혈액여과기의 치료 적용으로 1965년 국내에 혈액투석 기술이 도입된 후 59년간 전량 해외 수입에 의존해 왔던 인공 신장기용 혈액여과기(혈액투석 필터)의 기술독립에 성공했다는 평가다.
시노펙스는 "이번 혈액투석은 임상이 아닌 병원에서 일반 환자를 대상으로 혈액투석을 한 것으로 국산 인공신장기용 혈액여과기 시대가 시작됐다는 의미"라고 밝혔다.

이날 혈액투석 치료를 진행한 혈액투석전문의 이동형 원장은(대한혈액투석협회, 대한신장학회이사) "재택혈액투석 연구회를 통해 국책과제로 진행되는 시노펙스의 인공신장기용 혈액여과기뿐만 아니라 CRRT, HD 등 제품개발 과정을 지켜보았기 때문에 품질과 기술력 대한 신뢰가 있었고, 국산 1호 제품을 제일 먼저 사용해 보고 싶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국산 1호 제품의 치료 대상자는 기존 일본 제품을 사용해 혈액투석을 했던 여성환자로, 시노펙스 고유량 모델인 Synoflux 160H 제품을 사용해 특별한 임상적 문제 없이 혈액투석이 잘 진행했으며 환자도 기존에 받던 혈액투석과의 차이를 못느꼈다고 전했다"고 덧붙였다.
이 원장은 "지난 10여년 간 혈액투석 환자가 약 2배 정도 증가했으며, 코로나 시기에는 원자재의 수급이 원할 하지 못해 불편을 겪은 적도 있었기 때문에 의료제품의 국산화는 보건의료 안정화 측면에서 꼭 필요하다"면서 "1조4000억~1조5000억원 수준의 국내 혈액투석 시장에서 국산화는 국가 의료재정 개선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이진태 시노펙스 인공신장기 사업본부장은 "이미 식약처에서 품목허가를 받아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는 제품이지만 이번 글로벌 공급사 제품을 대체한 치료를 통해 성능이나 안전성 등 품질의 차이가 없음을 확인, 자신감을 갖고 적극적인 마케팅을 통해 국내 각 지역별 혈액투석 전문병원을 대상으로 거점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존 해외 수입제품의 경우 2종에서 4종이지만 시노펙스는 10개의 모델을 출시해 환자의 상태에 적합한 제품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혈액투석 진료 수준 향상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혈액투석 등 인공신장기 분야는 멤브레인 필터 소재기술과 IT기술이 모두 필요한 산업이다. 시노펙스는 멤브레인 필터 소재기술과 FPCB기반 IT기술을 동시에 확보한 기업으로 지속적인 경쟁력 강화를 통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Company Watch]1년만에 IR 무대 선 세아메카닉스, ESS 부품 수주 예고
- 휴온스랩, 92억 투자 유치…반년만에 밸류 두배 껑충
- [HB그룹은 지금]알짜빌딩에 세종 신사옥까지, 그룹 안전판 '부동산'
- [코스닥 유망섹터 지도]'보냉재 강자' 동성화인텍, 시장확대 수혜 전망
- [Company Watch]한중엔시에스, 미국 생산거점 확보 나선다
- [VC 투자기업]달바글로벌 주주, 화장품 할인 받는다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에이벤처스, 'Co-GP' 몰린 스케일업서 승기 잡을까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출자 감소' 사이버보안, 린벤처스 2연속 도전 눈길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단독 출사표' 인피니툼, 스포츠산업 무혈입성할까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국토교통혁신 분야, '비하이인베' 주목받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