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상장사 매물 분석]CNH 최대주주, 의견거절 직전 '지분매각 추진'감사보고서 발표 전 이례적 행보, 지분 2100만주 처분 '현금화'
양귀남 기자공개 2024-08-21 08:50:19
[편집자주]
코스닥 상장사는 인수합병(M&A) 시장에 수시로 등장한다. 사업 시너지 창출을 위해 원매자를 자처하는 곳이 있는가 하면 경영악화로 인해 매각 대상이 되는 경우도 있다. 상황에 따라 연간 수차례 손바뀜이 일어나는 곳도 더러 있다. M&A를 통해 한단계 올라서거나 아예 회생불가능한 상황에 처하는 등 사례는 각양각색이다. 더벨이 매물로 출회된 코스닥 상장사의 기회 요인과 리스크를 함께 짚어본다.
이 기사는 2024년 08월 20일 12시4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CNH가 반기 감사 보고서에서 의견 거절을 받기 직전 최대주주는 지분을 상당 부분 매각하며 현금을 챙겼다. 최대주주는 경영권 매각을 추진하면서 계약금 수령과 동시에 지분을 조금씩 털어냈다. 일각에서는 내부 사정에 밝은 최대주주가 감사 결과를 예상하고 지분을 팔았다는 의혹도 제기하고 있다.2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CNH는 2024년도 반기 감사보고서에 대해 의견거절을 받았다. 외부감사인은 계속기업 가정이 불확실하고 주요 검토절차에 제약이 있었다고 밝혔다.
특히 CNH가 CNH캐피탈의 경영정상화를 위해 채권금융기관과 채무조정 협약을 체결했지만 채무조정협약 이행조건을 불이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추가로 리스자산의 부실화로 서브리스차입금 상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덧붙였다.

CNH가 의견거절을 받기 직전 최대주주인 그래닛홀딩스는 지분을 상당수 매각했다. 불과 두 달 전까지만 해도 2500만주 이상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지난 16일 기준 370만주까지 지분이 축소됐다. 지분율도 67%대였지만 10%대까지 감소했다.
그래닛홀딩스는 지난 6월 경영권 매각을 추진했다. 보유주식 전부를 블루문홀딩스, 지담투자조합, 익스체인지에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은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았다. 당시 양수인의 계약금 확인이 불가하고 경영지배인이 인사권을 남용했다는 이유로 계약을 해제했다.
계약금 80억원에 대한 지분은 넘기면서 일부 지분을 털어낼 수 있었다. 계약 해제 이후에 또다시 재빠르게 원매자를 구했다. 사실상 같은 조건으로 다른 주체들에게 지분을 넘길 예정이었다. 계약체결일 부터 잔금 납입일 까지 2주가 채 걸리지 않아 속전속결로 계약을 진행할 계획이었다.
이번에는 주가 하락이 문제가 됐다. CNH 주가는 전일(19일)까지 나흘 연속 하한가를 기록했다. 주가가 구주 가격 아래로 내려가면서 사실상 계약이 성사되기 힘든 상황이 됐다. 다만 이 과정에서 그래닛홀딩스는 계약금과 중도금 100억원에 대한 지분을 넘기면서 또다시 지분을 일부 처리할 수 있었다. 그래닛홀딩스는 두번의 구주 양수도 계약을 통해 지분을 매각해 180억원을 현금화했다.
일각에서는 그래닛홀딩스가 CNH의 어려운 사정을 알고 지분을 매각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구주 양수도 계약이 취소된 이후에 서둘러 또다시 계약을 맺었다는 점, 계약금을 많이 받으면서 우선적으로 지분을 넘겼다는 점이 해당 의혹에 무게를 싣고 있다.
통상적으로 구주 양수도 계약은 계약금을 적게 받고 잔금 납입이 완료되면 주식을 전부 인도하는 방식이 많이 쓰이곤 한다. 그래닛홀딩스의 경우에는 300억원 계약에 80억원 계약금을 받았고, 220억원 계약에 100억원의 계약금을 받았다. 동시에 주식을 양수 주체들에게 인도했다.
그래닛홀딩스는 지분 매각에 이어 반대매매를 맞았다. CNH 지분을 담보로 맡기고 받은 대출에 대한 담보권이 주가하락에 따라 실행됐다. 두 차례 구주 양수도 계약을 통해 수령한 계약금으로 대출을 전부 상환할 수 있었지만, 적극적으로 상환에 나서지 않았다.
결국 그래닛홀딩스는 의견거절 이후 가치가 바닥을 칠 수 있는 주식을 타이밍 좋게 팔았다. 두 달 사이에 재빠르게 약 2100만주를 처분하면서 시장에서는 원성이 높아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더벨은 이날 CNH 관계자에게 최대주주 지분 처분 관련 질문을 하기 위해 수차례 연락을 취했지만 연락이 닿지 않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NPL 자금조달 리포트]대신F&I, 공격적 투자에 단기조달 확대…NPL 매입 '적기 대응'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1위 저축은행 PBR 0.95배, 상상인그룹은 '난색'
- [Policy Radar]금융당국, SKT 사태 '비상대응본부' 구성
- [은행경영분석]농협금융, 예대업 약화…낮아진 비은행 기여도 '설상가상'
- [여전사경영분석]우리금융캐피탈, 대손비용 부담 확대로 실적 개선 제동
- [금융 人사이드]캠코 사장 단독후보에 정정훈 전 세제실장…'자본확충' 첫 시험대
- [은행경영분석]제주은행, 90% 넘는 지역 의존도…가파른 연체율 상승세
- [은행경영분석]BNK금융, 건전성 지표 저하 '밸류업 복병' 부상
- [금융사 KPI 점검/하나은행]본사 정책 평가 강화, '건전성·손님만족' 항목 힘줬다
- [Policy Radar]보험업법 규제 기준 킥스비율 130%로 낮아진다
양귀남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코스닥 유망섹터 지도]'보냉재 강자' 동성화인텍, 시장확대 수혜 전망
- [i-point]채비, 서울시 전기버스 충전 인프라 확대 사업자 선정
- [코스닥 유망섹터 지도]'육상·해양 만능' 우양에이치씨, 수출 중심 구조 '눈길'
- [지배구조 분석]지니틱스 최대주주 경영권 분쟁 소송, 내부 갈등 격화
- [코스닥 오버행 리스크 체크]옵티코어, 주가반등하자 CB 투자 엑시트 '우르르'
- [코스닥 신사업 '옥석가리기']매각 급한 다보링크, 폐배터리 미래 먹거리 '글쎄'
- [코스닥 유망섹터 지도]'1조 수주' 비에이치아이, HRSG 글로벌 공급 부각
- [코스닥 유망섹터 지도]미국발 훈풍, 국내 LNG 플레이어 수혜 '부각'
- [i-point]인크레더블버즈, '수네스코'로 스킨부스터 시장 공략
- [i-point]메디에이지, 구강검진 결과 모바일 전송서비스 론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