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oint]투비소프트, '넥사보드' 시연회 개최다양한 산업군 적용 가능, AI 제품 개발로 글로벌 시장 출
양귀남 기자공개 2024-08-30 12:54:33
이 기사는 2024년 08월 30일 12시5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투비소프트는 30일 IT업계 관계자들과 '넥사보드' 데모 시연회를 열고 제품을 소개했다고 밝혔다. 이번 넥사보드 데모 시연회는 투비소프트 이다운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사장과 이우철 미래기술연구소장(부사장)의 대담 형식으로 꾸며졌다.넥사보드는 투비소프트가 구축 중인 'LAB' 제품 라인업 중 첫번째 제품이다. LAB은 Leading AX Booster(AI 전환을 이끄는 부스터)의 약자로, AI 기반의 다양한 솔루션으로 기업들의 AX(AI 전환)를 지원하고, 시스템통합(SI) 분야 혁신을 주도하기 위해 투비소프트가 새롭게 정의한 제품군이다.
넥사보드는 간단한 음성 명령만으로 원하는 형태의 LLM(대규모 언어 모델) 기반 대시보드 화면을 보여주고, 상세한 데이터 분석결과와 이를 통한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솔루션이다. 넥사보드에 내장된 AI 기반 언어모델이 사용자 요청(음성)을 분석해 적합한 데이터와 뷰 템플릿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차트 솔루션으로 만들어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대표적으로 넥사보드는 △제품 생산라인 모니터링 △실시간 교통상황 모니터링 △대기오염 수준 실시간 분석 △금융 이상 거래 탐지 및 자동 알림 기능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활용 가능하다.
투비소프트는 향후 LAB 비전과 개발 로드맵도 공개했다. 'Accelerating Your AI Journey with Seamless UI/UX'이라는 슬로건 아래, 넥사크로의 UI 빌더 기술을 기반으로 AI 기능을 접목해 기업들의 AX를 선도적으로 지원하고, 신규 AI 제품을 개발해 글로벌시장으로 진출한다는 목표다.
이다운 투비소프트 사장은 "국내 UI/UX 시장에서의 독보적인 경쟁력을 기반으로 AI 시대에 맞춘 'LAB'이라는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했다"며 "국내외 AI와 UI/UX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투비소프트가 심혈을 기울여 선보인 첫 번째 솔루션 '넥사보드'에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고 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NPL 자금조달 리포트]대신F&I, 공격적 투자에 단기조달 확대…NPL 매입 '적기 대응'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1위 저축은행 PBR 0.95배, 상상인그룹은 '난색'
- [Policy Radar]금융당국, SKT 사태 '비상대응본부' 구성
- [은행경영분석]농협금융, 예대업 약화…낮아진 비은행 기여도 '설상가상'
- [여전사경영분석]우리금융캐피탈, 대손비용 부담 확대로 실적 개선 제동
- [금융 人사이드]캠코 사장 단독후보에 정정훈 전 세제실장…'자본확충' 첫 시험대
- [은행경영분석]제주은행, 90% 넘는 지역 의존도…가파른 연체율 상승세
- [은행경영분석]BNK금융, 건전성 지표 저하 '밸류업 복병' 부상
- [금융사 KPI 점검/하나은행]본사 정책 평가 강화, '건전성·손님만족' 항목 힘줬다
- [Policy Radar]보험업법 규제 기준 킥스비율 130%로 낮아진다
양귀남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코스닥 유망섹터 지도]'보냉재 강자' 동성화인텍, 시장확대 수혜 전망
- [i-point]채비, 서울시 전기버스 충전 인프라 확대 사업자 선정
- [코스닥 유망섹터 지도]'육상·해양 만능' 우양에이치씨, 수출 중심 구조 '눈길'
- [지배구조 분석]지니틱스 최대주주 경영권 분쟁 소송, 내부 갈등 격화
- [코스닥 오버행 리스크 체크]옵티코어, 주가반등하자 CB 투자 엑시트 '우르르'
- [코스닥 신사업 '옥석가리기']매각 급한 다보링크, 폐배터리 미래 먹거리 '글쎄'
- [코스닥 유망섹터 지도]'1조 수주' 비에이치아이, HRSG 글로벌 공급 부각
- [코스닥 유망섹터 지도]미국발 훈풍, 국내 LNG 플레이어 수혜 '부각'
- [i-point]인크레더블버즈, '수네스코'로 스킨부스터 시장 공략
- [i-point]메디에이지, 구강검진 결과 모바일 전송서비스 론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