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로 진격하는 K-스타트업]스테이지랩스, 일본 법인 설립…든든한 파트너도 확보②도쿄 시부야구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 선정…글로벌 아티스트 IP 확장 추진
이영아 기자공개 2024-11-19 09:30:21
[편집자주]
K-팝, K-드라마, K-푸드에 이어 K-스타트업도 글로벌 시장에서 통할까. K-스타트업이 탄탄한 기술력과 섬세한 기획력을 바탕으로 미국, 일본 등 기존 해외시장뿐만 아니라 중동, 동남아, 남미 등 신시장 개척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가 한국산 '글로벌 유니콘 기업'이 탄생할 수 있도록 지휘봉을 잡았고, 주요 LP 및 벤처캐피탈도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을 적극 장려하고 있다. 더벨은 한국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 도전장을 던진 스타트업의 미래 청사진과 향후 성장 전략을 조명해본다.
이 기사는 2024년 11월 15일 15시2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엔터테크 스타트업 스테이지랩스가 일본 시장 공략에 본격 나선다. 올해 하반기 현지 법인 설립을 마무리하면서 활동 기반을 마련했다. 자체 개발한 아티스트 팬덤 플랫폼 '링크(LiNC)'를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할 계획이다. 일본 아티스트의 플랫폼 입점도 진행하고 있다.일본 시장을 공략하는 배경은 두 가지이다. 일본은 전세계 손꼽히는 음악 시장 규모를 갖췄을뿐더러 한국 콘텐츠 소비층 또한 탄탄하다. 회사 측은 내년 플랫폼 거래액 20억원을 달성하고 중장기적으로 300여개 아티스트 지식재산권(IP)을 확보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아티스트·팬덤 플랫폼 '링크' 개발…글로벌 진출 시동
스테이지랩스는 2016년 설립됐다. 주력 서비스는 아티스트 팬덤 플랫폼 '링크'이다. 링크는 △프라이빗 메시지 △1대1 영상통화 △인터렉티브 라이브 등 세 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아티스트는 팬들과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실시간 영상통화와 소통 라이브를 진행할 수 있다.
스테이지랩스가 링크 개발에 착수한 것은 지난 2023년이다. 기존에 운영하고 있었던 글로벌 라이브스트리밍 플랫폼 '프레젠티드 라이브'(Presented LIVE)를 리뉴얼해 링크의 베타(시범) 서비스를 만들었다. 이후 기능 고도화를 거듭해 올해 9월 정식 서비스를 출시했다.
회사는 링크를 중심으로 글로벌 진출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당장 주력하는 시장은 일본이다. 스테이지랩스에 따르면 플랫폼 누적 매출액의 89.37%가 일본에서 발생한다. 백명현 스테이지랩스 대표는 "콘텐츠 유료 소비 문화가 정착한 것이 일본 시장의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전세계에서 손꼽히는 시장 규모를 갖춘 것도 장점이다. 글로벌 컨설팅업체 프라이스워터하우스(PwC)가 발표한 글로벌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전망에 따르면 일본 음악 시장 규모는 2025년 75억9600만달러(약 10조6000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미국에 이어 전세계 2위 규모다.
스테이지랩스 플랫폼 이용자는 1200만명에 달한다. 이중 일본이 차지하는 비중은 12.86% 수준이다. 백 대표는 "한국 문화 선호도가 높은 일본은 가장 중요한 전략적 시장"이라며 "동남아시아 등 다른 국가와 비교했을 때 객단가가 상대적으로 높다"고 설명했다.

◇도쿄 시부야구 지원 받아 현지 진출…IP 확보 주력
스테이지랩스는 최근 일본 법인 설립 절차를 마무리했다. 현지 법인에서 일본인 직원을 채용하고 내년부터 본격 시장 공략에 나설 계획이다. 백명현 대표가 유년시절을 일본에서 보내면서 현지 언어와 문화에 익숙하다는 것도 장점이다.
든든한 파트너도 확보한 상태다. 지난해 '업 바이 시부야 스타트업 서포트' 프로그램에 선정되는 성과가 있었다. 해당 프로그램은 글로벌 스타트업의 일본 진출을 지원하는 민관 협력기관인 '시부야 스타트업 서포트'가 주관한다.
시부야 스타트업 서포트는 민관 출자를 바탕으로 설립된 기관이다. 구체적으로 △도쿄 시부야구 △일본 도쿄 전철을 비롯해 부동산, 호텔, 백화점 등의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 '도큐' △일본 대표 정보기술(IT)기업 'GMO인터넷그룹' 등이 출자했다.
백 대표는 "시부야구와 연계해 비자 발급에서부터 법인 설립, 사무공간, 사업전략, 파트너십, 실증, 채용, 홍보 등 안정적 현지 사업 진행을 위한 필수적 업무들을 지원해준다"며 "해당 프로그램에 선정된 국내 스타트업은 2곳(스테이지랩스, 뉴빌리티)뿐"이라고 말했다.
오랜 시장 조사와 플랫폼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빠른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자신감도 붙은 상태다. 스테이지랩스는 내년 플랫폼 거래액 20억원을 올리겠다는 목표치를 제시했다. J팝 가수, 배우, 스포츠 스타 등 다양한 분야의 아티스트 입점도 확대할 계획이다.
백 대표는 "아티스트 IP를 빠르게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300~500여개 IP를 입점시켜 플랫폼 확장을 이뤄낼 것"이라고 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SBI홀딩스, '경제적 권리' 70% 합의…실속 챙겼다
- [KT 리빌딩]멈춰선 계열사 늘리기, 이제는 내실 다지기 '집중'
- [i-point]크라우드웍스, '인력양성바우처 지원사업' 공급
- GS칼텍스·현대백 회사채 최저금리…'크레딧 안정성' 부각
- [i-point]큐브엔터, 소속 걸그룹 '아이들' 컴백 확정
- [NPL 자금조달 리포트]대신F&I, 공격적 투자에 단기조달 확대…NPL 매입 '적기 대응'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1위 저축은행 PBR 0.95배, 상상인그룹은 '난색'
- [Policy Radar]금융당국, SKT 사태 '비상대응본부' 구성
- [은행경영분석]농협금융, 예대업 약화…낮아진 비은행 기여도 '설상가상'
- [여전사경영분석]우리금융캐피탈, 대손비용 부담 확대로 실적 개선 제동
이영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에이벤처스, 'Co-GP' 몰린 스케일업서 승기 잡을까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AC 리그' 스포츠출발, AC패스파인더 2년 연속 GP?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플래티넘, '뉴스페이스 클러스터' 육성 강점 뽐낼까
- 대전투자금융, 모펀드 조성 속도…LP 모집 총력
- '퓨리오사AI·에이블리' 합류, 벤기협 외연확장 안간힘
- K-AI 스타트업, 연이은 글로벌 스포트라이트
- [VC 투자기업]'K패션 플랫폼' 메디쿼터스, 매출 2000억 돌파
- '에이피알 잭팟' 신한벤처, 딥테크 회수 풍년올까
- [VC 투자기업]순이엔티, 영업손실에도 '커머스' 확대 의지
- [thebell interview]"서울창경, 직접투자 확대…AUM 300억 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