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M 컨퍼런스 2025]미국 찍고 브라질로…윤성태 휴온스 회장의 글로벌 행보JPM 행사 4일차까지 발표 청취, 트렌드 파악…곧바로 휴메딕스 브라질 사업 점검
이기욱 기자공개 2025-01-22 08:19:11
이 기사는 2025년 01월 21일 14시4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윤성태 휴온스그룹 회장(사진)이 분주한 신년 행보로 글로벌을 찍었다. JP모간 헬스케어 컨퍼런스 참관을 위해 미국을 방문한 후 곧장 브라질 출장 일정까지 소화하고 있다.JP모간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는 행사 마지막 날인 4일차까지 자리를 지키며 다양한 분야의 발표를 듣고 글로벌 트렌드를 파악했다. 이번 주에는 브라질에서 자회사 휴메딕스의 현지 수출 사업을 점검할 예정이다.
윤 회장은 미국 현지시간 이달 13일부터 16일까지 열린 JP모간 헬스케어 컨퍼런스 행사장에 모습을 드러냈다. 휴온스는 이번 행사 참가 사실을 별도로 외부에 알리지 않았고 윤 회장과 이영선 휴온스랩 바이오연구소 최고비즈니스책임자(CBO) 전무 등이 참석해 일정을 챙겼다.

윤 회장은 상대적으로 관심도가 떨어지는 행사 4일차까지 행사장을 방문해 기업들의 발표를 듣고 공부하는 모습을 보였다.
윤 회장은 옛 광명제약의 창업주 고 윤명용 회장의 외아들이다. 지주회사 휴온스글로벌의 지분 43.84%를 갖고 있는 최대주주다. 그룹 오너가 직접 다른 기업들의 발표를 찾아다니며 업계 트렌드를 파악하는 것은 흔치 않은 일이다.
그는 JP모간 헬스케어 컨퍼런스 행사장 내부에서 더벨과 만나 "특정 분야를 정해놓지는 않고 다양하게 들으며 공부하는 중"이라며 "올해 행사의 트렌드는 ADC와 비만치료제였던 것 같다"고 말했다.
윤 회장은 행사 종료 이후에도 귀국하지 않고 곧장 또 다른 해외 일정을 소화 중이다. 미국에서 브라질로 이동해 이번 주까지 업무를 보고 주말쯤 귀국할 예정이다.
브라질 출장은 자회사 휴메딕스 사업 관련 업무로 파악된다. 휴메딕스는 필러와 보툴리늄 톡신, 화장품 등 미용의료 제품을 취급하는 계열사다. 2022년부터 브라질 시장에 진출해 주요 수익원으로 육성 중이다.
작년 3분기 기준 휴메딕스의 해외수출 매출은 273억원으로 이중 36%가 브라질에서 발생했다. 59%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 시장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휴온스글로벌 관계자는 "회장의 자세한 출장 업무 및 일정 등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자회사 휴메딕스 사업 관련해서 브라질 방문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 '빅딜 주역 라노바까지' 지아이이노의 인맥, ADC 파트너로
- 온코닉 CFO의 '신약 마케팅' P-CAB 다음 네수파립까지
- 아리바이오 치매약 임상 총괄 '美지사' "복약 편의성 핵심"
- 'K-뷰티' 알린 휴젤·클래시스, 공통 과제는 '글로벌 확장'
- 브릿지바이오, IPF 연내 성과 자신 'L/O-M&A' 선순환 예고
- 에이비엘바이오 "우시 동행 지속, 미국법인 세팅 막바지"
- 롯데바이오, 캐파경쟁 'NO' 차별화 전략으로 "연내 수주"
- 암젠·화이자 본격 참전, 불붙는 글로벌 비만약 전쟁
- CEO·CFO 함께 뛴 에이비온 "목표는 바바메킵 연내 L/O"
- 삼성바이오로직스 미래 'ADC', 빅파마 17곳 잠재고객 부상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비상경영체 돌입' SKT, 유심 사태 수습 '총력전'
- 위메이드 "위믹스 해킹 늑장공시 아니야…DAXA 기준 불분명"
- [Market Watch]DN솔루션즈 이어 롯데글로벌까지, 대형 IPO '휘청'
- [롯데글로벌로지스 IPO]흥행 실패 우려, 결국 상장 철회로 귀결
- [AACR 2025]제이인츠 'JIN-001', 독성 최소화한 '저농도' 효능 입증
- [Financial Index/SK그룹]주가상승률 50% 상회, SK스퀘어 'TSR' 그룹내 최고
- 금호타이어, 분기 '최대 매출'…영업이익은 '주춤'
- 유지한 SKC CFO "트럼프 관세, 위기보다 기회"
- [i-point]신테카바이오, 'K-BioX 글로벌 SUMMIT 6' 참여
- 간추려진 대명소노그룹 선택지, '티웨이'에 집중
이기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카카오헬스, 300억 유증의 의미 '그룹 신성장' 위상 굳히기
- [바이오 스톡 오해와 진실]보로노이 'VRN11' 임상 데이터 이견, 핵심은 약 없는 'C797S'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JW중외제약, 빈혈 치료제는 지연…기대되는 '통풍 신약'
- 제테마, 필러 중국서 '첫 발'…차별화는 '안전성·고급화'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신약 안보는 동국제약, 제네릭 잇는 '의료기기' 사업
- 존재감 키우는 에이아이트릭스, 시장 데뷔 2년 '100억' 매출
- 롯데바이오, 솔루플렉스 무기 갖춘 ADC '첫 수주' 결실
- [차바이오텍 유상증자 용처 분석]'차헬스' 1순위 배경, 지연된 병동 신축 '2600억' 상환 압박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녹십자, 600억 알리글로 상각 시작…공백 메울 넥스트 부재
- 일반상장 타깃 덱스레보, '액상 PCL' 국내 진출 준비 '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