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CB로 영화 제작 자금 확보 '콘텐츠 경쟁력 강화' 코파펀드 조성 이어 추가 자금 조달…투자금 마련 속도
이지혜 기자공개 2025-03-05 07:46:18
이 기사는 2025년 03월 04일 16시0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이하 NEW)가 125억원 규모로 전환사채(CB)를 발행한다. 조달한 자금은 영화 제작 등에 투입한다. 올 들어 자금 조달에 고삐를 바짝 죄는 모습이다. NEW는 현재 한국교통자산운용(KOTAM)과 함께 콘텐츠 코파펀드도 조성하고 있다.4일 NEW에 따르면 이달 5일 제5회차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를 발행할 예정이다. 발행 총액은 125억원으로 만기는 5년으로 설정됐다. 2월 28일 열린 이사회에서 결정된 사안이다.
해당 CB의 표면이자율은 0%, 만기이자율은 3%다. 전환가액은 주당 2280원이다. 해당 가격은 이사회 결의일 전일 기준 1개월, 일주일,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를 산술평균한 가액과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중 높은 가액의 100%로 결정됐다.

CB를 주식으로 전환할 경우 발행 가능한 주식은 548만2456주로 전체 주식의 16.42%에 해당한다. 전환청구기간은 2026년 3월 5일부터 2030년 2월 5일까지다.
이번 CB 발행은 NEW의 콘텐츠 투자 확대 전략의 일환으로 보인다. NEW는 영화, 드라마 등 다양한 IP(지적재산권)를 확보하고 이를 글로벌 시장에 유통하겠다는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CB 인수에는 국내 주요 증권사와 자산운용사들이 대거 참여했다. 삼성증권이 총 34억원으로 가장 인수 규모가 크며 미래에셋증권이 20억원, NH투자증권이 18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이밖에 수성자산운용, 대신-킹고 Growth Capital 신기술투자조합, JB우리캐피탈, SK증권 등 다양한 금융기관이 참여했다.
사채권자는 풋옵션(조기상환청구권)을 통해 발행일로부터 2년 후인 2027년 3월 5일부터 매 3개월마다 조기상환을 청구할 수 있다. 조기상환 시에는 연 3%(12개월 단위 복리계산)의 수익률이 보장된다.
구체적으로 2027년 3월 5일 전자등록금액의 106%, 2027년 6월 5일에는 107%, 이후 점진적으로 증가해 2029년 12월 5일에는 115%까지 상환받을 수 있다.
또한 NEW는 콜옵션(매도청구권)을 통해 발행일로부터 12개월이 되는 2026년 3월 5일부터 2027년 3월 5일까지 매 3개월마다 사채의 일부를 매수할 수 있다. 단 사채권자에 대해 사채 발행가액의 30%를 초과하여 매도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도록 제한했다.
이로써 NEW의 미상환 사모 CB 잔액은 총 375억원까지 늘어나게 됐다. 앞서 발행한 제4회차 CB는 250억원 규모다. 전환가액은 5440원으로 주식으로 전환할 시 459만5588주가량 발행할 수 있는 수준이다. 전환 기간은 2024년 3월 21일부터 2027년 2월 21일까지다. 전환 가능 주식 수는 총 1007만8044주로 기존 발행주식 총수 대비 36.11%가 된다.
NEW는 올 들어 영화제작에 투입할 자금을 조성하는 데 힘을 쏟고 있다. 그 일환으로 한국교통자산운용과 함께 1000억원 규모의 콘텐츠 코파펀드도 조성하고 있다. 코파펀드는 연기금 등과 일반 기업이 공동 투자하는 사모펀드를 말한다.
해당 펀드는 NEW가 발굴한 IP 콘텐츠를 중심으로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NEW는 연간 최소 7편 이상, 금액 기준으로 연간 최소 300억원 이상의 영화 투자를 집행하며 20% 이상의 내부수익률(IRR)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 NEW, KOTAM 손잡고 1000억 규모 콘텐츠 펀드 조성
- NEW, 드라마 연타석 홈런…이제는 영화 차례
- 영화 <좀비딸> 내달 크랭크인, NEW가 투자배급
- 스튜디오드래곤·콘텐트리중앙, 한한령 해제 기대감
- 스튜디오드래곤, 높은 참여도 불구 아쉬운 구성
- 스튜디오드래곤, 라인업·선판매 감소기조 지속
- <무빙> 제작자 영입한 스튜디오드래곤, 핵심은 '퀄리티'
- 'IPO 사활' SLL, 사업성 입증했지만…수익·재무 '넘을 산'
- 'SLL중앙의 이견' 고개 든 티빙-웨이브 합병 무산 시나리오
- 바이브컴퍼니, sLLM 다음 버전 '바이브GeM 2' 공개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자가면역질환 신약' 이노보테라퓨틱스, 미국 임상 1상 '성공적'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엔비디아 ‘커넥트’ 공식 파트너 선정
- [i-point]신성이엔지, 한국종합기술·다스코와 연료전지 발전사업 협약
- [i-point]신테카바이오, 'PEGS 보스턴 2025' 참가
- [AACR 2025]첫 구두발표 진씨커, 경쟁사 넘보는 '유전자가위 액체생검'
- [AACR 2025]이뮨온시아 'CD47' 안전성 굳히기 "경쟁약과 다르다"
- [AACR 2025]항암 신약 항체 대신 '페라틴', 셀레메디 플랫폼 데뷔전
- [AACR 2025]근거 쌓는 '루닛 스코프' 빅파마 공동연구 쇼케이스
- [변곡점 선 콜마비앤에이치]변화의 마지막 카드, 경영진 교체 '강수' 두나
- [변곡점 선 콜마비앤에이치]속절없는 주가 하락 '트리거', 주가 부양 의지 없었나
이지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SOOP, '규제·업황·비용' 탓 목표주가 '뚝'
- 두비덥, 보컬 커스터마이징 특허 '완료'…K팝 팬덤 정조준
- [thebell interview/콘텐츠산업, 한계 넘는 기업들]바우어랩의 이머시브 콘텐츠 '관객이 주인공 되는 시대'
- [콘텐츠산업, 한계 넘는 기업들]'B2C 진출' 바우어랩, 300억 밸류 시리즈B 도전
- [콘텐츠산업, 한계 넘는 기업들]바우어랩, 이머시브 콘텐츠로 엔터산업 '새 지평'
- [강소 콘텐츠사 톺아보기]두비덥, 사업 개시 3년 만에 흑자 '공공 도서관 뚫었다'
- 하이브, 바이너리코리아 정리…게임·AI오디오 '집중'
- [소형 콘텐츠사 톺아보기]임영웅의 물고기뮤직, 1인 보폭 축소에 수익 급감
- 'SLL중앙 기대감' 콘텐트리중앙 CB 발행 순풍
- 카카오엔터, 스토리사업 대통합…신임 부문장에 박정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