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ancial Index/생명보험]농협생명, '압도적' K-ICS…한화·KDB '아슬아슬'[자본적정성]①경과조치 적용 기준 작년 말 437.71%, 1년 만 상승폭 74.21%p로 최고
박기수 기자공개 2025-05-19 08:09:06
[편집자주]
기업은 숫자로 말한다. 기업의 영업·투자·재무활동의 결과물이 모두 숫자로 나타난다. THE CFO는 기업이 시장과 투자자에 전달하는 각종 숫자와 지표(Financial Index)들을 집계하고 분석했다. 숫자들을 통해 기업집단에서 주목해야 할 개별 기업들을 가려보고 그룹의 재무적 변화를 살펴본다. 그룹 뿐만 아니라 업종과 시가총액 순위 등 여러 카테고리를 통해 기업의 숫자를 분석한다.
이 기사는 2025년 05월 14일 14시34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NH농협생명이 작년 말 기준 국내 생명보험사들 중 가장 높은 지급여력비율(K-ICS)을 기록했다. KB라이프생명, 교보생명 등은 K-ICS 비율로 200% 이상을 유지했지만 한화생명, KDB생명은 권고치인 150%를 겨우 웃돌았다.14일 THE CFO 집계에 따르면 농협생명은 작년 말 K-ICS 비율(경과조치 적용 후 기준)로 437.71%를 기록했다. 국내 생명보험사들 중 가장 높은 비율이다. 농협생명은 경과조치 전 기준으로도 K-ICS 비율은 작년 말 기준 246.4%를 기록하는 등 생명보험업계 평균(182.7%)을 상회하고 있다.
그 뒤로 KB라이프생명과 IBK연금보험이 각각 263.14%, 234.34%로 농협생명의 뒤를 이었다. 교보생명과 DB생명은 220.76%, 206.97% 기록했다. 신한라이프생명은 작년 말 기준 205.74%로 200%대 K-ICS 비율을 유지했다.
미래에셋생명과 교보라이프플래닛생명은 각각 192.39%, 192.28%를 기록했다. iM라이프생명과 삼성생명은 190.29%, 184.88%를 기록했다. 하나생명과 한화생명은 180.81%, 163.74%를 기록했다. KDB생명의 K-ICS 비율은 158.24%로 작년 말 기준 국내 생보사 중 가장 낮은 비율을 기록했다.
작년 말 기준으로 모든 생보사들은 후순위채 중도상환, 보험업 인허가, 자회사 소유 등 규제 기준이 되는 K-ICS 비율 150%를 상회했다. 삼성생명과 하나생명, 한화생명, KDB생명을 제외하면 해약환급금준비금 적립비율 규제 기준인 190%도 모두 넘는다.

농협생명은 2023년 말 이후 1년 만에 K-ICS 비율이 가장 높아진 생보사이기도 하다. 2023년 말 기준 농협생명의 K-ICS 비율은 363.5%로 1년 만에 74.21%포인트(p) 상승했다.
KDB생명과 IBK연금보험도 2023년 말에서 1년 만에 K-ICS 비율을 상승시켰다. KDB생명의 경우 117.54%에서 작년 말 40.70%p 상승했다. IBK연금보험도 1년 만에 31.99%p 상승했다. 하나생명과 교보라이프플래닛도 각각 12.06%p, 6.45%p 올랐다.
△흥국생명(-13.39%p) △미래에셋생명(-18.222%p) △한화생명(-20.07%p) △삼성생명(-33.95%p) △교보생명(-44.60%p) 등은 2023년 말 대비 K-ICS 비율이 하락한 곳이다.
가장 많이 K-ICS 비율이 하락한 곳은 DB생명이다. DB생명의 2023년 말 기준 K-ICS 비율은 306.73%이었다. 1년 만에 98.08%p 하락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카카오, 10년만 중국법인 청산 '대륙 진출 중단'
- LG화학, 달러채 대신 '해외 EB' 고수 배경은
- 솔루엠, 미래 투자 활발…2분기 실적 턴어라운드 기대
- [Deal Story]'해외EB' 복귀 LG화학, 밴드 최하단서 모인 투심
- 'A0' 등급 상향 대한항공, 추가 상승 가능할까
- 동인기연 베트남 법인, 온습도 제어·태양광 발전 구축
- HLB제넥스, 진양곤 회장 관심 '건기식' 글로벌 B2C 확장
- [i-point]아이티센피엔에스 "국내 최고 보안 파트너사로 도약"
- [i-point]플리토, IBK기업은행에 AI 통번역 시스템 공급
- 이에이트, B2B 사업 통해 1분기 실적 성장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FO & Credit]이현규 LG CNS 상무, 'AA0' 도약 조력자 역할 '충실'
- [Financial Index/생명보험]농협생명, '압도적' K-ICS…한화·KDB '아슬아슬'
- 현금 쌓고 확장하는 CATL, LG엔솔과 정반대 행보
- [더본코리아 재무 분석]백종원식 가맹 사업 중심 사업 모델의 '명암'
- [더본코리아 재무 분석]'2000억 현금 창고'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 [조선업 리포트]한화엔진, HSD 시절보다 높아진 이사회 전문성
- [유동성 풍향계]'유심 해킹 사태' SK텔레콤, 재무 완충력은
- [조선업 리포트]한화엔진, 한화의 '한 수'…적중한 인수 의도
- [비용 모니터]원가 부담 덜어낸 삼성SDI, 실적 회복 추진력 얻었다
- [저평가 시그널: PBR 0.3]삼천리, 쌓이는 현금에도 0.1~0.2배 박스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