③KB창투 컨소, 중견 바이오 기업에 60% 투자 4년투자 4년회수...1200억원 이익 목표
이 기사는 2009년 03월 20일 08시1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KB창업투자·버릴앤컴퍼니 컨소시엄(이하 KB창투 컨소시엄)의 신성장동력 펀드명은 'KB-버릴 코리아 펀드 1호'다.
결성액은 1000억원으로 현재 유럽 투자기관으로부터 300억원 규모의 투자의향서를 받은 상태다. 펀드 존속기간은 8년으로 바이오제약, 의료기기 산업에 집중 투입된다.
이 컨소시엄은 △세계 5대 바이오 강국 육성 △20만개 일자리 창출 △해외 자본의 직접 투자 △국내 바이오기업의 세계화 등을 펀드의 전략적 목적으로 제시했다.
해외 시장 정보 부족과 네트워크 결핍을 해소하기 위해 KB창투는 버릴앤컴퍼니와 공동으로 무한책임사원(GP) 역할을 맡을 예정이다.
바이엘, 노바티스 등 대형 제약사를 유한책임사원(LP)으로 두고 있는 버릴앤컴퍼니(펀드 자산 1조5000억원)는 스티븐 버릴(G. Steven Burrill) CEO를 대표 펀드매니저로 내세웠다. KB창투는 이승재 벤처투자2본부 이사가 대표 펀드매니저를 맡는다.
투자심의위원회는 각 사 동수로 구성된다. 펀드는 운용그룹, 투자자문 및 해외네트워크, 포트폴리오 회사 등을 세 축으로 운용된다.
KB창투 컨소시엄은 초기 단계 벤처기업에 10억~30억원, 중견기업에 50억~200억원, 대기업에 50억~3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투자 비중은 중견기업이 60%로 가장 높다.
주요 투자 대상은 △신약 개발 가능 제약사 △복제약 개발 가능 제약사 △신약 관련 바이오 기업 △의료기기 제조 기업 등이다. 이를 통해 2015년 세계 바이오 시장 점유율을 5%까지 끌어 올리고 국내 복제약 시장에서 수입 대체 효과를 노리겠다는 것이 청사진이다.
초기단계 기업에선 3~5배,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2~3배, 대기업으로부터 1.5~2배의 수익을 기대하고 있다. 성장 단계별로 KB금융지주와 버릴앤컴퍼니의 네트워크가 적용된다.
투자금 회수는 2012년부터 4년간 진행할 예정이다. 예상 회수액은 2200억원이다. 지분 매각을 통해 60%, 기업공개(IPO)로 30%, 역합병으로 10% 등을 회수할 계획이다. 컨소시엄은 프리젠테이션을 통해 제넥셀-세인, 갈라파고스, BASF의 자본 회수(exit) 사례를 제시했다.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AACR 2025]미국 클리아랩 인수하는 딥바이오 '매출 다변화' 예고
- [AACR 2025]대웅제약도 항암신약 경쟁 가세 "타깃·속도 자신있다"
- 엘앤씨바이오, 중국법인 영업권 2000억 인식 '활용법' 관건
- [Sanction Radar]의약품 장벽 높인 트럼프, 셀트리온·알테오젠 복잡한 셈법
- [BIO KOREA 2025]셀인셀즈, 오가노이드 원천기술 우수성 입증 "이제는 BD"
- [BIO KOREA 2025]보령의 우주의학 핵심은 오픈이노베이션 "생태계 만든다"
- [아이티켐 IPO]2차전지로 영토 확장, 소재사업 '확장성' 주목
- [Rating Watch]등급 상향 기대감 LG CNS, 남은 트리거 ‘차입금의존도’
- [세미파이브 IPO]관세 리스크 뚫고 해외 NDR…글로벌 기관 스킨십 '방점'
- [도우인시스 IPO]손바뀜 1년여만에 상장 결실, 2년 의무보유로 안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