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엔솔 배터리 사업부 배출 첫 사장된 김동명 수주증대·JV 설립 성과, 25년여간 배터리 관련 부서 두루 거친 전문가
김위수 기자공개 2022-11-25 10:00:43
이 기사는 2022년 11월 24일 18:47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LG엔솔)에서 전기차 배터리 사업을 이끌어온 김동명 부사장(사진)이 사장으로 승진했다. 전지사업을 맡은 3개 사업부에서 배출한 첫 사장 승진자다. 이번 인사로 LG에너지솔루션 사장단은 총 3명으로 늘어나게 됐다. 핵심 사업, 제품, 경영지원을 총괄하는 인물들로 채워진 사장단은 보다 내실있는 성장을 위해 힘쓸 예정이다.
1998년 LG화학 배터리 연구센터로 입사한 뒤 연구개발(R&D), 상품기획 등의 부서를 두루 거쳤다. 이후 2014년 모바일전지 개발센터장, 2017년 소형전지사업부장을 거쳐 지난 2020년부터 자동차전지사업부장을 맡고 있다.
김 사장의 승진으로 LG엔솔의 사장단은 3명이 됐다. 직전까지만 해도 LG엔솔의 사장은 최고제품책임자(CPO)인 김명환 사장, 경영지원센터장인 이방수 사장 등 2명이었다. 특히 주목되는 점은 배터리 사업을 담당하는 전지사업부에서 처음 배출한 사장 승진자라는 점이다. 현재 LG엔솔에는 자동차전지사업부 외에도 소형전지사업부, ESS전지사업부 등의 전지사업부가 있다.
LG엔솔의 호실적을 이끈 전기차 배터리 사업에 대한 성과를 인정하는 차원의 인사로 보인다. 올 1~3분기 LG엔솔의 누적 영업이익은 최대 기록인 9700억원을 달성한 상태다. LG엔솔은 사업의 순항에 연간 매출 전망을 기존 22조원에서 25조원으로 상향시켰다.
김 사장은 자동차전지사업부장으로서 수주증대를 이끌었다. 실제 LG엔솔의 수주잔고는 지난해 말 260조원에서 9월 말 기준 370조원으로 100조원 넘게 늘어났다. 또 GM, 현대차, 혼다 등과 합작법인(JV) 추진으로 중·장기적인 성장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생산 공법 혁신, 제품 포트폴리오 다양화 등을 이룬 점도 김 사장의 공로로 인정받고 있다.
힌편 이날 승진한 김 사장을 포함한 승진자는 29명이다. 지난해에 비해 승진자가 두 배 가까이 확대됐다. LG엔솔은 이번 정기인사에 대해 "사업의 지속 성장 및 미래 준비를 위해 제품 경쟁력 차별화를 위한 R&D·품질·생산 인재의 중용했다"며 "또 선제적 미래준비 관점의 조직 역량 강화하고 여성임원 선임 등 경영진의 다양성 강화 등에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알펜시아리조트, 2024강원동계청소년올림픽 성공개최 '맞손'
- [Company Watch]JTC, 관리종목 탈피 '청신호', 흑자전환 ‘총력’
- GTF, 35개월만 월간 첫 흑자 "리오프닝에 실적 기대"
- [오너십&스톡]SK케미칼, 반전 묘수 꺼낼까
- 美 에너지사업 총괄하는 패스키, 유정준 부회장 역할 확대
- [동국제강을 움직이는 사람들]'럭셔리 스틸' 탄생 일등공신 박상훈 전무
- [승계 레버리지 분석]이우현 OCI 부회장은 최대주주가 될 수 있을까
- 포스코케미칼-삼성SDI의 만남, 협력관계 어디까지?
- [에코프로 인사이드]수직계열화의 '부메랑', 높은 내부거래 비중 눈길
- 현금 2조 확보 SKC, 해외 동박 생산기지 구축 본격화
김위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오너십&스톡]SK케미칼, 반전 묘수 꺼낼까
- [승계 레버리지 분석]이우현 OCI 부회장은 최대주주가 될 수 있을까
- '대규모 투자' 포스코인터, 최대 실적에 자금조달 순항
- [승계 레버리지 분석]삼표그룹 후계자 정대현 사장, ㈜삼표 지배력 높인 방법은
- 경영권 승계 속도내는 금호석유화학, 박주형 부사장 역할은
- [승계 레버리지 분석]금호석화, 당면과제 '지분확보'…활로는?
- [승계 레버리지 분석]이웅열 코오롱 명예회장은 지분 '증여'를 선택할까
- 태광산업 '8조 투자' 자금조달 계획 설명한다는데...
- [승계 레버리지 분석]'GS 이름표' 없는 GS 비상장 계열사들 역할은
- 롯데케미칼 증자금액 1000억 증가...재무여력 확충 '속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