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운용 2년 준비끝에 펀드 상품권 출시…업계 최초 2021년 직판앱 출시와 함께 준비, 이달부터 본격 판매
윤기쁨 기자공개 2023-01-16 10:49:00
이 기사는 2023년 01월 11일 14:53 theWM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BNK자산운용이 업계 최초로 펀드상품권을 도입하고 판매에 나선다. 이르면 이달 중 온라인마켓에서 상품권 구매와 선물하기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구매한 상품권은 자체 직판(직접판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할 수 있다.1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BNK자산운용은 최근 금융당국에 상품권 발행과 판매를 위한 신고를 마치고 본격적인 업무에 돌입했다. 펀드상품권은 11번가 등 온라인쇼핑몰을 통해 구매할 수 있으며 현금처럼 사용이 가능하다. 소비자들은 온라인쇼핑몰 할인혜택 등을 이용해 보다 할인된 가격으로 펀드에 가입할 수 있고, 운용사는 신규 고객을 끌어들이는데 용이하다.
앞서 한국투자증권, 신한투자증권, 키움증권 등 일부 증권사들은 주식, 채권, 파생결합증권(ESL) 등을 매수할 수 있는 금융상품권을 발행·판매 중이다. 지난해 동학개미운동 열풍으로 개인투자자들이 금융상품권, 기프티콘 등을 활용한 투자에 나서면서 수요가 꾸준히 늘었다. 금융상품권이 금융규제 샌드박스인 혁신금융서비스로 선정되면서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사들도 많아지고 있다.
자산운용사가 펀드 전용 상품권을 출시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BNK운용은 2021년 펀드 직판 앱 개발과 동시에 펀드상품권 도입을 추진해왔다. 지난해 말 ‘븐크’를 성공적으로 출시하면서 상품권 발행에도 속도를 낸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쇼핑몰에서 구매한 펀드상품권은 앱에 등록해 펀드 가입시 사용할 수 있다.

앱 개발을 지휘한 이윤학 대표는 기획 단계에서 ‘간단·쉬움·재미’를 주문하며 다른 앱들과의 차별성을 강조했다. 펀드상품권 역시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온라인상품권을 활용한 상테크(상품권 재테크)가 인기를 끈 데서 고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해당 앱에서는 13개의 자사 펀드를 판매하고 있다. ‘BNKK200인덱스’, 'BNK튼튼코리아‘, ’BNK지속가능ESG', 'BNK든든한TDF', ‘BNK썸글로벌EMP' 등이 대표적이다. 9일 기준 BNK운용의 AUM(설정원본액 기준)은 17조9937억원으로 전년 동기(9조5233억원) 대비 약 2배 증가했다. 약 80여개 공모펀드를 운용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베스트
-
- [VC 글로벌 투자 리포트] '중국 진출 17년차' LB인베, 회수 빈티지 '괄목상대'
- SV인베, '갭커버리지4호' 1000억 결성 임박
- [유니콘 넥스트 스텝] 여기어때, 지속성장 키워드 '해외 공략'
- SBI인베-KB증권 PE, 2000억 블라인드 펀드 만든다
- [thebell interview]신한AI "연기금부터 퇴직연금까지 러브콜 쇄도"
- [인사이드 헤지펀드]시몬느 계열 SP운용, 메자닌 블라인드 펀딩 '시동'
- [인사이드 헤지펀드]타이거운용, 목표달성형 펀드 설정 릴레이
- 강방천·존리가 쏘아올린 공…당국, 운용사 사모펀드 전수조사
- [thebell interview]미래에셋운용 "고물가 시대, 3년 단기 회사채 유리"
- '2호 펀드 조성' IMM글로벌, 해외 인프라 투자 속도 붙인다
윤기쁨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강방천·존리가 쏘아올린 공…당국, 운용사 사모펀드 전수조사
- [thebell interview]미래에셋운용 "고물가 시대, 3년 단기 회사채 유리"
- 리딩증권, '부동산 금융' 업고 헤지펀드 확장 드라이브
- 자산관리 업계의 '달라진' 경쟁
- [자산운용사 경영분석]마이다스에셋, 실적 역성장 불구 간판펀드 '자금몰이'
- [부동산운용사 실적분석]타이거대체운용, 출범 4년만에 순익 100억 돌파
- 프로골퍼 박성현, 칸서스운용 투자자 된다
- [부동산운용사 실적분석]마스턴운용, 수익보다 ‘사업 확장·내부 살림’ 챙겼다
- [헤지펀드 운용사 실적 분석]보고펀드, 시장 부침에도 최대 실적…해외대체 성과
- [NH증권 다이렉트인덱싱 포문]편의성·전문성으로 승부…젊은층 흡수 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