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신세계푸드, 단기물전략 통했다 500억 모집에 1950억 몰려…A급 시장서 오버부킹 성공
윤진현 기자공개 2023-01-20 07:54:21
이 기사는 2023년 01월 19일 11:39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세계푸드가 공모 회사채 수요예측에서 모집금액의 3배에 달하는 수요를 모았다. 신세계푸드는 A급 회사채 시장 경색을 고려해 발행 금액을 줄이고 1.5년 단기물로 만기를 구성하는 등의 전략으로 수요예측 흥행에 성공했다.19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신세계푸드가 18일 진행한 공모 회사채 수요예측에서 1950억원의 투자수요를 모았다. 1.5년 단일물(500억원)로 약 3배가 넘는 수요를 확보한 셈이다.
모집액 기준 조달 금리는 개별민평금리보다 낮은 수준에 낙찰됐다. 신고가 기준 –10bp에서 수요를 채웠다. 당초 신세계푸드는 희망금리밴드로 –30bp~+70bp를 제시했다.
KIS자산평가에 따르면 이날 기준 신세계푸드의 1.5년물 개별민평금리는 4.852%다. 이 금리가 발행일까지 유지되면 4.752%에 발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써 지난해 10월 이후 처음으로 A급 회사채 금리(1.5년물 기준)도 5% 미만으로 발행될 전망이다.
신세계푸드는 2019년 첫 발행 후 매년 회사채 시장을 찾는 정기 이슈어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 1000억원을 3년 단일물로 발행했다. 작년 말부터 A급 회사채가 시장의 외면을 받자 만기구조를 짧게 제시했다. 발행금액도 절반으로 줄였으며, 증액 계획도 없다.
적은 금액이지만 미매각이 발생할 경우를 고려해 주관사단을 다양화했다. 대표주관사단은 KB증권,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신한투자증권이 맡았다. 인수단으로 신영증권도 참여했다. 그간 회사채로 1000억원을 발행하면서 주관사 1~2곳에 관련 업무를 맡겼다.
신세계푸드 관계자는 “회사채 시장 경색 문제로 인해 발행금액과 만기를 모두 줄이는 등의 준비를 했다”며 “다행히 투자자들로부터 선택을 받아 무사히 조달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투자은행(IB) 업계에서는 신세계푸드의 흥행 배경을 두고 비교적 우수한 신용등급과 계열사의 지원여력 등이 주요했다고 봤다.
IB업계 관계자는 “신세계푸드의 신용등급이 ‘A+, 안정적’으로 A급 회사채 시장에서 준수한 편”이라며 “신세계그룹 주력회사인 이마트의 자회사기에 유사시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인 요소”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딜
-
- [Korean Paper]현대캐피탈아메리카, 글로벌본드 25억달러 발행
- [Korean Paper]광해광업공단 '유로본드' 6배 수요 몰렸다
- LG화학 진단사업 부문 인수전 변수 '오퍼레이션 리스크'
- BRV, 그린랩스 자금투입·경영참여 '속도전'
- 온라인 클래스 플랫폼 '클래스101', 300억 펀딩 돌입
- K팝 커머스 플랫폼 '케이타운포유', 500억 투자유치 추진
- 엑시트 속도 내는 한앤코, 국내 LP 포섭 '무기' 삼나
- JC파트너스, 에이엠티 내세워 청호ICT 지분 취득 배경은
- [미코그룹 길 잃은 크로스보더 딜]암초 만난 바이오 확장, 2세 경영수업 계획도 차질
- 자신감 얻은 신한증권, 올해 첫 스팩 '덩치' 키웠다
윤진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Korean Paper]현대캐피탈아메리카, 글로벌본드 25억달러 발행
- [Korean Paper]광해광업공단 '유로본드' 6배 수요 몰렸다
- 자신감 얻은 신한증권, 올해 첫 스팩 '덩치' 키웠다
- [House Index]자기자본 '1조' 주역 김병영 BNK증권 대표 '유일한' 연임
- [증권사 IB, 유상증자 비즈니스 전략]KB증권, 코스닥 기업 집중 전략...SME본부까지 신설
- [증권사 IB, 유상증자 비즈니스 전략]'후발주자' KB증권, 급성장 비결은 '맞춤형 전략'
- [House Index]실적부진 유진증권, 배당성향은 '35.2%' 최대치
- 윤병운 NH증권 IB 대표의 '여우 전략'
- '스팩 합병' 나선 팸텍, '오버행' 우려 지울까
- [이사회 모니터]SK증권, 이사진 대폭 교체...장수 CEO 김신 대표는 ‘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