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use Index]하나증권 강성묵 대표, 'ROE 2.7%' 극복해낼까별도기준 ROE 전년 대비 76.7%↓…대표이사 성과평가 핵심 항목, UBS 인수 후 반등 기대
남준우 기자공개 2023-03-22 13:15:09
이 기사는 년 월 일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하나증권의 2022년 어닝 쇼크는 곧바로 큰 폭의 자기자본수익률(ROE) 하락으로 이어졌다. 고공비행 중이던 ROE가 전년 대비76.7%나 감소한 2.7%에 불과하다. 한때 10% 이상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아쉬운 점수다.강성묵 신임 대표의 어깨가 무거워졌다. ROE는 하나증권 대표이사 성과평가기준의 핵심 계량 지표 중 하나다. ROE 성과는 대표 성과급 지급에도 직결된다. 한 때 강 대표가 몸담았던 하나UBS자산운용 인수 등으로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당기순이익, 전년 대비 약 88% 감소

이전까지 하나증권이 사업보고서에 ROE를 언급한 것은 임직원 급여 등과 관련된 부분에서 ROE 변동분을 기입한 것이 대부분이다. 대표이사 성과급 지급과 관련된 사유를 밝히기 위함이다. 당해 년도 수치가 전년 대비 어느 정도 변동됐는지만 보여줬다.
회사 전체 ROE는 IR 자료 등에 기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번의 경우 이전 대비 큰 폭으로 하락한 ROE를 투자자에게 한번 더 주지시키기 위해 별도로 기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나증권은 2022년 별도기준으로 ROE 2.7%를 기록했다. 전년(11.6%)과 비교하면 76.7%나 떨어졌다.
여러가지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먼저 분모에 들어가는 평균 자기자본이 증가했다. 2021년 별도기준으로 5조3070억원이었던 자기자본은 작년 4월 하나금융지주의 주주배정 유상증자에 힘입어 2022년 5조8476억원으로 약 5400억원 증가했다. 작년 자본 증가율이 자기자본 기준 10대 증권사 가운데 가장 크다.
ROE에 실질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은 실적 악화다. 하나증권의 2022년 당기순이익은 1558억원으로 전년(5639억원) 대비 88% 감소했다. 주력 사업인 WM과 IB 부문에서 당기순이익이 각각 약 30%, 약 50%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수익 개선 안되면 대표 상여금 지급률↓

해당 계량 지표와 비계량 지표 성과 등을 종합해 지주회사 경영발전보상위원회의 심의를 거친 후 대표 성과급 지급률이 정해진다. 이은형 전임 대표의 경우 목표치 대비 수수료 수익 증대 부문에서 4.9%, 손님 자산 증대 부문에서 11% 등을 초과 달성하며 2억1500만원의 상여금을 지급받은 바 있다.
전반적인 수익성 개선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강 대표 성과 점수가 전임 대표들보다 높아지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과거 강 대표가 1년 가량 부사장직을 역임했던 하나UBS자산운용 인수 등을 통해 다양한 돌파구를 마련하고 있는 모습이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15일 정례회의에서 하나UBS자산운용의 대주주 변경 승인안을 조건부로 가결했다. 조건부 승인 결정에 따라 하나증권은 오는 8월경에 스위스 금융 그룹 UBS로부터 하나UBS자산운용 지분 51%를 인수한다.
이로써 하나UBS자산운용은 하나증권의 100% 자회사로 편입된다. 대주주 변경을 시도한지 약 6년 만이다. 대주주 변경이 완료되면 하나UBS자산운용은 사명에서 ‘UBS’를 떼고 새 출발을 할 것으로 보인다. 새 회사명은 하나자산운용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격전지 건강보험]헬스케어 시장 잡기, 대형사 틈에 농협·라이나 눈길
- [금융권 혁신성장 포커스]우리금융, 비은행 경쟁력 강화 '열쇠' 벤처파트너스
- [새마을금고 도전과 과제]풀뿌리 금융기관의 힘…전국 금고 고른 성장 '눈길'
- [BNK금융은 지금]비은행 보강하고 '종합금융그룹' 도약 마침표 찍는다
- [BNK금융은 지금]가닥 잡힌 '투뱅크' 체제, '비용·인사' 솔루션은
- WM 강화 닻올린 다올증권, 체질개선 '드라이브'
- 보험사 롱숏펀드 바람…헤지펀드 하우스 소외되나
- [데이터로 본 은행 판도변화]강도 높아진 잠재 리스크…건전성 관리에서 승부
- [금융권 혁신성장 포커스]신한금융, 벤처 육성 '투트랙' 고석헌·김명희 부사장
- [금융권 혁신성장 포커스]신한금융, 국내외 벤처·스타트업 '생태계' 구축 주력
남준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PO 모니터]피아이이, 메가스팩 합병 신호탄 쏜다
- [China Conference]"中 민간·정부 산업간 회복 속도차, 리오프닝 효과 아직"
- [IPO 모니터]'메가스팩 합병' 피아이이, 프리IPO보다 밸류 두배
- [IB 풍향계]KB증권, '블랙 넘버' 무릅쓰고 메가스팩 성공할까
- [Rating Watch]'LG엔솔 공모채' LG화학 신용도에 어떤 영향 미칠까
- [IPO 모니터]레이저옵텍, 스팩 합병으로 1000억 몸값 도전
- [스팩 발기인 분석]'숨은 강자' IBK투자증권, 두 스팩 동시 합병 노린다
- [IPO 그 후]'오프라인 채널 확대' 브랜드엑스, 분기 최대 실적
- 손실 끊어낸 상상인증권, 단기자금 조달 '총력전'
- [IPO 그 후]포바이포, 콘텐츠 내실 쌓고 실적개선 '신호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