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O 성과 보수]'조달 완수' SKC 최두환 부문장, 연봉 '톱3' 반열임기 첫해 성과로 '상여 4.2억'...상여 증가율에서 전 CEO 이완재 사장 앞서
양도웅 기자공개 2023-03-27 11:37:54
이 기사는 2023년 03월 21일 14:53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성장 한계 사업들의 매각으로 자금이 유입되는 점을 고려하면 이 두 가지 과제는 따로 떼놓을 수 없는 것들이었다. 또한 회사의 인적·물적 자원을 미래 주력 사업인 이차전지와 반도체 소재에 집중시키기 위해서도 사업과 지배구조 개편은 불가피했다. 그럼 최 부문장은 이러한 과제들을 완수했을까.
SKC는 임원에게 전년도 경영성과를 측정해 당해연도 초(대략 2월)에 상여를 지급한다. 지난 20일 공시한 2022년 결산 사업보고서에는 2021년 성과에 대한 상여와 급여 등 보수 현황이 나와 있다. 최 부문장의 임기 첫해 성적표를 보수로 확인할 수 있는 셈이다.
최 부문장은 2022년 급여로 3억3300만원, 상여로 4억1700만원, 의료비와 학자금 등 기타 근로소득으로 1900만원을 받았다. 총합 7억6600만원이다. 2021년과 비교해 급여는 10%(3000만원), 상여는 16%(5900만원) 증가했다. 기타 근로소득은 절반 가까이 줄었다. 2021년 창립 45주년을 기념해 임직원에게 자기주식을 지급했기 때문이다.
SKC는 최 부문장에게 상여로 4억1700만원을 지급한 이유로 크게 두 가지를 꼽고 있다. 하나는 2021년에 이차전지 사업의 글로벌 확장을 위한 투자 재원을 확보했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같은 해 이사회에 ESG위원회 등 내부 위원회 3개를 추가로 설치해 운영하는 데 기여했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2021년 초 SKC는 첫 글로벌 동박(이차전지 소재) 생산시설을 말레이시아에 짓기로 결정하고 6500억원이 넘는 투자를 예고했다. 대표적으로 이러한 대규모 투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SKC는 종속회사인 SK텔레시스의 통신망 사업과 손자회사인 SKC인프라서비스를 매각했다. 이를 통해 700억원이 넘는 자금을 확보했다. 금융기관 차입도 함께 일으켜 투자금을 마련했다.
안정적인 투자금 조달 덕분에 말레이시아 동박 공장은 올해 준공돼 상업 가동을 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이차전지 소재 사업은 SKC 전체 매출에서 두 번째 비중을 차지하는 사업부로 발돋움했다. 성장 한계에 직면한 사업을 매각하는 등 사업구조 재편까지 이뤄져 회사는 이차전지 소재 사업에 물적, 인적 자원을 집중 투자할 수 있을 전망이다.
더불어 SKC는 2021년에만 이사회 내에 3개 위원회를 신설했다. ESG위원회와 인사위원회(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흡수), 내부거래위원회로 최 부문장은 자금 유출입을 수반하는 ESG위원회와 내부거래위원회를 지원하는 역할을 맡은 것으로 풀이된다. 단 최 부문장이 사내이사로서 이사회에 참여하는 건 아니다.

종합하면 최 부문장은 이러한 점들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지난해 상여로 4억1700만원을 받았다. 상여를 포함한 보수 7억6600만원은 전 임직원 가운데 '상위 3위'에 해당할 정도로 큰 규모다. 최 부문장 앞에 있는 이는 이완재 사장(SKMS위원)과 박원철 사장(CEO) 등 두 명뿐이다.
더욱이 최 부문장의 상여 증가율(16%)은 2021년 최고경영자(CEO)였던 이완재 사장의 상여 증가율을 넘어선다. 오히려 이 사장의 상여는 지난해 줄었다(-3%). 전년도인 2021년 회사 성장과 변화에 CEO와 비교해서 CFO 역할을 한 최 부문장의 기여도가 결코 적지 않았다는 점을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다.
올해 초에도 최 부문장은 적지 않은 규모의 상여를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평가 연도인 지난해에도 투자금 조달과 사업구조 재편 등에서 성과를 냈기 때문이다. 일례로 지난해 회사의 모태라고 할 수 있는 PET필름 사업 부문 일체를 매각해 약 1조6000억원의 자금을 확보했다. 이 자금은 이차전지와 반도체 소재 사업 확장을 위한 투자금 등으로 쓰일 전망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상폐 위험 비덴트 3사, 검찰 출신 법조인 영입
- [SKT를 움직이는 사람들]'네트워크 외길' 강종렬 사장, 무선통신 리더십 공신
- 대한전선, 규정 개정으로 감사위 독립성·권한 다졌다
- '4공장' 시대 연 삼성바이오로직스, 화이자와 공조 강화
- 미 SEC, 코인 무더기 '증권' 판단…국내 시장 영향 '아직'
- LGD 3TG 공급망, 러시아 비중 급감…중국은 현상 유지
- 넥슨 '피파4' 활용법, 게임 문법도 바꿨다
- '신약' 역량 강화했던 디어젠, 관련 핵심인력 이탈
- 홍콩의 '코인거래소 면허제'…국내 중소형 거래소에 기회될까
- [게임사의 코인 pick]카카오게임즈, '신중한 pick' 비트코인 수익률 '-50%'
양도웅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LCC 생존 재무전략]임원 연봉 '7분의 1'로 줄인 제주항공
- [On the move]'일본 재공략 2년차' 현대차, 현지 관리역량 강화
- [On the move]미국시장 힘싣는 금호타이어, 현지법인 CFO 찾는다
- [LCC 생존 재무전략]'코로나 후유증'은 얼마나 심각했나
- [CFO는 지금]SKIET 오택승 부사장 '모전자전' 그린론 활용
- [조달전략 분석]이차전지 양극재 4사 '같은 점과 다른 점'
- [CFO는 지금]리디 최기석 CFO, 승진 한 달 만에 '이사회 진입'
- [조달전략 분석]'오너'까지 만족한 코스모신소재 전환사채
- [마일리지 재무 분석]OK캐쉬백 활용한 SK에너지, 머핀멤버십으로 직접 관리
- [조달전략 분석]코스모신소재 마주한 두가지 '경고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