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입은행, 용인 데이터센터 신축 작업 '착착' 데이터센터 이전의 핵심, IT인프라 이전 작업 착수…내년 9월 완공 목표
김서영 기자공개 2023-05-16 08:13:57
이 기사는 2023년 05월 15일 13:10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수출입은행(수은)의 데이터센터 이전 작업이 순항 중이다. 지난해 12월 데이터센터 신축 공사에 착수한 이후 올해 3월 PMO(프로젝트관리조직)를 도입했다. 이어 새로운 데이터센터에 적합한 IT 인프라 구축에 나서며 사전 작업을 80%가량 미쳤다.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수은은 '데이터센터 이전 감리용역'을 공고했다. 사업기간은 올해 7월부터 내년 10월까지로 1년 4개월 동안 실행된다. 데이터센터 이전 사업은 '전자정부법' 제57조에 따라 정보시스템 감리 대상 사업이다.
이번 데이터센터 이전 감리 작업은 대규모 비용과 인력이 투입되는 고난도 사업이다. 수은은 "소프트웨어(DB·OS 등) 업그레이드, 신규 하드웨어 도입, 임시 센터 구성, 클라우드 기반 조성 등 다양한 IT 기술이 적용된다"고 밝혔다.
수은은 내년 7월 준공을 목표로 경기 용인 인재개발원 내 유휴부지에 데이터센터를 신축하고 있다. 데이터센터 이전에 드는 사업예산만 모두 397억9000만원이다. 이는 직접 구매하는 소프트웨어는 제외된 예산이다. 이를 위한 감리 예산은 11억원이다.

이번 데이터센터 이전 작업의 핵심은 IT 인프라 구축이다. 신축 데이터센터를 가동할 때 IT 서비스를 안정적이고 연속성 있게 제공하기 위해선 새로운 환경에 적합한 IT 인프라를 구축해야 하기 때문이다. 체계적이고 안전한 데이터센터 이전이 필수적인 단계다.
IT 인프라 구축 작업은 크게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기반시설 등 세 가지로 구분된다. 하드웨어 구축에 있어 기업금융플랫폼 등 최근에 도입한 장비는 새로운 데이터센터로 이전해서도 계속 사용할 방침이다. 2016년 도입돼 내용연수가 만료된 노후 핵심장비는 교체한다.
소프트웨어 가운데에서는 제조사의 기술지원이 종료된 소프트웨어는 업그레이드한다. DB, OS, JDK 업그레이드, 업무시스템 대응개발 및 통합테스트 소프트웨어가 대상이다. 성능·장애 모니터링SW, IT자산관리SW 등은 새로 도입한다.
마지막으로 신축 데이터센터에서 IT 장비를 운영하기 위한 기반설비도 설치한다. 네트워크 스위치, 보안장비 등 통신환경을 구성하는 데 의의가 있다. 서버룸 내 전원시설이나 컨테인먼트, 서버랙을 설치한다. 또 데이터센터 이전과 관련해선 전환 계획을 수립하고 모의훈련도 진행한다.
다음달 데이터센터 이전 사업에 본격적으로 착수하고 나면 다음 단계는 데이터센터 준공이다. 내년 7월 준공을 목표로 지난해 12월 데이터센터 신축 공사가 시작됐다. 내년 9월에는 완공된 데이터센터에 IT 인프라를 이전해 실제 가동에 나설 예정이다.
수은은 "데이터센터 생명주기를 고려한 IT서비스 환경을 최신화할 방침"이라며 신뢰도 높고 안전한 네트워크와 보완 환경을 고도화하고 신기술에 즉각 대응 가능한 디지털 인프라 기반을 구축하는 데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숨은 진주 SC제일은행]성장 원동력은 'SC' 브랜드 앞세운 '기업금융·WM'
- 진옥동의 싱크탱크…신한미래전략연구소장 교체
- [CFO 워치/우리은행]유도현 부행장, 자본비율 개선에 달린 기업금융 성패
- [CFO 워치]키움증권, ‘일괄신고’ 첫 발행 성공…차입만기 장기화 의지 ‘굳건’
- 경남은행 퇴직연금 상품 변경…계열 물량 '자진 해소'
- [thebell interview]"신영증권 두번째 VIP점포, 고액자산가 공략 가속도"
- [KB금융 리더십 시프트]송병철·신승협·서영호…재무라인 차기행보 주목
- [저축은행 재편 그 후]부실 상징 토마토…신한에서 '리딩뱅크 DNA' 이식
- 새마을금고, 개발도상국에 금융포용 모델 전파
- [심상찮은 카드사 비용 리스크]우리카드 이재일 상무 1년…'단기조달' 컨트롤 과제
김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사회 분석]SC제일은행, 이사회 'ESG·내부회계' 견제 기능 강화
- [KB금융 리더십 시프트]경영전략회의 데뷔 'D-100', 양종희 체제 경영 비전은
- [KB금융 리더십 시프트]'양종희 사단'에 이름 올릴 계열사 CEO는
- [KB금융 리더십 시프트]'어제의 경쟁자·오늘의 파트너'…부회장 2인 거취는
- 유명순 씨티은행장, 단독 후보로 결정…연임 '확실시'
- [KB금융 리더십 시프트]'왕관 이임식' 두 달 앞으로…인수인계 시작됐다
- [KB금융 리더십 시프트]양종희 회장 후보자, 윤종규 10년 '관성' 깨뜨릴까
- 양종희 KB금융 차기 회장 "재무적·사회적 가치 높일 것"
- [한국 금융 새 길을 묻다]'메기' 역할 실패한 인터넷은행, 과당경쟁 경계해야
- [KB금융 차기 리더는]'180도' 달라진 회추위…독립성·보안 다 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