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차세대 지형도]LS그룹 구동휘 부사장, '독보적' 평가 받는 이유②3세 경영인 중 사실상 유일한 '장자 라인'
박기수 기자공개 2023-05-24 07:21:54
[편집자주]
소유와 경영이 드물게 분리되는 국내에서 오너기업의 경영권은 왕권과 유사하게 대물림한다. 적통을 따지고 자격을 평가하며 종종 혈육간 분쟁을 피할 수 없다. 재계는 2022년 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승진과 함께 4대그룹이 모두 3세 체제로 접어들었다. 세대 교체의 끝물, 다음 막의 준비를 알리는 신호탄이다. 주요기업 차기 경영권을 둘러싼 후계 구도를 THE CFO가 점검해 본다.
이 기사는 2023년 05월 18일 15:31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대기업에 종사하는 인물들은 소속 그룹의 오너 경영인들을 종종 숫자로 지칭한다. 작년 말 종영했던 인기 드라마에서도 등장한 방법이다.역사가 길고 인물이 많은 그룹일 경우 오너 경영인들도 많기 때문에 특정 인물을 편리하게 식별하기 위해 등장했다. 예를 들어 '1-1-1'은 창업주의 장남의 장남이다. '1-1-2'는 창업주의 장남의 차남, '1-2-1'은 창업주의 차남의 장남인 식이다.
LS그룹도 내부적으로 오너들을 이런 형식으로 지칭하는 경우가 있다. LS그룹의 1세대 오너들은 '고(故) 구태회·평회·두회' 명예회장이다. 각 명예회장의 아들들인 2세대 경영인에 이어 현재 3세대 경영인까지 LS그룹의 경영에 참여하고 있다.
지금까지 LS그룹의 회장 승계 방식은 '장자 승계 원칙'을 따랐다. 차세대 리더를 알아보기 전 잊지 말아야 할 원칙이다. 회장들의 장남들인 '1-1' 故 구자홍 전 회장, '2-1' 구자열 ㈜LS 이사회 의장, '3-1' 구자은 회장이 LS그룹 회장을 순서대로 맡은 것도 이 때문이다. 현 회장인 구자은 회장은 2세대 장남들 중 마지막 회장이다.
구자은 회장이 회장직에 오른 것은 작년 1월로 이제야 2년 차에 접어들었다. 전임 회장들인 구자홍·자열 회장의 임기가 각 9년이었다. 이를 고려하면 구자은 회장도 2030년까지 LS그룹을 이끌 전망이다. 다시 말해 2030년 이후에는 LS그룹 3세 경영인이 나설 차례라는 의미다.
3세대 경영인들 사이에 회장 선임 원칙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그러나 기존 원칙대로라면 '1-1-1', 즉 2세대 장남들 중 가장 선두격인 구자홍 전 회장의 장남인 구본웅 마음커뮤니케이션 대표가 가장 유력한 차세대 리더다. 그러나 구본웅 대표는 소속명에서도 알 수 있듯 LS그룹 외부에서 자신만의 커리어를 쌓아가고 있다. ㈜LS 지분도 없다. LS그룹 승계 레이스에서 벗어났다고 보는 해석이 많은 이유다.
구동휘 부사장은 LS그룹 승계 원칙대로라면 현재 독보적인 위치다. 가계도상 구동휘 부사장은 현재 3세대 경영인들 중 유일한 장남 라인이다.
아직 먼 미래의 이야기지만 구동휘 부사장은 포지션 상 LS그룹을 장기적으로 이끌어 갈 리더일 가능성이 있다. 우선 구본웅 대표는 앞서 언급한 대로 LS그룹 경영에서 벗어나 있다. 또 현 회장인 구자은 회장은 아들이 없다.
2세대 경영인들이 9년 간격으로 회장직을 승계했던 이유는 회장직을 맡을 수 있는 '장남'격 인물이 3명(구자홍·자열·자은)이었기 때문이다. 반면 3세대 경영인들 중 장남 라인은 구동휘 부사장이 유일하다.
구동휘 부사장은 현재 구자은 회장을 제외하면 특수관계인들 중 단일 주주로서 ㈜LS의 지분을 가장 많이 보유(2.99%)하고 있다.
구동휘 부사장은 1982년생으로 2013년 LS산전(현 LS일렉트릭) 차장으로 입사했다. 이후 2016년 이사, 2017년 상무 승진 등 초고속 승진 절차를 밟았다. 2018년 말에는 ㈜LS로 전입했다가 2021년 초 E1의 대표이사로 임명됐다. 그러다 작년 말 부사장으로 승진하면서 올해 초부터 입사 회사인 LS일렉트릭 대표로 이동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신세계백화점, '그룹과 별도 행보' 브랜드본부 신설
- [롯데의 베트남 시대]"면세점은 역시 럭셔리, 신규 출점 검토"
- [Red & Blue]'황제주의 추억' 오뚜기, 잠룡일까 항룡일까
- [베일 벗은 부산 디지털자산거래소]최대 숙제 '원화 거래 지원', 부산시 지원사격 받는다
- 디딤이앤에프, 임직원 266명 탄원서 제출
- [KAI를 움직이는 사람들]재무개선 기반 강화, 박상욱 CFO 역량 '시험대'
- 라이트론, 유럽 광통신 컨퍼런스서 100G 제품 전시
- 세종텔레콤-한국토지신탁, STO 상품 개발 '맞손'
- [시험대 선 삼성 리더]대변환 시대 이끄는 최주선 사장, 미래동력 확보 과제
- [게임사 성장 로드맵]밸로프, 플랫폼으로 '성장 과도기' 넘어서나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기업집단 톺아보기]동원그룹의 도전, '조달 특명' 백관영 상무의 과제
- [기업집단 톺아보기]동원F&B·시스템즈, 동원산업 뒷받치는 힘
- [기업집단 톺아보기]동원그룹 '핵심' 동원산업, 재무 현주소는
- [기업집단 톺아보기]스타키스트, 동원그룹의 '히든 카드'
- [기업집단 톺아보기]'지주회사' 동원산업, HMM 인수 자신감의 원천은
- [the 강한기업/성일하이텍]투자 위한 재무체력도 '합격점'
- [기업집단 톺아보기]HMM 도전장 내민 동원그룹, 튼튼한 지분고리 '강점'
- [the 강한기업/성일하이텍]재무구조 개선 역사, 이강명 회장의 지배력 희생
- [the 강한기업/성일하이텍]해외 배터리 공장 옆에 성일하이텍 공장도 있다
- [the 강한기업/성일하이텍]이차전지 시장 확대에 매출·수익성 '날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