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B생명, 후순위채 발행…산은 매각의지 반영됐나 콜옵션 상환 후 남은 자금 자본확충 가능…원매자 인수 부담 줄여
김형석 기자공개 2023-09-12 08:05:32
이 기사는 2023년 09월 11일 07:11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KDB생명이 지난달 1425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에 이어 12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권 발행을 추진한다. KDB생명의 후순위채 발행은 금융권 안팎에서는 이미 예견된 상황이다. 다만 발행 규모는 기존 전망보다 400억원 많은 점은 주목된다. 일각에서는 후순위채 발행 규모가 확되된 데에는 산업은행의 KDB생명 매각 의지를 보여줬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후순위채 규모를 확대는 KDB생명 인수 우선협상대상자인 하나금융지주의 자본확충 부담을 완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8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KDB생명은 지난 1일 이사회에서 1200억원 규모 후순위채를 발행을 결정했다. KDB생명은 발행 조건은 10년 만기에 5년 콜옵션(조기상환권) 후순위채를 발행할 예정이다. 대표주관사는 메리츠증권이 맡는다.
KDB생명의 이번 후순위채 발행 규모는 금융권 안팎의 예상보다 400억원가량 많은 액수다. 금융권에서는 KDB생명이 이달 22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 콜옵션 상환을 위해 8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를 발행할 것으로 전망했다.

KDB생명은 지난달 2일 유상증자를 통해 1425억원의 자본을 확충했다. 유상증자 금액을 고려할 때 후순위채 콜옵션 상환에 필요한 자금은 800억원 수준이다.
KDB생명이 12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 발행에 성공하면 400억원 규모의 자금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다. 400억원은 KDB생명에 적지 않은 자금이다. 지난 6월 말 기준 KDB생명의 자기자본(총자산-부채)은 68억8700만원에 불과하다.
KDB생명은 후순위채 상환 후 남은 자금은 자산건전성 개선에 활용할 수 있다. KDB생명의 3월 말 기준 신지급여력비율(K-ICS)은 47.7%(금융감독원 경과조치를 적용 시 101.7%)에 불과했다. KDB생명이 성공적으로 1200억원의 후순위채를 발행하면 킥스 비율 상승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번 후순위채 발행 규모 확대에는 대주주인 산은의 KDB생명 매각 의지를 보여줬다는 평가도 나온다. KDB생명은 사실상 산은이 보유하고 있다. 산은(68.2%)은 칸서스자산운용과 공동 설립한 KDB칸서스밸류PEF를 통해 KDB생명의 지분 92.73%를 갖고 있다.
산은은 현재 KDB생명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하나금융을 선정하고 매각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하나금융은 재무건전성이 취약한 KDB생명을 두고 내부에서 인수 이견이 큰 상황이다.
투자은행(IB) 한 관계자는 "하나금융이 KDB생명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지만 취약한 KDB생명의 재무건전성으로 내부에서는 인수를 두고 이견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번 KDB생명이 시장 예상보다 많은 액수의 후순위채 발행을 결정한 것은 산은이 KDB생명의 재무건전성을 확보해 하나금융의 비용 부담을 낮추기 위한 전략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이 같은 산은의 전략은 전제조건은 1200억원의 규모의 후순위채 발행 성공에 있다"며 "KDB생명이 산은의 보증이 없는 이번 후순위채 발행에 성공하면 하나금융이 향후 자본확충을 통한 KDB생명의 정상화 계획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CFO 워치]부동산PF 리스크 수습 중책 맡은 하이투자증권 '초임 임원'
- [IB 풍향계]위워크 파산 후폭풍…KB증권 해외실사 '더 꼼꼼히'
- 박종문호 시동 삼성증권, 그룹내 위상 달라졌다
- '경영권 분쟁' 다올투자증권, 법률 대리인 화우 선임
- 최훈 싱가포르 대사 손보협 차기 회장 유력 후보로 부상
- 삼성생명-코리안리, 공동재보험 계약…윈윈 전략
- [저축은행경영분석]OK저축, 러시앤캐시 인수 효과 눈길...건전성 과제 여전
- 교보라이프, 바이오회사에서 CEO 영입한 노림수는
- [금융지주 계열사 성과평가/신한금융]진옥동 회장의 '일류신한' 실험…난관 속 혁신
- [금융지주 계열사 성과평가/KB금융]양종희 '회장'에 대한 첫 성과평가…산적한 난제들
김형석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최훈 싱가포르 대사 손보협 차기 회장 유력 후보로 부상
- 삼성생명-코리안리, 공동재보험 계약…윈윈 전략
- 교보라이프, 바이오회사에서 CEO 영입한 노림수는
- 삼성, 통합 브랜드 1년만엔 계열사간 CEO 연쇄 이동
- 이문화 삼성화재 대표 선임…영업·기획력 갖춘 인재
- 삼성생명, 홍원학 신임 대표 선임…3년 만에 친정 금의환향
- [삼성화재 인사풍향계]실적 앞세운 홍원학 대표, 연임·이동 갈림길
- 비과세·해외투자 가능 미래에셋생명 변액보험 주목
- 우체국예금, 자산운용 수익률 플러스 반전
- [DB손보 인사풍향계]'영업통' 우대…법인·해외사업 임원 승진자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