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환 금융위원장 "은행 금리 개입 조심스럽게" [현장줌人] 인하 방향성은 동의…"기준금리 인하분 충분히 반영 안 된 측면 있다"
이재용 기자공개 2025-01-23 12:50:50
이 기사는 2025년 01월 22일 14시5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사진)이 은행의 금리 개입에 대해 조심스러워야 한다는 의견을 내비치면서도 은행들이 기준금리 인하분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올해에는 두 차례 인하한 기준금리를 반영해 대출금리 등을 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앞서 지난 20일 이 대표와 더불어민주당 소속 정무위원들은 은행장들을 소집했다. 애초 당이 추진 중인 은행법 개정안에 대해 은행권의 협조 등을 당부하기 위해 마련한 자리였지만 과도한 개입이라는 비판 여론이 일자 '상생금융'을 요청하는 방향으로 선회했다.
정부나 정치권의 인위적인 금리 개입에 조심스러운 의견을 냈지만 방향성까지 부정하진 않았다. 실제 김 위원장은 이날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두 차례 인하했음에도 금리 인하 속도와 폭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측면은 분명히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기준금리가 내려오면 기본적으로 대출금리에 반영해야 한다"며 "올해 일부 은행들이 가산금리 인하 조치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런 방향으로 모니터링하고 점검해 나가겠다"고 했다. 시차가 존재하니 이제는 인하분을 반영하라는 주문이다.
한편 가계부채 증가율은 경상성장률 범위(3.8%) 내에서 관리할 계획이다. 이럴 경우 90%를 넘어가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하락 흐름을 지속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하락 흐름은 3년째 이어지고 있다.
다만 지방은행의 대출 공급에는 여유를 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김 위원장은 "지방은행은 지방 부동산 시장 상황 등을 감안해 정책 배려가 필요한 부분이 있다"며 "지방은행은 가계대출 증가율을 더 탄력적으로 협의해 3.8% 범위보다 좀 더 높을 수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상환능력에 맞춰 빌리는 관행 정착을 위해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도입은 예정대로 7월부터 시행한다. 김 위원장은 "스트레스 금리 수준과 적용 대상 등은 가계부채 증가 수준과 부동산 시장 상황 등을 고려해 4~5월 중 구체적으로 정해서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결국 예상대로…다올증권 황준호 대표 연임 가닥
- [공매도 전면 재개 점검]핵심 수익원 '대차' 열린다…증권사 PBS 영업 채비 분주
- [한국캐피탈은 지금]거침없는 성장 가도…정상철 대표 목표 순익 1000억 순항
- 보험사 자본규제 '패러다임' 바뀐다
- [금융지주 밸류업은 지금]메리츠금융, 은행 없이 금융지주 시총 2위권 오른 비결은
- [저축은행 부실 PF 사업장 점검]웰컴저축, 2년새 PF 반토막…자율매각·공매 '투트랙'
- 임재택 변심에 당황한 다올증권, 황준호 체제 이어지나
- 한투저축, 전찬우 대표 사실상 연임…쇄신보단 '안정'
- 삼성생명, 이사진 3명 교체...위원회 개편은 최소화
- 오우택 한투캐피탈 대표 재연임…부동산금융 의존도 해소 과제
이재용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보험사 자본규제 '패러다임' 바뀐다
- [금융정보분석원 돋보기]초국경적 자금세탁 대응 위한 '유기적' 국제 공조
- 금감원, 올해 은행검사 키워드 '내부통제·리스크'
- [Sanction Radar]위기의 기업은행, 준법감시 고도화 착수
- [금융정보분석원 돋보기]가상자산 제도화 첨병…악용 방지에 심혈
- [신한금융 CEO 인사이트]"사무수탁 시장 일등 넘어 일류로"
- [금융정보분석원 돋보기]수사기관 공조 '키맨' 송명섭·길우근
- [금융정보분석원 돋보기]'심사분석·공조'에 무게 실린 조직 구성
- [이사회 모니터/IBK기업은행]'노조추천이사제' 불발에도 잡음 없던 까닭은
- FIU, AML 취약부문·고위험 기관 집중 검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