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성욱 JT친애저축 대표 재연임…3년 만에 흑자 전환 기대 안정화된 건전성 바탕 중금리대출 취급 확대…연임 임기 1년
김경찬 기자공개 2025-03-10 12:35:59
이 기사는 2025년 03월 06일 17시3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최성욱 JT친애저축은행 대표(사진)가 사실상 재연임에 성공했다. 최 대표는 지난 2년간 신용평가시스템(CSS)을 개편하며 건전성을 개선하는 성과를 거뒀다. 아직 적자가 이어지고 있지만 손실 규모도 대폭 줄여나가고 있다.올해 최성욱 대표의 당면과제도 흑자 전환이다. JT친애저축은행은 전통적으로 강점을 지닌 중금리대출 위주로 영업에 나서고 있다. 재정비를 마친 신용평가시스템에 기반해 취급 규모를 점차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J트러스트 계열 저축은행서 10년간 대표직 수행

최성욱 대표는 1967년생으로 저축은행업계에서는 경영전략통으로 평가된다. 최 대표는 2008년 삼화저축은행에 합류하면서 업계에 첫발을 내디뎠다. 이후 미래저축은행(현 JT친애저축은행) 인수전에 직접 참여하며 성공적으로 인수하는 데 기여했다. 최 대표는 2012년 JT친애저축은행 출범 이후 3년간 경영본부장을 맡았다.
2015년에는 그룹 계열사인 JT저축은행 대표이사로 부임해 8년간 대표직을 수행했다. 최성욱 대표가 이끄는 동안 JT저축은행은 총자산이 5배 성장했으며 8년 연속 흑자 기조를 유지했다. 임추위는 최 대표에 대해 "JT저축은행 대표로 약 8년간 재임하며 우수인재를 확보하고 리스크관리와 심사역량을 강화하는 등 저축은행과 그룹사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최성욱 대표는 2023년 J트러스트의 지배구조 개편과 함께 JT친애저축은행으로 이동해 현재까지 대표를 맡고 있다. 그룹 내 신망도 두터워 10년 넘게 최 대표를 국내 저축은행 계열사 대표로 중용하고 있다. 임추위는 "최성욱 대표가 JT친애저축은행 대표이사로 선임돼 회사의 발전을 위해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며 추천 이유를 밝혔다.

◇부임 이후 신용평가시스템 개편 집중, 건전성 개선세
최성욱 대표는 올해 흑자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최 대표가 부임한 이후 JT친애저축은행은 2년 연속 적자를 기록하며 경영실적이 부진한 편이다. 2023년 순손실 규모는 361억원이며 지난해에는 1~3분기 누적 99억원의 적자가 발생했다. 대출 부실이 발생하면서 대손충당금 적립 규모가 확대된 여파다. 적자폭은 줄였으나 8분기 연속 순손실이 이어졌다.
최성욱 대표는 신용평가시스템 개편에 집중하며 건전성관리에서는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대출 심사 변별력을 높이며 연체율과 부실률을 낮췄다. 연체율의 경우 1년 만에 6%를 하회했으며 11%대였던 부동산PF 연체율은 3.83%로 개선됐다. JT친애저축은행은 다른 저축은행보다 부동산PF 비중이 낮아 대손비용도 절감할 수 있었다.
올해는 개인신용대출 중심으로 흑자 전환을 이뤄내겠다는 목표다. JT친애저축은행은 지난해부터 중금리대출 취급을 늘려나가고 있다. 지난해 취급한 중금리대출 규모는 5564억원으로 전년(1744억원) 대비 68.7% 확대됐다. JT친애저축은행은 고도화된 신용평가시스템을 기반으로 올해 중금리대출 취급 규모를 더욱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우리금융, '회장 3연임 주총 특별결의' 신설…금융권 영향은
- [카드사 글로벌전략 점검]신한카드, 글로벌 4각편대…카자흐, 'JV전환' 덕 봤다
- [여전사경영분석]NH농협캐피탈, 건전성 중심 운영 지속…상반기 실적 전망은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CET1비율 새 목표 '13%', 자본 배치 계획은
- [캐피탈사 해외법인 실적 점검]BNK캐피탈, 중앙아 법인 성장 궤도 안착…신사업 추진 지속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금융지주 계열 생보사, 중위권 싸움 불붙는다
- [Rating Watch]등급 상향 기대감 LG CNS, 남은 트리거 ‘차입금의존도’
- [IR Briefing]카카오뱅크, 월등한 여신 성장 자신감 배경엔 '개인사업자'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임종룡 회장 '비은행' 재건 완수, 추가 보강 계획은
- [은행경영분석]카카오뱅크, 수신 운용이 견인한 순익 성장세
김경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여전사경영분석]NH농협캐피탈, 건전성 중심 운영 지속…상반기 실적 전망은
- [캐피탈사 해외법인 실적 점검]BNK캐피탈, 중앙아 법인 성장 궤도 안착…신사업 추진 지속
- [여전사경영분석]iM캐피탈, 3년 만에 기지개…수익 구조 최적화 '결실'
- [캐피탈사 해외법인 실적 점검]BNK캐피탈, 동남아서 희비 엇갈려…성장 동력 확보 집중
- [thebell interview]"수익성 회복에 집중, 기업·투자금융 확대로 미래 동력 확보"
- [여전사경영분석]우리금융캐피탈, 대손비용 부담 확대로 실적 개선 제동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SBI저축 김문석 체제 그대로, 교보생명과 시너지 방안은
- BNK캐피탈, 소매 연체 확대에 아쉬운 순익 '뒷걸음'
- 하나캐피탈, 올해도 이어진 영업 부진…수익성 회복 '위안'
- JB우리캐피탈, 2540억 목표 순항…실적 견인한 포트폴리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