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 M&A]금호아시아나 "'조건부 컨소시엄' 수용 불가""협상 원점으로 돌아가, SI 등 투자자 모집 차질"
길진홍 기자공개 2017-03-28 14:18:54
이 기사는 2017년 03월 28일 13:26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이 금호타이어 인수 자금 조달을 전제로 한 컨소시엄 허용 논의는 사실상 전략적투자자(SI) 등 모집 자체를 봉쇄한 것이라며 수용 불가 입장을 내놨다.채권단이 자금 모집 단계에서 컨소시엄 불허 방침을 고수할 경우 법적 대응도 검토하고 있다.
금호아시아나 관계자는 28일 "자금계획서 제출 후 이뤄지는 컨소시엄 허용 논의가 마치 조건부로 컨소시엄을 인정한 것처럼 알려졌으나, 이는 다시 각 채권은행 표결을 거쳐야 하는 사안으로 사실상 협상이 원점으로 돌아간 것과 다름없다"고 밝혔다. 이어 "초기 컨소시엄 구성을 인정하지 않을 경우 SI 등 투자자 모집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박삼구 금호아시아나 회장의 요청으로 의결 절차를 진행한 채권단이 제시한 '후 컨소시엄 허용'을 거절한 것으로 금호타이어 우선매수청구권을 둘러싼 갈등이 지속될 전망이다.
채권단은 금호타이어 우선매수청구권을 보유한 박 회장의 요청을 받아들여 컨소시엄 구성 허용에 관한 안건을 올리고 3월 22일부터 표결을 진행해 왔다. △제3자를 인수자로 지정하는 컨소시엄을 인정한다 △우선매수청구권자가 구체적이고 타당성 있는 컨소시엄 구성 방안을 제출할 경우 허용 여부 논의를 추진한다는 안건 2개가 올랐다.
마감일인 3월 27일까지 동의서가 접수가 완료되지 않은 가운데, 28일 두 번째 안으로 채권단 결의가 이뤄졌다. 최대 의결권을 보유한 우리은행과 산업은행이 모두 '후 컨소시엄 허용'에 찬성표를 던졌다. 박 회장은 컨소시엄을 구성해 자금을 조달하고, 계획서를 검증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됐다. 그동안 수세에 몰린 박 회장이 유리한 국면을 이끌어 냈다는 평가도 나온다.
하지만 금호아시아나는 컨소시엄 구성을 초기부터 허용해달라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 하고 있다. 이 상태로는 투자자 모집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컨소시엄을 먼저 허락할 경우 다수의 SI들이 대기 중이라며 자금 조달을 자신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박 회장이 컨소시엄에 매달리면서 약 1조 원의 자금 조달이 완전하게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우군으로 알려진 효성 등 국내 대기업을 비롯한 해외 투자자들이 모호한 입장을 취하면서, 이들을 설득하기 위한 강력한 리더십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양측의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면서 금호타이머 매각은 소송 전으로 비화될 가능성도 커졌다. 박 회장은 그동안 경영정상화 약정 조항을 근거로 채권단 매각 절차의 부당함을 호소해 왔다.
막판 극적인 합의가 이뤄지더라도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금호산업이 보유 중인 금호타이어 상표권 협상을 매듭지어야 한다. 한국과 중국에서 각각 기업결합 신고도 마쳐야 한다. 사드 배치 등으로 악화된 중국 여론이 박 회장 측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KT&G, 찻잔속 태풍 '행동주의 공세' 성장 플랜 속도낸다
- 백복인 KT&G 사장 "매출 증대 '경영 효율성' 제고 최우선"
- 이엔플러스, '2차전지 주역' 강태경 각자 대표 선임
- [코스닥 주총 돋보기]티에스아이 사외이사, 이사회 1회 출석당 400만원 '꿀보직'
- 한국알콜 행동주의 통했다…트러스톤 이사회 입성 성공
- 새 최대주주 맞은 '아우딘퓨쳐스', 화장품+신사업 밸류업 시동
- [증권사 IB, 유상증자 비즈니스 전략]KB증권, 코스닥 기업 집중 전략...SME본부까지 신설
- [증권사 PF-ABCP 긴급점검]한국증권, 신용보강 확 줄였지만 '브릿지론' 부담가중
- 대규모 차입부담 두산테스나, 믿을맨은 중장기 성장성
- [넘버원 K-가전 기술]위닉스, 50년 탑티어 '열교환기'의 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