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공유' 쉐어잇, 시리즈A 투자 유치 더벤처스·산업은행·KST·연세대 등 자금 집행, 공유 거점 확대
배지원 기자공개 2018-10-18 08:18:34
이 기사는 2018년 10월 17일 14시2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유휴공간 공유플랫폼 '쉐어잇'이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 초기 시드(Seed) 투자를 집행한 더벤처스는 첫 투자 1년 6개월 만에 후속투자를 실시했다.17일 업계에 따르면 쉐어잇은 산업은행, 한국과학기술지주, 연세대학교기술지주로부터 10억원의 투자를 받았다. 지난해 1월 설립한 이후 같은해 10월 민간주도형 기술창업지원 프로그램 팁스(TIPS) 프로그램에 되는 등 성장의 발판을 다지고 있다.
쉐어잇은 생활체육시설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는 업체로 학교 생활체육시설 공유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학교 생활체육시설을 공유플랫폼에 등재해 시민 생활체육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현재 서울과 경기도에 11개 거점을 마련하고 450개의 유휴공간을 확보했다. 누적 공간 이용자수는 약 3만명으로 알려졌다.
더벤처스는 처음 시드투자를 집행한 뒤 쉐어잇의 서비스가 시장에 안착하는 것을 보고 후속투자를 결정했다. 산업은행도 쉐어잇의 사업성과 공공성을 인정해 투자에 참여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출자 투자기관인 한국과학기술지주(KST)에서도 쉐어잇이 기술력과 실행력을 높게 평가해 투자했다. KST는 주로 화학, 바이오, IT 기술선도기업에 투자해왔다. O2O 기업 가운데 쉐어잇이 최초로 KST의 투자를 받게 됐다.
이밖에 연세대학교기술지주(YUTH)도 공간공유사업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면서 전략적투자자로 참여했다.
스쿨쉐어링은 학교 체육시설 전체를 위탁운영비를 받고 관리하고 이 공간을 기관, 기업, 소모임 행사 등 생활체육동호인에게 대관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약 120개 기업과 920개의 동호회가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학교 내 공간의 본래 목적을 넘어서는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켰다.
특히 스쿨쉐어링의 관리자로 지역밀챡형 시니어를 채용하거나 대학연계형 장학생을 채용하는 등 사회공헌에도 나서고 있다. 이를 토대로 서울시 공유경제기업으로 지정됐다.
쉐어잇은 사용자와 시설, 프로그램 등의 스포츠콘텐츠간 실제 연결률을 높이는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사용자는 개인 최적화된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고 콘텐츠 공급자는 회전율 증가를 통해 안정적인 매출을 얻을 수 있다.
쉐어잇은 이번에 투자받은 금액을 서비스 고도화와 인력채용, 마케팅 강화 등에 사용할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NPL 자금조달 리포트]대신F&I, 공격적 투자에 단기조달 확대…NPL 매입 '적기 대응'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1위 저축은행 PBR 0.95배, 상상인그룹은 '난색'
- [Policy Radar]금융당국, SKT 사태 '비상대응본부' 구성
- [은행경영분석]농협금융, 예대업 약화…낮아진 비은행 기여도 '설상가상'
- [여전사경영분석]우리금융캐피탈, 대손비용 부담 확대로 실적 개선 제동
- [금융 人사이드]캠코 사장 단독후보에 정정훈 전 세제실장…'자본확충' 첫 시험대
- [은행경영분석]제주은행, 90% 넘는 지역 의존도…가파른 연체율 상승세
- [은행경영분석]BNK금융, 건전성 지표 저하 '밸류업 복병' 부상
- [금융사 KPI 점검/하나은행]본사 정책 평가 강화, '건전성·손님만족' 항목 힘줬다
- [Policy Radar]보험업법 규제 기준 킥스비율 130%로 낮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