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병연 체제' 롯데케미칼, '수소 드라이빙' 거나 [2019 승부수]신년사서 신성장동력으로 직접 언급…"저장탱크·인프라 개발 필요"
박기수 기자공개 2019-01-08 09:02:07
이 기사는 2019년 01월 07일 15시0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롯데케미칼의 새로운 성장 동력 키워드로 '수소'가 언급되고 있다. 롯데케미칼의 신임 대표이사 임병연 부사장(사진)이 신년사에서 신성장동력으로 직접 수소인프라를 언급하면서다. 올해 스페셜티 제품을 비롯한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을 위해 활발한 인수·합병(M&A) 작업을 거칠 것으로 전망되는 롯데케미칼이 수소와의 접점을 어떻게 확장해갈지 업계의 관심이 쏠린다.
|
롯데케미칼과 수소는 낯선 조합이다. 롯데케미칼은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등 올레핀(Olefin) 제품과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아로마틱스(Aromatics) 제품 및 이를 원료로 한 합성수지, 합성원료, 합성고무 등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하는 석유화학 '한 우물' 기업이다.
좁게나마 교집합이 있긴 하다. 2014년 3월 롯데케미칼은 스위스 제네바 모터쇼에서 수소연료차 '인트라도'를 전시했다. 인트라도는 현대자동차와 공동 개발한 초경량 탄소섬유 복합재와 롯데케미칼이 독자 개발한 친환경 소재가 적용됐다. 롯데케미칼은 현재까지 현대자동차와 수소차 소재로 쓰일 경량화 제품을 연구·개발하고 있다.
수소인프라가 당장 롯데케미칼의 먹거리가 될 확률은 희박하지만 롯데케미칼의 신성장동력 및 잠재적 M&A 사업군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올해는 '허수영 BU장·김교현 대표이사' 체제에서 '김교현 BU장·임병연 대표이사' 체제가 된 첫해다. 임병연 부사장은 롯데지주에서 가치경영실장을 맡으며 그룹 내 M&A 작업을 진두지휘해왔다. 그간 M&A의 중요성을 역설해오던 롯데케미칼이 올해 M&A 시장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임 부사장은 '수소' 외 스페셜티 제품 개발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임 부사장은 "사업 다각화를 위한 스페셜티 제품 개발은 롯데케미칼 미래의 또 다른 큰 축"이라며 "범용제품과 더불어 롯데케미칼만의 특화된 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롯데케미칼은 올해 한 층 더 진화한다. 올해 상반기에 미국 에탄크래커 및 MEG 사업의 상업 가동이 예정돼있고, 여수 POE 사업, PC 증설 사업 등이 하반기에 상업 생산을 준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천문학적 자금이 소요되는 인도네시아 유화단지 건설 사업 역시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복귀 이후 활기를 되찾은 모양새다.
다만 완만한 하강세를 타기 시작한 석유화학의 '싸이클(주기)'은 올해 롯데케미칼에 부담 요소다. 임 부사장은 "2019년 외우내환의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초심의 자세로 위기를 극복해 나아가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김화진칼럼]영국 RBS
- '환경 변화 고려' CJ제일제당, 그린바이오사업 계속 키운다
- [DN솔루션즈 IPO]고심끝 상장 철회…비우호적 시장 환경에 '결단'
- [i-point]신테카바이오, ‘2025 글로벌 IP 스타기업’ 선정
- [i-point]채비, 서울시 전기버스 충전 인프라 확대 사업자 선정
- [영상/Red & Blue]현대엘리베이터 '주주환원, 리포트, 실적' 삼박자
- 기지개 켜는 인성정보의 '헬스케어'
- [i-point]인텔리안테크, 정부 저궤도 위성통신망 구축 '핵심'
- [NHN 리빌딩]'아픈 손가락' 콘텐츠, 더디지만 잠재력 확신
- [영상]‘메타가 탐낸’ 퓨리오사AI의 백준호 대표에게 들었다…회사의 향후 계획은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소명해야 할 것
- [조선업 리포트]삼성중공업, 3년만에 FCF '플러스' 전환…4883억 순상환
- [조선업 리포트]삼성중공업, 관과의 '연결 고리' 강화
- [밸류업 성과 평가]DB손보, 금융권 2위…메리츠에 모자랐던 '한 끗'은
- [밸류업 성과 평가]포스코홀딩스, 업황 악화에 고전…밸류업 '하위권'
- [Financial Index/한화그룹]그룹 전반 차입 부담 심화, 에어로 유증만으로 될까
- [밸류업 성과 평가]'10위권 밖' HMM, 마의 PBR 1배 '벽'
- [밸류업 성과 평가]HD현대일렉트릭, 밸류업 1위 영예…실적·주가 완벽 뒷받침
- [밸류업 성과 평가]코스닥 기업 80%가 TSR 마이너스, 밸류업 의지 절실
- [조선업 리포트]사업부에 힘 싣는 한화오션, 관료 출신 사외이사도 영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