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모피아인베스트, 강남 신축빌딩 연이어 매각 브랜드칸타워I·브랜드칸타워II 각각 504억·450억에 처분, 우리은행 거래 등장 '눈길'
김경태 기자공개 2019-09-25 13:22:00
이 기사는 2019년 09월 24일 16시3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부동산디벨로퍼 제모피아인베스트(옛 브랜드칸)가 서울 강남에서 신축 빌딩 매각에 잇달아 성공했다. 올해 상반기에 반포동의 '강남대로 브랜드칸타워I'을 매각한 데 이어 가장 최근 완공한 '삼성역 브랜드칸타워II'를 일본계 기업인 한국호쿠쇼에 처분했다.24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제모피아인베스트는 지난달 초 한국호쿠쇼와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88길 15(대치동 944-23)에 있는 삼성역 브랜드칸타워II를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그 후 지난달 말 거래를 완료했다. 매매가는 450억원이다.
제모피아인베스트는 올해 5월 브랜드칸에서 상호를 바꾼 부동산디벨로퍼다. 그간 토지를 확보한 후 새 건물을 올리고, 주로 매각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진행해왔다. 서초역 네모플러스, 구로디지털단지 대양빌딩 등 다수의 프로젝트를 한 경험이 있다.
브랜드칸타워II 토지의 경우 개인 소유자 K씨가 1975년부터 소유하고 있었던 곳인데, 제모피아인베스트가 2016년 12월 200억원에 매입한 후 사업을 진행했다. 그 후 올해 3월 건물을 준공한 후 매각에 나섰고 투자금을 회수하게 됐다.
|
제모피아인베스트는 올해 3월에도 서초구 강남대로 527(반포동 722-20)에 만든 신축 빌딩인 강남대로 브랜드칸타워I을 매각한 바 있다. 제모피아인베스트는 2014년 개인 공유자 K씨로부터 해당 토지의 지분 70%를 154억원에 매입했다. 같은 해 개인 공유자 L씨로부터 나머지 지분 30%를 약 20억원에 사들인 후 개발에 나섰다.
그 후 2016년 11월에 지하 6층~지상 16층, 연면적 6985㎡규모의 건물을 신축했다. 올해 3월 경기 용인에 기반을 둔 ㈜와이엠지와 매매계약을 체결한 후 다음 달 거래를 마쳤다. 매각가는 545억원이다. 제모피아인베스트는 올해 2건의 강남빌딩 매각으로 1000억원의 자금을 손에 쥐게 된 셈이다.
한편 2건의 거래에 우리은행이 관여돼 있어 눈길을 끈다. 앞서 우리은행은 와이엠지가 브랜드칸타워I을 매입할 때 자금을 제공했다. 강남대로 브랜드칸타워I에 근저당권을 설정했고 채권최고액은 504억원이다. 일반적으로 채권최고액이 대출액의 120%~130%로 정해진다는 점을 고려하면 387억~420억원가량을 빌려준 것으로 추산된다.
한국호쿠쇼가 삼성역 브랜드칸타워II를 매입할 때도 같은 방식으로 자금을 빌려줬다. 부동산에 근저당권을 설정했고 채권최고액은 360억원이다. 대출액은 276억~300억원 정도로 계산된다. 총거래가의 60%를 웃도는 금액이다.
한국호쿠쇼가 우리은행의 도움을 받은 데는 자체 자금이 소규모라는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일본의 물류설비업체인 호쿠쇼는 1996년 서울사무소를 만든 후 2004년에 한국호쿠쇼를 설립했다. 꾸준히 흑자를 기록하는 알짜 기업이지만 규모가 크지는 않다.
작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70억원, 12억원이다. 전년보다 각각 4.2%, 15.9% 줄었다. 작년 말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44억원, 단기금융상품은 45억원이다. 합계는 89억원으로 전년보다 11.8% 감소했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오비맥주 카스, 브랜드 아이덴티티 리뉴얼 예고
- “해외 브랜드 추가 인수 막바지, 사계절 포트폴리오 강화”
- [상폐 기로 에스유앤피의 절치부심]수년간 쌓아온 신뢰도 확고…"좀비기업 아니다" 호소
- [상폐 기로 에스유앤피의 절치부심]150억 매출 달성 자신감, 반도체 전문 투자사 도약 목표
- [i-point]씨유메디칼, 작년 영업익 78억 달성
- [코스닥 상장사 매물 분석]매각 난항 겪는 다보링크, 관리종목 지정 우려
- [유동성 풍향계]제일기획, 현금창출 확대에 보유현금 '역대 최고'
- [석유화학 숨은 강자들]'농협 입김' 남해화학 이사회, '독립성·다양성' 과제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사후 대책 이행에도 경영평가 '3등급 하향' 현실화
- [제4인터넷은행 풍향계]인가전 빠지는 더존비즈온…경쟁 우위 선 한국소호은행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침묵 깬' 이재용의 절박함, '사즉생'이 준 무게감
- 삼성전자, 사업지원TF 출신 임원 '중용' 기조 뚜렷
- 삼성SDI, 자산매각·유증 '전방위 조달'
- LG전자, 카이아 넘어 이더리움·USDC도 손댔다
- 곽동신 한미반도체 회장, 멈춤 없는 주주가치 제고
- 이재용 회장, 삼성물산 소송 3심 대응 본격화
- 삼성전자, 사업지원TF 세 유지 속 '세대교체'
- [이사회 모니터/하만]삼성이 이끈 구성원 변화, 관전포인트 'B2C'
- '그룹' 차원의 삼성, 우리 경제의 핵심무기
- [Company Watch]SK하이닉스, 본사 곳간 넉넉·솔리다임 고민 '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