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BNPP, 펀드 설정액 5조 증가 'MMF 효과' [자산운용사 경영분석]③BEST법인용MMF 4조 유입…코로나19 영향 유동자금 MMF 쏠림 '수혜'
김진현 기자공개 2020-08-26 08:16:47
이 기사는 2020년 08월 24일 16:34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이 머니마켓펀드(MMF) 등 단기금융 상품 덕분에 전체 펀드 설정액을 늘릴 수 있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갈 곳 잃은 자금이 연초 이후 계속해서 MMF로 유입되면서 수혜를 입었다.24일 금융투자협회 공시에 따르면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의 상반기 펀드 설정액은 34조 7413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상반기에는 29조 1887억원을 기록했다. 펀드 설정액은 전년 대비 5조 5526억원(19%) 증가했다.
설정액 증가를 견인한 건 MMF 등 단기금융상품이다. 연초 이후 단기금융펀드로만 4조 5066억원이 유입됐다. 특히 개별 펀드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연초 이후 '신한BNPP BEST법인용MMF GS-1' 펀드로만 4조 1515억원이 유입됐다.
해당 펀드는 국내 설정된 MMF 가운데 가장 많은 자금을 연초 이후 끌어모았다. 올해 6월말 기준 국내 단기금융펀드 전체 설정액은 134조 9924억원이었다. 연초 104조 8606억원이었으나 유동자금 증가와 함께 그 규모가 역대 최대치로 커졌다.
해당 펀드의 주요 판매 채널은 신한금융투자였다. 6월말 기준 신한금융투자의 판매 비중은 17.63% 였다. 뒤이어 메리츠증권(7.93%), 하이투자증권(5.68%) 등 순으로 해당 MMF를 많이 판매했다.

MMF 위주로 외형이 커졌으나 사모펀드에서도 유의미한 설정액 증가가 나타났다. 사모펀드 설정액은 15조 573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에는 13조 1924억원이었다. 1조 8649억원(14.14%) 증가한 수치다.
사모펀드는 법인 고객을 겨냥한 채권형 펀드와 퇴직연금 운용 등을 위해 만들어진 상품 위주로 자금이 몰렸다. '신한BNPP법인용전문투자형사모45(채권)'에 연초후 998억원이 유입됐다. 지난해 12월말 설정된 '신한BNPP퇴직연금전문투자형사모혼합자산13'도 연초후 850억원을 끌어모았다.
이밖에 주가연계펀드(ELF) 등 파생형 상품도 설정액 증가에 기여했다. 파생형 펀드 설정액은 2조 2782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4550억원(24.95%) 증가한 수치를 기록했다. 지난해에는 1조 8232억원이었다. 은행이 ELT 등 주가연계증권(ELS) 관련 신탁 판매가 어려워지자 대안으로 ELF 판매를 늘리면서 덩달아 설정액이 늘어났다.
전통적인 투자자산인 주식형 펀드와 채권형 펀드는 외형이 축소됐다. 개인투자자 주식 직접 투자 열풍으로 인한 외형 축소로 보인다. 주식형펀드 설정액은 1조 9099억원으로 전년 대비 7591억원(-28.4%) 감소했다. 채권형 펀드 역시 6253억원으로 1년전 7050억원보다 797억원(-11.3%)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부동산펀드와 특별자산펀드도 외형이 줄긴 마찬가지였다. 부동산펀드 설정액은 689억원으로 1000억원 아래로 떨어졌다. 지난해 설정액은 1517억원이었다. 특별자산펀드 설정액은 2조 107억원으로 지난해에 비해 소폭 감소했다. 작년 특별자산펀드 설정액은 2조 700억원이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칼라일, 카카오모빌리티에 3억달러 투자한다
- 빅히트엔터, 와이지플러스에 700억 투자
- 네스엠, 게임 전문가 이사진 영입
- 시노펙스, ePTFE 마스크 EU·中 수출 '초읽기'
- 유암코, STX조선 최종 인수…SPA 체결 임박
- [VC 팔로우온 투자파일]디쓰리쥬빌리, 'AI' 테스트웍스 떡잎 알아본 동반자
- [League Table Awards]CS·삼정KPMG·김앤장, 위기속 성과 빛났다
- [League Table Awards]위기 속 최대 실적…부채자본시장 이끈 주역들
- [League Table Awards]'위기'를 '호황'으로…주식자본시장의 승부사들
- SK렌터카, ESG채권으로 친환경차 프로젝트 '첫발'
김진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13년 우군' 떠나는 신영증권 지배구조 흔들릴까
- [thebell League Table/헤지펀드]'역성장' PBS 시장…KB증권 '나홀로' 빛났다
- [thebell League Table/헤지펀드]포트코리아, 본업 부동산 '약진'...헤리티지 '다크호스'
- [thebell League Table/헤지펀드]PTR운용, 기술력 갖춘 중소형주 투자 '압권'
- '원조' 가치투자 루안커니프, 신영증권 지분 덜어냈다
- 신한AI, 배진수 대표 연임...비대면일임 '한걸음 더'
- ESG 힘싣는 시중은행, KB운용 ESG펀드에 자금 태웠다
- [매니저 프로파일]지독한 '역발상 투자자' 박세중 키움운용 주식운용본부장
- 신영증권, 모멘텀 가치투자 '씨매틱 전략' 힘싣기
- 한국증권, '디지털화 가속' 일본 기업 공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