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League Table]'맹추격' 한화증권, 1위 미래대우와 '박빙'[부동산펀드/판매잔고]한화증권, 2.7조 늘려 잔고 10조 돌파…미래대우와 격차 3700억
이민호 기자공개 2021-02-15 13:13:51
이 기사는 2021년 02월 08일 16시0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화투자증권이 2020년 한 해 동안 부동산펀드 판매잔고를 가장 많이 늘렸다. 한화투자증권은 다른 판매사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2조7000억원 가까이 늘리는 데 성공했다. 부동산펀드 판매잔고 1위 미래에셋대우와의 격차도 3700억원 수준으로 좁혔다.◇한화증권, 2.7조 증가 ‘압도적’…미래대우와 격차 축소
더벨 부동산펀드 리그테이블에 따르면 지난해 부동산펀드(공모+사모 포함) 판매잔고를 가장 크게 늘린 판매사는 한화투자증권이다. 한화투자증권의 2020년말 부동산펀드 판매잔고는 10조7763억원으로 2019년말보다 2조6922억원 늘었다.

한화투자증권의 부동산펀드 판매잔고는 전체 판매사 중 2위에 해당한다. 2013년 하반기부터 줄곧 2위 자리를 유지했다. 2013년말 2조원에 소폭 미치지 못했던 부동산펀드 판매잔고는 2017년 4조원을 뛰어넘었다. 2019년 8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10조원 고지에 안착했다.
부동산 중심으로 대체투자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최근 시장흐름에 맞춰 부동산펀드 판매를 늘린 전략이 주효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한화투자증권 전체 펀드 판매잔고(26조5816억원)에서의 부동산펀드 비중은 40.5%로 판매잔고 상위에 위치한 NH투자증권(11.8%), 미래에셋대우(20.9%), 신한금융투자(13.2%) 등에 비해 월등히 높다.
부동산펀드 판매잔고 1위 미래에셋대우와 판매격차를 크게 줄이는 데 성공했다. 2019년말 2조9590억원이었던 미래에셋대우와의 부동산펀드 판매잔고 격차는 지난해말 3702억원으로 좁혀졌다.
한화투자증권은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미래에셋밸런스리츠부동산’ 외에도 계열사 한화자산운용의 ‘한화글로벌리츠부동산’과 ‘한화JapanREITs부동산’ 등 국내외 리츠(REITs) 투자 공모상품을 가판대에 다수 올렸다. 10월에는 신규상품인 ‘한화K리츠플러스부동산’ 판매에 나서기도 했다. 사모상품으로는 엘비자산운용의 ‘엘비유럽사모부동산12’ 등이 포함됐다.
전체 판매사 중 부동산펀드 판매잔고 1위는 유일하게 11조원을 넘긴 미래에셋대우가 차지했다. 미래에셋대우의 지난해말 부동산펀드 판매잔고는 11조1465억원이다. 미래에셋대우는 2012년부터 부동산펀드 판매잔고 1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미래에셋대우의 2019년말 부동산펀드 판매잔고가 11조431억원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지난해 한 해 동안 1034억원 늘어나는 데 그친 것이다. 지난해 상반기말까지만 해도 435억원 오히려 줄었으며 그나마 하반기중 끌어올려 가까스로 플러스(+) 실적을 유지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부동산 투자시장이 위축된데다 기존 부동산펀드 리스크 점검에 치중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미래에셋대우가 지난해 가판대에 올린 부동산펀드 상품도 상당수가 공제회와 금융기관 등 기관투자자 전용 사모펀드였다.
◇NH증권 2계단 오른 4위…교보증권·흥국증권 ‘선전’
NH투자증권이 지난해 부동산펀드 판매잔고를 1조4408억원 늘리며 한화투자증권에 이어 증가 부문 2위를 차지했다. NH투자증권의 지난해말 부동산펀드 판매잔고는 6조6576억원으로 전체 판매사 중 4위에 안착했다. 2019년말 부동산펀드 판매잔고 6위(5조2168억원)였던 NH투자증권은 지난해 호실적을 달성하며 두 계단 뛰어올랐다.
NH투자증권 가판대에는 KB자산운용의 ‘KB와이즈스타사모부동산12’, NH아문디자산운용의 ‘NH-Amundi사모부동산12’, 헤리티지자산운용의 ‘헤리티지마곡마이스사모부동산1종’ 등 사모 부동산펀드가 포함됐다.
신한금융투자가 NH투자증권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1조65억원 늘렸다. 신한금융투자의 지난해말 부동산펀드 판매잔고는 6조6234억원으로 전체 판매사 중 5위에 올랐다. 다만 2019년말과 비교해서는 더 많은 실적을 쌓은 NH투자증권에게 4위 자리를 내주며 한 계단 낮아졌다.
한국투자증권은 네 번째로 많은 9036억원 늘렸다. 2019년말 부동산펀드 판매잔고 8위(4조1638억원)였던 한국투자증권은 지난해말 5조674억원으로 순위에는 변동이 없었다. KB증권의 부동산펀드 판매잔고는 8조6752억원으로 8930억원 증가했으며 이는 증가 부문 5위에 해당한다. 유경PSG자산운용의 ‘유경공모부동산3’ 등 펀드를 판매했다. 2019년말(7조7822억원)과 같이 미래에셋대우와 한화투자증권에 이은 3위 자리를 유지했다.
이외에 8324억원 늘린 교보증권이 3조8988억원으로 2019년말보다 두 계단 뛰어오른 10위에 안착했다. 흥국증권은 8027억원 증가한 2조6600억원으로 같은 기간 네 계단 상승한 14위에 올랐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AACR 2025]제이인츠 임상의가 본 JIN-A02 기술이전 전략 "타깃 구체화"
- [i-point]메타약품,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 달성
- [Company Watch]1년만에 IR 무대 선 세아메카닉스, ESS 부품 수주 예고
- 휴온스랩, 92억 투자 유치…반년만에 밸류 두배 껑충
- [HB그룹은 지금]알짜빌딩에 세종 신사옥까지, 그룹 안전판 '부동산'
- [코스닥 유망섹터 지도]'보냉재 강자' 동성화인텍, 시장확대 수혜 전망
- [Company Watch]한중엔시에스, 미국 생산거점 확보 나선다
- [VC 투자기업]달바글로벌 주주, 화장품 할인 받는다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에이벤처스, 'Co-GP' 몰린 스케일업서 승기 잡을까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출자 감소' 사이버보안, 린벤처스 2연속 도전 눈길
이민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Financial Index/SK그룹]'미국 매출' 업은 SK바이오팜, 돋보인 ROE 개선
- [조선업 리포트]HD한국조선해양 이사회, '오너 대표이사' 권한 분산
- [조선업 리포트]신성장사업 투자 속도내는 HD한국조선해양
- [조선업 리포트]중간지주사 HD한국조선해양, 어떻게 현금을 쌓았나
- [머니체인 리포트]CJ제일제당, 자회사 출자 부담 상쇄한 유휴자산 매각
- [머니체인 리포트]'10배' 더 쓴 CJ제일제당, 지주사 역할 분담
- [머니체인 리포트]자체 조달 CJ 자회사들, 추가 차입 여력은
- [밸류업 성과 평가]LG그룹 전반적 부진, 주가지표 부진
- [밸류업 성과 평가]'유일' 두산밥캣 중위권…두산그룹 밸류업 향방 '안갯속'
- [밸류업 성과 평가]통신 3사 밸류업 '대장'은 SK텔레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