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League Table]모험자본 곳간 두둑, 하반기 '제2벤처붐' 이어간다벤처펀드 '1000억 이상' 여력 16곳···최상위권 한투파·에이티넘 4000억 이상
이명관 기자공개 2021-07-01 11:30:11
이 기사는 2021년 06월 30일 17시2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벤처캐피탈(VC) 시장에 봄이 찾아온 모양새다. '제2벤처붐'이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다. 실제 VC로 자금이 몰리고 있다. 정책지원도 이어지면서 투자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추세다. 이에 발맞춰 바이오부터 인공지능(AI), 빅테이터, IT까지 스타트업 기업도 꾸준히 생겨나고 있다. VC가 스타트업 생태계 마중물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는 모양새다.올해 상반기 VC업계에선 활발하게 투자가 이뤄졌다. 이 같은 분위기는 하반기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드라이파우더가 풍부한 상태다. 벤처펀드의 투자 여력이 1000억원을 웃도는 운용사만 16곳에 이른다. 최상위권에 속한 한국투자파트너스와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의 벤처펀드 재원은 4000억원을 넘는다.
더벨이 국내 79개 벤처캐피탈을 대상으로 집계한 '2021년 상반기 리그테이블'에 따르면 1000억원 이상의 드라이파우더(벤처펀드·PEF)를 보유한 운용사는 20곳이다. 그 중에서 벤처펀드의 가용 재원이 1000억원대인 운용사의 수는 16곳이다.
투자 여력은 앞으로 벤처캐피탈이 기업들에 베팅할 금액 규모를 가늠할 수 있는 통계다. 국내 79개 벤처캐피탈의 벤처펀드 투자 여력을 모두 합하면 5조6161억원에 이른다. 여기에 사모투자펀드(PEF)의 잔여 실탄까지 합산하면 7조9942억원이다.
IMM인베스트먼트는 벤처펀드와 PEF를 통틀어 투자 여력이 가장 풍부한 곳이다. 2개의 벤처펀드와 5개의 PEF에서 9519억원의 투자 여력을 확보했다. 다만 IMM인베스트먼트의 경우 PEF의 비중이 압도적이다. PEF의 투자 재원은 9031억원이다. 벤처펀드의 재원은 488억원에 불과하다.
더욱의 초기기업을 주력으로 투자하는 벤처펀드 규모는 372억원에 불과하다. 나머지 116억원은 세컨더리 벤처펀드다. 세컨더리는 벤처기업에 직접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벤처캐피털이나 엔젤이 보유한 지분이 주요 투자 대상이다. IMM인베스트먼트는 하반기 PEF 투자와 신규 벤처펀드 조성에 집중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관점에서 보면 뒤를 잇는 한국투자파트너스와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등이 하반기 스타트업 투자를 이끌 것으로 보인다. 한국투자파트너스의 투자 재원은 5425억원이다. 이중 벤처펀드는 4285억원으로 운용사 중 으뜸이다.
현재 운용 중인 펀드는 10개다. 규모가 가장 큰 펀드는 한국투자파트너스이 첫 번째 섹터 펀드인 '한국투자 바이오 글로벌 펀드'다. 3500억원 규모로 결성된 이 펀드의 가용 가능한 재원은 1457억 수준이다. 이외에 케이아이피-크릿 인터랙티브 콘텐츠 펀드, 한국투자 SEA-CHINA Fund 등이 있다.
다음으로 많은 드라이파우더를 보유한 곳은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다.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의 투자 가능 재원은 4204억원이다. 주목할 점은 전부 벤처펀드라는 점이다. PEF는 없다. 올해 상반기 결성한 831억원 규모의 '에이티넘성장투자조합2020'를 필두로 하반기 활발하게 딜 소싱에 나설 것으로 점쳐진다.
KTB네트워크와 KB인베스트먼트, 포스코기술투자, LB인베스트먼트도 2000억원을 웃도는투자 재원을 보유하고 있다. KTB네트워크는 올해 결성한 신규 벤처펀드는 없지만 대신 작년 말께 결성한 2810억원 규모의 'KTBN 18호 벤처투자조합'이 있다.
KB인베스트먼트는 올해 상반기 'Hibiscus Fund'와 'RMG-KB BioAccess Fund' 등 2개의 신규 벤처펀드를 결성하며 곳간을 채웠다. 이외에 케이비 스마트 스케일업 펀드(1500억원), 케이비 핀테크 혁신 펀드(140억원), 케이비 성장지원 펀드(210억원), 케이비 글로벌 플랫폼 펀드(520억원) 등을 포함하면 투자 가능한 실탄은 2600억원 수준이다.
포스코기술투자는 2317억원의 투자 가능 재원이 있다. 연구개발특구 일자리창출펀드 2호 373억원, 포스코GEM1호펀드 454억, 에너지혁신성장펀드1호 400억, 기술혁신전문G&G펀드1호 583억 등 활용 가능한 벤처펀드는 총 11개다. LB인베스트먼트도 벤처펀드 투자 여력이 2300억원 수준이다.
벤처펀드 투자 여력이 1000억원대인 구간에는 SV인베스트먼트(1700억원), 엘앤에스벤처캐피탈(1680억원), 아주IB투자(1617억원), TS인베스트먼트(1599억원), 유안타인베스트먼트(1129억원), 신한벤처투자(1111억원), 스톤브릿지벤처스(1055억원) 등 10개 VC가 속해 있다.
이렇게 운용사의 가용 재원이 넘치면서 스타트업 생태계에 보다 활발히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모태펀드와 뉴딜펀드 등 정부의 출자사업도 꾸준히 진행 중인 만큼 벤처캐피탈의 가용 가능한 유동성은 한층 풍부해질 것으로 점쳐진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김화진칼럼]영국 RBS
- '환경 변화 고려' CJ제일제당, 그린바이오사업 계속 키운다
- [DN솔루션즈 IPO]고심끝 상장 철회…비우호적 시장 환경에 '결단'
- [i-point]신테카바이오, ‘2025 글로벌 IP 스타기업’ 선정
- [i-point]채비, 서울시 전기버스 충전 인프라 확대 사업자 선정
- [영상/Red & Blue]현대엘리베이터 '주주환원, 리포트, 실적' 삼박자
- 기지개 켜는 인성정보의 '헬스케어'
- [i-point]인텔리안테크, 정부 저궤도 위성통신망 구축 '핵심'
- [NHN 리빌딩]'아픈 손가락' 콘텐츠, 더디지만 잠재력 확신
- [영상]‘메타가 탐낸’ 퓨리오사AI의 백준호 대표에게 들었다…회사의 향후 계획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