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협은행, 공적자금 상환에도 예보 출신 임원 영입 리스크관리위원회에 예보 추천 비상임이사…지배구조내부규범 개정 등 리스크 강화
김형석 기자공개 2023-01-20 07:10:56
이 기사는 2023년 01월 19일 08:30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수협은행이 최근 리스크관리위원회에 예금보험공사가 추천한 비상임이사를 포함시켰다. 더욱이 지배구조내부규정까지 개정해 예보 추천 비상임이사를 명문화했다. 공적자금 상환에도 불구하고 예보의 감독 기능이 강화됐다.일각에선 예보가 수협이 발행한 국채를 현금화하는 2027년까지 건전성 지표를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기존에 수협은행의 경영정상화 이행약정(MOU) 조항을 축소하는 대신 건전성 부문은 별도로 감독하겠다는 것이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수협은행은 최근 지배구조 내부규범을 개정하고 이사회 내 리스크관리위원회에 예금보험공사가 추천한 비상임이사를 포함하도록 했다. 기존에는 사외이사 4명으로만 구성됐다.
리스크관리위원회는 해당 금융사의 리스크관리의 최고의사결정기구다. 세부적으로 리스크관리와 관련한 전략 및 정책 수립, 리스크성향(Risk Appetite) 결정, 리스크관리 정책 및 시스템의 적정성 감독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예보가 공적자금을 회수한 수협은행의 리스크 관리에 직접적으로 참여한 데에는 자금조달 능력과 건전성이 타 시중은행 대비 낮기 때문으로 보인다.
지난 3분기 말 기준 수협은행의 BIS 자기자본비율은 13.26%다. 같은 기간 KB국민·신한·우리·하나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의 평균 자기자본 비율(17~18%)보다 4~5%포인트 낮다.
이 기간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32%다. 특히, 수협은행은 기업대출 연체율이 0.43%를 보였다. 전체 연체율은 전년 동기 대비 0.01%포인트 개선된 수치이지만 주요은행보다는 높다. 이기간 국민은행의 연체율은 0.14%로 수협은행의 절반 수준이었다. 이밖에 신한은행(0.2%), 우리은행(0.19%), 하나은행(0.18%) 등이었다.
예보의 수협은행 리스크관리 강화는 경영정상화 이행약정 축소에서도 드러난다. 예보는 공적자금 회수를 통해 기존에 약정한 재무비율 목표 5개 조항을 2개로 줄였다. 하지만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과 순고정이하여신비율은 유지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수협은행이 공적자금 상환을 계기로 경영자율성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했지만, 예보 입장에서는 수협중앙회가 발행하는 국채를 현금화하는 2027년까지는 수협은행의 관리감독을 유지해야 한다는 기조가 강하다"며 "지배구조 내부규범 변경은 실제 리스크관리 등 핵심 분야에서는 수협은행의 경영에 관여하겠다는 의지 표현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수협은행 관계자는 "예보가 국내 다양한 은행의 리스크관리 경험을 갖고 있어 해당 분야의 노하우를 수협은행에 전달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며 "향후 리스크관리 부문에서 예보의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2차전지' 에코프로비엠, 최대 3000억 공모채 추진
- LS전선, 최대 1800억 공모채 추진
- 신세계백화점, '그룹과 별도 행보' 브랜드본부 신설
- [롯데의 베트남 시대]"면세점은 역시 럭셔리, 신규 출점 검토"
- [Red & Blue]'황제주의 추억' 오뚜기, 잠룡일까 항룡일까
- [베일 벗은 부산 디지털자산거래소]최대 숙제 '원화 거래 지원', 부산시 지원사격 받는다
- 디딤이앤에프, 임직원 266명 탄원서 제출
- [심상찮은 카드사 비용 리스크]롯데카드, 차기 CFO의 제1 과제는 '자본확충'
- [KAI를 움직이는 사람들]재무개선 기반 강화, 박상욱 CFO 역량 '시험대'
- 라이트론, 유럽 광통신 컨퍼런스서 100G 제품 전시
김형석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상생금융 명가 신협]칭찬받는 고배당…지역 상생 선순환 구조 마련
- 롯데손보, 이사회 CEO·감사 해임 권한 부여한다
- 미래에셋생명, 10년간 이어온 현충원 봉사
- [Red & Blue]롯데손보, 매각 기대감에 급등…체력도 반전
- 동양생명, '테니스' 마케팅 헬스케어 차별화 전략
- 김영만 DB생명 대표 2기 임기 개시…과제는 외형성장
- [이사회 분석]교보라이프플래닛, 김명수·박상영 연임…변화보다 안정
- [Red & Blue]삼성화재, 주가 40% 껑충…CSM 경쟁력 확보 주효
- KDB생명, 후순위채 발행…산은 매각의지 반영됐나
- [우체국금융은 지금]일본은 우체국 민영화했다…성과와 교훈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