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O 인사 코드]두산 박지원 회장의 구원투수 '박상현 사장'③연세대 경영학과 84학번 동기, 채권단 조기졸업의 '일등 공신'
박기수 기자공개 2023-02-01 07:41:47
[편집자주]
기업 인사에는 '암호(코드, Code)'가 있다. 인사가 있을 때마다 다양한 관점의 해설 기사가 뒤따르는 것도 이를 판독하기 위해서다. 또 '규칙(코드, Code)'도 있다. 일례로 특정 직책에 공통 이력을 가진 인물이 반복해서 선임되는 식의 경향성이 있다. 이러한 코드들은 회사 사정과 떼어놓고 볼 수 없다. THE CFO가 최근 중요성이 커지는 CFO 인사에 대한 기업별 경향성을 살펴보고 이를 해독해본다.
이 기사는 2023년 01월 31일 08:34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2020년은 두산에너빌리티의 '뇌관'이 터진 해다. 무거웠던 부채 부담, 계속되는 자회사 지원, 친환경으로 재편되고 있었던 산업구조에 적응하지 못했던 결과는 냉혹했다. 여기에 정부의 탈(脫)원전 기조와 자금시장을 넘어 인력의 이동마저 정지시켰던 코로나19 사태가 결정타를 날렸다. 그렇게 2020년 초 두산그룹의 핵심 두산에너빌리티는 백기를 들었다.2020년 3월 30일, 2020년 4월 29일, 2020년 6월 10일. 두산에너빌리티는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으로부터 각각 1조원, 8000억원, 1조2000억원의 긴급운영자금 차입약정을 체결했다. 총 3조원이다. 두산에너빌리티가 보유했던 두산메카텍 지분과 ㈜두산과 두산 오너들이 보유하고 있던 두산중공업 주식이 모두 담보로 잡혔다. 모든 계열사는 죄다 팔 수 있다는 조건 하에 그렇게 두산에너빌리티의 강도 높은 구조조정 작업이 시작됐다.
◇밥캣 CFO 긴급 등판…채권단 조기졸업 공신
박 사장은 2004년 39세의 나이에 ㈜두산 전략기획본부 부장으로 경력 입사한 케이스다. 2008년 상무로 승진한 이후 두산인프라코어(현 현대두산인프라코어), ㈜두산, 두산밥캣 CFO를 거쳤다.
박 사장은 두산에너빌리티 오너 경영인인 박지원 회장과의 인연이 깊다. 박 회장은 1965년생, 박상현 사장은 1966년 2월생으로 84년도에 연세대 경영학과를 입학해 학업을 수료했다. 대학생 시절부터 박지원 회장과 박상현 사장은 대학 동기로서 친분을 쌓아왔다. 오랫동안 쌓아온 신뢰를 바탕으로 박 회장은 박 사장을 구원투수로 발탁할 수 있었던 셈이다.
◇자산매각·유상증자…두산건설 뇌관 해체
박 사장은 CFO 부임 이후 두산에너빌리티의 빠른 정상화만을 생각했다. 곧바로 비핵심자산으로 분류됐던 골프장 클럽모우CC를 하나금융-모아미래도 컨소시엄에 1850억원에 매각했다. 매각으로 발생한 현금은 곧바로 채권단을 향했다.
구조조정 과정에서 박 사장의 가장 큰 과제는 바로 두산인프라코어 매각이었다. 제 값을 잘 쳐줄 원매자를 찾아야 했다. 이 와중에 채권단의 눈치도 봐야 했다. 심지어 이 딜에는 두산인프라코어의 중국 자회사인 DICC에 걸려있던 사모펀드와의 소송 리스크도 해결해야 했다. 박 사장은 해답을 찾았다. DICC 분담금을 최소화하고, 현대중공업그룹이라는 건실한 SI와의 거래로 약 7000억원의 현금을 챙겼다.
마지막은 두산그룹의 위기 중 하나로 꼽혔던 두산건설을 해결하는 것이었다. 박 사장은 부임 이후 두산건설을 대우산업개발에 매각할 기회가 있었지만 결국 무산됐다.
2021년 말 박 사장은 두산건설에 대한 해법을 찾았다. 완벽히 두산건설을 떨쳐내지는 못했지만, 두산건설로 추후 발생할 리스크가 모회사로 번지지 않도록 고리를 끊어놨다. 현재 두산건설의 최대주주는 사모펀드와 두산그룹 계열사 디비씨가 합작해 세운 투자목적회사(SPC)인 위브홀딩스가 출자해 세운 2차 SPC인 '더제니스홀딩스'다.
유상증자를 통한 자본확충 작업도 빼놓지 않았다. 작년 초 1조1500억원의 유상증자를 성공적으로 마치면서 두산에너빌리티는 2월 말 1년 11개월 만에 채권단 체제로부터 조기 졸업했다. 두산솔루스·두산인프라코어 등 두산그룹의 현재와 미래를 대표했던 계열사들이 품을 떠났지만, 궁극적인 목표였던 '생존 조건'을 빠르게 달성했다.
박 사장은 채권단 졸업 이후인 작년 3월 성과를 인정받아 사장으로 승진했다. 이후 작년 9월 중순 두산메카텍 매각 작업도 직접 주도하면서 미래를 위한 현금마련에 몰두했다. 오너의 신임을 두텁게 받았던 박 사장은 믿음에 보답했다. 박 사장의 대표이사 CFO로서의 임기는 내년 3월 말 까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점검]HL만도, 준수율 같았지만 달라진 내부통제정책
- [지속가능경영 리뷰]HD현대오일뱅크, 전기차 충전 사업 '축소'...다음 스텝은
- 현대미포조선, 흑자전환 과제 '저가물량 해소'
- 에코프로, 오창 R&D캠퍼스 설립 난항...첫삽도 못 떴다
-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점검]HD현대그룹 '표준' 가까워진 HD현대인프라코어
- [GS에너지는 지금]수익원 한정된 GS에너지, 재원 마련은 방안은
- [박지원의 에코 에너지]국산 바람의 결 찾은 18년 뚝심…해상풍력 '원톱'
- 한화오션, 대조양 출신 11명 빼고 임원진 교체
- 현대차와 SK의 '순망치한'
- [조달전략 분석]차환 전략 정상 가동한 KCC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기업집단 톺아보기]SK가스의 꾸준함, 발전·화학 자회사들의 기복
- SK온-현대차그룹 북미공장 '우선 현대차 돈으로'
- '전방위 조달' SK온에 청구될 계산서는
- [CFO는 지금]SK온, 반년 만에 7.6조 조달…김경훈 CFO '성과'
- [기업집단 톺아보기]SK가스, 디스커버리의 '핵심'…종합에너지기업 도약
- [재계 차세대 지형도]'3세 막내' 구본권 영업부문장의 젊은 리더십
- [기업집단 톺아보기]1년 만에 자산 6조→13조된 SK디스커버리그룹
- [재계 차세대 지형도]'그룹 간판' LS전선 단독 대표, 구본규 사장
- [재계 차세대 지형도]부친의 길 묵묵히 걷는 구본혁 예스코홀딩스 사장
- 한화의 M&A '성공신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