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O 인사 코드]두산그룹, 5년 동안 지속된 CEO-CFO '각자대표' 체제①재무개선 작업 진두지휘한 선봉장들, ㈜두산 출신 다수
박기수 기자공개 2023-01-30 07:42:40
[편집자주]
기업 인사에는 '암호(코드, Code)'가 있다. 인사가 있을 때마다 다양한 관점의 해설 기사가 뒤따르는 것도 이를 판독하기 위해서다. 또 '규칙(코드, Code)'도 있다. 일례로 특정 직책에 공통 이력을 가진 인물이 반복해서 선임되는 식의 경향성이 있다. 이러한 코드들은 회사 사정과 떼어놓고 볼 수 없다. THE CFO가 최근 중요성이 커지는 CFO 인사에 대한 기업별 경향성을 살펴보고 이를 해독해본다.
이 기사는 2023년 02월 01일 16:05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두산중공업의 부진과 탈(脫)원전 기조, 두산건설의 유동성 문제, 재무적 투자자(FI)와 두산인프라코어와의 소송전 등 5년 전인 2018년 두산그룹은 불확실성이 매우 큰 기업집단이었다. 그룹 회장인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은 그룹 내 계열사 사내이사진에 대대적인 변화를 준다. 최고재무관리자(CFO)를 등기임원으로 격상시켜 최고경영자(CEO)와 각자 대표체제를 이루게 한 것이다.CEO-CFO 각자대표 체제는 5년이 지난 현재도 유지되고 있다. 2010년대를 지나 작년까지 두산그룹을 고통스럽게 했던 구조조정의 여파다.
그룹은 아픔의 시간을 보냈지만 그 덕분에 CFO들은 경영 전반에서 존재감을 드러냈다. 다시 말하면 재무개선 과정을 거치면서 두산그룹 내 CFO들의 위상과 영향력이 이전과 비교해 크게 커졌다는 의미다.
두산그룹 최상위회사인 ㈜두산은 대표이사가 3인이다.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을 비롯해 CFO인 김민철 사장과 ㈜두산 사업부문 각자대표인 문홍성 사장이 대표이사진을 이룬다. 김민철 사장은 2018년 CEO-CFO 각자대표 체제가 시작됐을 때부터 CFO로서 사내이사진에 이름을 올렸다. 이후 당시부터 진행된 그룹 차원의 재무개선 작업에 깊이 관여했다.
두산에너빌리티 CFO인 박상현 사장 역시 CEO인 박지원 회장과 최고운영책임자(COO)인 정연인 사장과 함께 대표이사진을 구성하고 있다. 박상현 사장은 두산밥캣 CFO를 거쳐 2020년 7월 두산그룹이 채권단 관리 체제에 들어간 이후 두산에너빌리티에 투입됐다. 이후 두산인프라코어 매각과 두산건설 리스크 경감 등 재무개선 작업 일선을 지휘했다.
두산밥캣 CFO 조덕제 부사장 역시 스캇성철박 두산밥캣 CEO(부회장)와 함께 각자 대표체제를 이루고 있다. 조덕제 부사장은 2020년 중순 박상현 사장이 두산에너빌리티 CFO로 이동한 이후 두산밥캣 CFO직을 이어받은 인물이다. CFO에 부임할 때 전무로 승진했던 조 부사장은 이듬해 초 6개월 만에 부사장으로 승진하는 등 그룹 내 재무라인의 중요성을 드러낸 인물로 꼽힌다.

두산퓨얼셀의 경우 COO가 CFO 역할까지 함께 맡고 있다. 제후석 COO가 정형락 CEO와 함께 두산퓨얼셀의 대표이사진을 이루고 있다. 제후석 부사장은 ㈜두산의 사업 부문 중 하나인 퓨얼셀BG(Business Group) 내 CFO를 맡던 인물이다. 대다수 CFO들이 경영학과나 경영학 관련 석사 학위를 수료한 반면 제 부사장은 서울대 사학과를 졸업했다.
두산테스나와 오리콤 역시 CFO들이 CEO와 함께 각자대표 체제를 이루고 있다. 채권단 관리 졸업 이후 두산그룹의 신성장 엔진으로 꼽히는 두산테스나에는 김윤건 부사장이 CFO로 활약 중이다. 김 부사장은 한양대 경영학과를 졸업한 후 ㈜두산 전자BG와 유통BU에서 총괄 역할을 맡았다.
오리콤 CFO이자 각자대표이사인 김성대 전무 역시 ㈜두산 출신이다. 김 전무는 ㈜두산 관리본부 재무담당을 맡다가 2020년 3월 오리콤 경영지원본부장 CFO로 부임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루트로닉, 황해령 회장·한앤코 파트너십 기반 '글로벌 톱' 정조준
- 국민연금, PE부문 출자사업 숏리스트 확정 '별들의 전쟁 예고'
- 캠코 출자사업 숏리스트 15곳 낙점 '대격전 예고'
- 산업은행, 상반기 출자사업 숏리스트 18곳 발표
- 푸본현대, 후순위채 복귀전 흥행 '증액 확정'
- HD현대오일뱅크, 수요예측 8배 '오버부킹'
- 상폐 위험 비덴트 3사, 검찰 출신 법조인 영입
- [SKT를 움직이는 사람들]'네트워크 외길' 강종렬 사장, 무선통신 리더십 공신
- 대한전선, 규정 개정으로 감사위 독립성·권한 다졌다
- '4공장' 시대 연 삼성바이오로직스, 화이자와 공조 강화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기업집단 톺아보기]'1.3조 현금 부자' SK바이오사이언스
- [한화 M&A 성공신화]임팩트·토탈 인수하자 석유화학 '황금기' 찾아왔다
- [한화 M&A 성공신화]한화솔루션의 오늘을 만든 '솔라원·큐셀' 인수
- [한화 M&A 성공신화]2009년 대우조선을 샀다면 현재 한화가 있었을까
- [기업집단 톺아보기]SK바사 IPO 전과 후로 나뉘는 SK케미칼
- [기업집단 톺아보기]SK가스의 꾸준함, 발전·화학 자회사들의 기복
- SK온-현대차그룹 북미공장 '우선 현대차 돈으로'
- '전방위 조달' SK온에 청구될 계산서는
- [CFO는 지금]SK온, 반년 만에 7.6조 조달…김경훈 CFO '성과'
- [기업집단 톺아보기]SK가스, 디스커버리의 '핵심'…종합에너지기업 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