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회 모니터/농협금융지주]전 농협중앙회 이사, 사외이사 선임…강호동 회장과 인연김병화 김앤장 변호사 합류…중앙회 이사회 활동 시기 겹쳐
이기욱 기자공개 2024-04-30 12:34:23
이 기사는 2024년 04월 29일 17시2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농협금융지주가 농협중앙회 이사회 출신 인사를 신임 사외이사로 선임했다. 강호동 농협중앙회장과 같은 시기 이사회 멤버로 활동했던 인물이다. 농협금융지주의 지배구조 독립성이 문제시되고 있는 가운데 이사회 내 농협중앙회의 영향력이 보다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29일 업계에 따르면 농협금융은 이날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김병화 김앤장법률사무소 변호사(사진)를 신임 사외이사로 선임했다. 농협금융은 지난 달 정기 주주총회를 통해 한 차례 사외이사진을 재편한 바 있다.

김 사외이사는 1955년 출생으로 경북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나왔다. 25회 사법고시 합격 이후 오랜 기간 검찰 조직에 몸담았다. 의정부지방검찰청 검사장과 인천지방검찰청 검사장까지 지낸 후 공직을 떠났다.
2012년부터 현재까지 김앤장법률사무소에서 공정거래, 기업형사 분야 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다. 기존 농협금융 이사회 내 법률 전문가는 이종백 사외이사가 유일했다. 김 사외이사의 합류로 이사회 내 관련 전문성이 제고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 사외이사의 이력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농협중앙회 이사 경력이다. 김 사외이사는 지난 2016년 7월부터 2018년 7월까지 2년동안 농협중앙회 이사를 역임했다. 당시 농협중앙회장은 김병원 전 회장이었다.
농협중앙회의 이사는 총 28명으로 구성돼 있다. 농협중앙회장과 농협중앙회 전무, 상호금융 대표 등 3명의 당연직 이사와 조합장이사 18명, '조합장이사 외 이사' 7명 등이다. 조합장이사 외 이사는 일반 기업의 사외이사와 같은 역할을 한다. 김 사외이사는 농협중앙회에서 조합장이사 외 이사로 2년의 임기를 수행했다.
강호동 현 농협중앙회장과도 인연이 있다. 강 회장도 같은 시기 농협중앙회 이사회 멤버로 활동했다. 강 회장은 2016년 7월부터 2020년 1월까지 합천 율곡농협 조합장으로서 경남지역을 대표하는 조합장이사직을 맡았다.
농협에 대한 높은 이해도는 김 사외이사의 또 다른 강점 중 하나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농협금융에 대한 농협중앙회의 영향력이 커질 경우 현재 금융당국이 지적하고 있는 농협금융의 지배구조 독립성 논란이 더욱 커질 위험도 있다. 현재 농협금융 이사회 내에서는 박흥식 비상임이사(광주비아농협 조합장)가 농협 측 인사로 활동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코스닥 유망섹터 지도]'국내 피팅 1위' 성광벤드, 북미시장 장악력 '주목'
- [BIO KOREA 2025]스탠다임, IPO 허들 '사업성' 묘수는 '파트너십과 플랫폼'
- [지배구조 분석/삼일제약]지배력 희석 대가 시설자금·재무개선 '일석이조'
- [저평가 시그널: PBR 0.3]한화솔루션, 자본확충 부작용…사업 호조로 반등 모색
- [Financial Index/신세계그룹]주요 계열사 저평가…신세계I&C 나홀로 개선
- [감액배당 리포트]콜마BNH 2년연속 재원 확보…"중장기적 주주환원 일환"
- [Financial Index/신세계그룹]상장사 6곳 중 4곳 ROE 후퇴…푸드·I&C '선방'
- [Financial Index/SK그룹]SK렌터카 '통큰' 매각, SK네트웍스 재무개선 성공
- [Financial Index/SK그룹]SK이노-SK하이닉스 '상환능력' 엇갈린 명암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SK하이닉스 RSU 효과…하영구 전 의장 '일석이조'
이기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동성제약 오너십 체인지]삼촌 이양구 회장에 맞선 조카 나원균 대표, 우군 확보 사활
- [BIO KOREA 2025]주요국 넘어 중동까지, 'K-바이오' 기회의 장 넓어진다
- 카카오헬스, 300억 유증의 의미 '그룹 신성장' 위상 굳히기
- [바이오 스톡 오해와 진실]보로노이 'VRN11' 임상 데이터 이견, 핵심은 약 없는 'C797S'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JW중외제약, 빈혈 치료제는 지연…기대되는 '통풍 신약'
- 제테마, 필러 중국서 '첫 발'…차별화는 '안전성·고급화'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신약 안보는 동국제약, 제네릭 잇는 '의료기기' 사업
- 존재감 키우는 에이아이트릭스, 시장 데뷔 2년 '100억' 매출
- 롯데바이오, 솔루플렉스 무기 갖춘 ADC '첫 수주' 결실
- [차바이오텍 유상증자 용처 분석]'차헬스' 1순위 배경, 지연된 병동 신축 '2600억' 상환 압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