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영, 양주 서울우유 공장 개발 내년 상반기 '착공' 2021년 10월 1270억 최초 브릿지론 조달, 시공사 선정 협의중
이재빈 기자공개 2024-10-21 07:39:11
이 기사는 2024년 10월 18일 07시4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디벨로퍼 신영이 추진하고 있는 경기도 양주 서울우유협동조합 공장부지 개발사업이 마지막 브릿지론을 조달했다. 2021년 10월 최초 브릿지론 대출약정을 체결한 장기 브릿지론 사업지다. 인허가 작업을 마치고 착공을 준비하고 있는 만큼 내년 상반기 본프로젝트파이낸싱(PF) 조달 및 착공이 전망된다.18일 업계에 따르면 디벨로퍼 신영은 최근 양주 서울우유 공장 개발사업 브릿지론 만기를 1년 연장했다. 대출약정액은 1270억원이고 만기는 2025년 10월로 설정됐다.
이 사업은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 152번지 일원에 공동주택과 지식산업센터, 근린생활시설 등을 조성하는 프로젝트다. 2020년 말 매물로 나온 양주 공장을 신영이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PFV)를 설립해 취득하면서 시작했다.
시행을 맡은 법인은 신영피에프브이제3호다. 5월 말 기준으로 신영이 지분 60%를 보유한 최대주주로 자리하고 있다. 대농(25%)과 신영씨앤디(10%) 등 계열사도 주주로 참여했다. 나머지 지분 5%는 무궁화신탁이 보유 중이다.
신영이 해당 사업의 브릿지론을 연장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21년 10월 최초로 브릿지론 대출약정을 체결하고 두 차례의 변경대출약정을 체결한 이력이 있다. 이번 연장까지 포함하면 총 세 차례에 걸쳐 브릿지론 만기를 연장한 셈이다.
대주단은 성남제일새마을금고 등 총 40개 금융기관으로 구성돼 있다. 트렌치별 약정액은 선순위 800억원, 중순위 370억원, 후순위 100억원이다. 이자율은 선순위와 중순위각 각각 연 7%와 연 13%의 고정금리이고 후순위 대출은 양도성예금증서(CD) 91일물+14%의 변동금리로 제공됐다.
이미 300억원 이상 이자비용이 발생한 사업이다. 토지를 매입한 2021년 PFV의 연간 이자비용은 27억원에 그쳤다. 하지만 2022년 95억원, 2023년 152억원으로 증가하면서 3년간 누적 이자비용이 274억원에 달하는 상황이다. 아직 금리인하가 현실화되지 않은 상황인 만큼 2024년 연간 이자비용도 100억원을 상회할 것으로 추정된다.
수익성이 창출되지 않는 브릿지론 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만큼 신영은 계열사들을 동원해 이자비용을 납부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PFV에 신영이 제공한 차입금은 280억원으로 67억원이었던 2022년 말 대비 4.2배 늘었다. 신영은 또 PFV가 조달한 브릿지론에 대해 연대보증을 제공하고 있다.
PFV에 대한 자금지원은 올해 들어서도 지속되고 있다. 신영은 지난 4월 90억원, 10월 180억원의 차입금을 제공했다. 10월에 투입된 장기차입금은 이번에 만기가 연장된 브릿지론의 원금과 이자를 상환하기 위한 자금으로 풀이된다.
긍정적인 요소는 현재 인허가 절차를 마무리하고 착공을 준비하고 있다는 점이다. 신영은 2022년 11월 지구단위계획 고시에 이어 지난해 12월 사업계획승인과 2024년 3월 실시계획인가를 받았다. 실시계획인가는 사실상 착공 직전 단계다.
신영 관계자는 "인허가 절차를 마무리한 후 시공사와 협의를 진행하고 있는 단계"라며 "2025년 상반기 본PF전환 및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Financial Index/SK그룹]주가상승률 50% 상회, SK스퀘어 'TSR' 그룹내 최고
- 금호타이어, 분기 '최대 매출'…영업이익은 '주춤'
- 유지한 SKC CFO "트럼프 관세, 위기보다 기회"
- [i-point]신테카바이오, 'K-BioX 글로벌 SUMMIT 6' 참여
- 간추려진 대명소노그룹 선택지, '티웨이'에 집중
- [감액배당 리포트]제주항공, 신속한 885억 감액…배당은 못했다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세아베스틸지주, 배당수익 3배 급증...분할회사도 첫 기여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공격적인 '외연 확장'…재무 키워드 '자산 확충'
- [중견 배터리사 점검]고려아연, 이차전지 3사 이사회 정비...전문경영인 CEO 도입
- [자사주 리포트]두산, 3분의 1만 소각하는 이유는
이재빈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수성 아이유쉘' CR리츠, 대주단 '엑시트' vs 시공사 '대손'
- [건설리포트]GS건설, 하반기 수익성 제고 '정조준'
- [건설리포트]대우건설, 토목 수익성 제고에 '매출원가 88% 달성'
- [Company Watch]신영그룹 'SLP', 매출 500억 중 외부 일감 70% '상회'
- 두산건설, '창원 메가시티 자이&위브' 무순위 청약
- 제일건설, 제일풍경채 의왕고천 공급 '개시'
- 금호건설, 에코델타시티 아테라 '순항'
- [2025 건설부동산 포럼]"내년 상반기까지 저점, 투자확대·추경 절실"
- [PF Radar]이스턴투자개발, 을지로 오피스 NH투자증권 '맞손'
- 대한토지신탁, 용인 죽전아울렛 부지 '매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