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페이, 새 사업목적 추가…보험중개서비스 '포석' 정기 주총서 ‘온라인 상품·용역 판매중개업’ 정관에 추가…서면투표제 시행 않기로
이지혜 기자공개 2023-03-28 12:31:39
이 기사는 2023년 03월 27일 16:39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카카오페이가 사업영역을 확대하기 위한 포석을 깔았다. 이번 정기 주주총회에서 신규사업목적을 추가하는 안건을 통과시켰다. 카카오페이는 금융당국이 규제를 풀어주는대로 보험중개사업 등을 진행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는데 이를 위한 사전작업으로 풀이된다.이밖에 카카오페이는 서면으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도록 정관도 고쳤다. 서면으로 행사한 의결권이 거의 없는 반면 주주 수는 크게 증가해 경영효율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했다. 또 2023년 이사보수한도는 지난해와 똑같이 40억원으로 설정했다.
◇사업목적 추가, 보험 중개 서비스 ‘포석’
카카오페이가 27일 오전 10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712번길 22(삼평동) 글로벌R&D센터 1층 대강당에서 제6기 정기 주총을 열고 모든 안건을 원안대로 승인받았다. 이날 정기주총은 신원근 대표이사가 직접 주재했으며 주주들로부터 별다른 질의가 나오지 않았다.
카카오페이가 신규 사업목적에 ‘온라인 상품·용역 판매중개업’을 추가한 점이 눈에 띈다. 이로써 카카오페이의 사업목적은 모두 20개 항목으로 늘어났다. 종전까지 카카오페이의 사업목적은 △전자지급결제 대행업, 선불전자지급수단 발행 및 관리업 등 전자금융업 △인터넷시스템 구축 및 솔루션 제공업 △광고업 등 19가지였는데 하나가 더 추가됐다.

카카오페이 관계자는 “장기적 관점에서 다양한 사업 가능성을 검토하고 진행을 용이하게 만들기 위한 조치”라며 “당국에서 규제 샌드박스로 추진하고 있는 플랫폼의 보험중개사업도 하나의 예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해 8월 빅테크·핀테크 최고경영자 간담회에 참석해 플랫폼기업이 소비자에게 예금, 보험,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 등 다양한 금융사의 상품을 비교하고 추천할 수 있도록 금융규제 샌드박스를 운영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금융위원회도 금융규제 샌드박스를 시행하기 위해 현재 논의를 진행하는 중이다.
카카오페이는 금융규제 샌드박스가 시행되는대로 사업을 본격화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신 대표는 올 2월 열린 ‘2022년도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보험 규제 개선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그동안 자회사를 통해 운영한 비교몰을 단기간에 내재화·고도화하고 새로 허용되는 보험상품의 중개서비스를 선보이는 등 규제 개선 시점에 맞춰 빠르게 성과로 연결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기대감을 보이기도 했다.
◇서면투표제 삭제, 이사보수한도 40억
카카오페이는 이날 주주총회 의결권 행사 방법도 변경했다. 앞으로 카카오페이 주주들은 서면으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다. 서면으로 행사되는 의결권이 거의 없는 데다 전자투표와 전자위임장 제도 등 여러 제도를 갖추고 있기 때문이라고 카카오페이는 설명했다.
카카오페이 관계자는 “서면투표제도는 모든 주주에게 서면 투표용지를 송부해야 하는데 업무와 비용에 비해 회신되는 의결권은 거의 없는 상황”이라며 “지난해부터 전자투표와 전자위임장 제도를 시행하고 있어, 서면 투표가 없어져도 의결권을 행사할 다른 방법이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 카카오페이는 주총에서 이사회에서 기 결의한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안건과 이사 보수한도도 승인받았다. 카카오페이는 지난해 8월 2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970명의 임직원을 대상으로 보통주 49만6200주를 부여하기로 결의했다. 지금은 직원 퇴사 등으로 주식매수선택권이 총 942명을 대상으로 48만900주 남았다.
카카오페이는 올 2월에도 이사회 결의를 통해 임직원 20명에게 보통주 총 1만5500주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한 바 있다.
이사 보수한도는 40억원으로 책정했다. 지난해와 같은 수준이다. 카카오페이는 지난해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을 제외한 등기이사의 보수총액으로 12억2000만원, 1인당 평균 보수액은 2억4400만원을 지급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상폐 위험 비덴트 3사, 검찰 출신 법조인 영입
- [SKT를 움직이는 사람들]'네트워크 외길' 강종렬 사장, 무선통신 리더십 공신
- 대한전선, 규정 개정으로 감사위 독립성·권한 다졌다
- '4공장' 시대 연 삼성바이오로직스, 화이자와 공조 강화
- 미 SEC, 코인 무더기 '증권' 판단…국내 시장 영향 '아직'
- LGD 3TG 공급망, 러시아 비중 급감…중국은 현상 유지
- 넥슨 '피파4' 활용법, 게임 문법도 바꿨다
- '신약' 역량 강화했던 디어젠, 관련 핵심인력 이탈
- 홍콩의 '코인거래소 면허제'…국내 중소형 거래소에 기회될까
- [게임사의 코인 pick]카카오게임즈, '신중한 pick' 비트코인 수익률 '-50%'
이지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하이브, 준수율 '하락'…기준 적용 '해석 차'도
- [CFO워치] 카카오 배재현, 겸직 계열사 늘었다…역할론 '부각'
- NHN, 지표 준수율 '쑥'…최고경영자 승계정책 '눈길'
- [NHN은 지금]11년차 맞은 이준호 의장 체제, 과제는 '경영효율화'
- [NHN은 지금]콘텐츠사업 결실 '아직', 성장성 믿는다
- [NHN은 지금]'성장성 입증한' 페이코·KCP, 수익성 잡는다
- 이경진,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검색·클라우드 CIC 전환…왜
- [ESG 모니터/카카오]RE100 가입, 새 데이터센터도 재생에너지로 돌린다
- [NHN은 지금]커머스사업, 인고의 시간 끝나나…IPO 향해 진격
- [NHN은 지금]게임사에서 '톱티어 테크사'로, 이준호 회장의 선구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