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와이어리스, 영업익 77% 급감·해외 법인 부진 '골치' 일본 법인 순손실 전환, 5G망 보급 마무리
최현서 기자공개 2025-02-05 09:35:12
이 기사는 2025년 02월 04일 18시0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이노와이어리스의 지난해 수익성이 큰 폭으로 악화됐다. 본 사업인 통신장비업의 해외 매출 부진이 실적의 발목을 잡았다. 작년 초 본업의 어두운 업황을 극복하기 위해 자동차 반도체 유통법인 '명성라이픽스' 지분을 인수했지만 수익성 악화를 상쇄하지는 못했다.4일 이노와이어리스는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30% 변경 공시'를 제출했다. 공시에 따르면 이노와이어리스는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1897억원, 영업이익 23억원을 기록했다. 당기순이익은 28억원이다. 매출은 전년 대비 38.1%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77.4% 감소했다. 당기순이익도 같은 기간 대비 74.3% 줄었다.
이는 컨센서스를 하회하는 수치다. 증권업계는 지난해 이노와이어리스의 연결 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을 각각 2032억원, 36억원으로 전망했다.

이노와이어리스의 매출이 전년 대비 증가한 이유는 명성라이픽스 인수 효과 때문이다. 명성라이픽스는 차량용 반도체 유통기업이다. 지난해 1월 명성라이픽스 지분 90%를 취득했다. 취득금액은 391억원이다.
1991년 세워진 명성라이픽스는 2016년부터 2023년까지 8년 연속 흑자를 기록하던 곳이었다. 이노와이어리스 역시 2017년부터 매해 흑자를 기록하고 있었다. 하지만 새 통신망 도입과 안정화에 따라 호황과 불황을 맞이하는 사이클에 취약했다. 이노와이어리스 입장에서는 불황을 대비할 안정적인 먹거리가 필요했다.
매출은 늘었지만 의도했던 수익성 개선은 실패로 돌아갔다. 통신사업 부문 해외 매출이 전반적으로 감소한 영향이 컸다. 명성라이픽스의 순이익보다 해외 통신장비 사업의 순손실이 더 큰 것으로 추정된다.
이노와이어리스는 지난해 3분기 기준 일본, 미국, 중국 등 7개국에 해외법인을 운영하고 있다. 이중 미국, 일본, 폴란드, 중국 법인에서 손실을 기록했다. 해외법인들의 지난해 3분기 누적 순손실 규모는 4억6554만원이다. 9억1066만원의 순이익을 거뒀던 2022년 3분기보다 부진했다.
특히 일본 법인 '아큐버(Accuver)'의 수익 감소 영향이 컸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아큐버는 누적 매출 74억원, 순손실 4억원을 기록했다. 매출 232억원, 순이익 14억원을 기록했던 전년 동기 대비 실적이 악화됐다.
지난해 일본에서의 실적이 부진한 이유는 국내와 마찬가지로 5G망 구축이 거의 마무리됐기 때문이다. 망 구축이 마무리되면서 일본 통신사의 설비투자(CAPEX) 규모도 줄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김광일 MBK 부회장 "전단채 내용 파악 아직"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고개 숙인 경영진, "모든 채권 변제 방침"
- [i-point]인텔리안테크, 미국 최대 위성 전시회 참가
- [바이오텍 유증·메자닌 승부수]코어라인소프트·뷰노, 기술·지분 '스왑거래' 해외진출 포석
- [i-point]'기업가치 제고' 라온시큐어, 5대 1 주식 병합 결정
- [영상]미국 전략자산된 비트코인, 금 대체할 수 있을까?
- [i-point]샌즈랩, AI 기반 양자내성암호 점검 기술 개발
- 이에이트, 제조 데이터 온톨로지 기반 트윈 기술 선봬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SKC, 반도체 소재로 채운 '화학 공백'
- [봄바람 부는 크립토 B2B]인피닛블록, 커스터디 특허 다수 확보 '출격 준비' 완료
최현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ompany Watch]LG헬로비전, 11년 연속 배당 지급 종지부
- [Company Watch]세종텔레콤, 막 내린 알뜰폰 '적자 얼마길래'
- [불붙은 알뜰폰 생존경쟁]아이즈비전, 삐삐→국제전화→저가통신 '기사회생'
- 정찬용 SOOP 대표 퇴임 수순? 서수길 단독대표 체제 가나
- '셋업맨' 류석문 현대오토에버 전무의 열정
- [MWC 2025 프리뷰]'선점 효과' 노리는 쏠리드, DAS로 주파수 광대역 제공
- [불붙은 알뜰폰 생존경쟁]'떠오르는 맏형' 큰사람커넥트, 꺾인 성장세에 급해진 마음
- [MWC 2025 프리뷰]SKT, AI 인프라 집중 '그룹 시너지 극대화'
- [MWC 2025 프리뷰]'데뷔전' LG유플러스, AI 서비스 수익화 '올인'
- [불붙은 알뜰폰 생존경쟁]낮아진 망 도매대가, 사업 탈출 vs 성장 도모 '동상이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