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플러스운용 매각 재개, '지분 70% 인수' 고정 조건 14일 숏리스트 대상 재입찰 진행, 기존 우협 제안 조건 승계 요구
감병근 기자공개 2025-05-07 08:13:39
이 기사는 2025년 05월 02일 07시4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군인공제회가 자회사 엠플러스자산운용 매각 절차를 재개한다. 앞서 선정한 우선협상대상자와 논의가 무산된 것에 따른 후속 조치다. 재입찰은 투자 조건을 고정한 형태라 기존 원매자들이 불참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2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군인공제회는 이달 14일 엠플러스자산운용 본입찰을 다시 진행한다. 입찰 대상자는 앞서 예비적격 인수후보(숏리스트)로 선정된 디벨로퍼 씨티코어와 사모펀드(PEF) 운용사 웨일인베스트먼트, 키스톤프라이빗에쿼티 등이다.
군인공제회는 지난달 초 PEF 운용사 코발트인베스트먼트-VCM 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고 계약 관련 논의를 진행했다. 하지만 코발트인베스트먼트-VCM 컨소시엄이 이행보증금을 지급하지 못하면서 본입찰 절차를 다시 밟게 됐다.
군인공제회는 앞서 이뤄진 본입찰에서 경영권 지분만 인수한다면 원매자들이 투자 조건을 자유롭게 제안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이번 재입찰에서는 코발트인베스트먼트-VCM 컨소시엄이 제안한 조건을 고정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이에 따라 원매자들은 우선 엠플러스자산운용 지분 70%를 인수하고 향후 군인공제회의 잔여 지분 30%에 대해 풋옵션을 부담하는 조건을 제안해야 한다. 지분 70% 인수 가격과 함께 풋옵션 행사 가격 등으로 경쟁하는 구조인 셈이다.

다만 업계에서는 해당 구조로 딜을 진행하면 숏리스트 내에서 재입찰에 참여하지 않는 곳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기존 딜 구조를 완전히 뒤엎어야 하기 때문에 PEF 운용사의 경우에는 출자자(LP) 투자심의 재통과 등 절차를 기한 내에 수행하는 게 어려울 수 있다는 설명이다.
코발트인베스트먼트-VCM 컨소시엄은 엠플러스자산운용 지분 70% 인수가로 400억원 초반대 가격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분 100% 가치를 500억원 중후반대로 책정한 셈이다.
이는 순자산비율(PBR) 2배 이상을 적용한 가격으로 일반적인 자산운용사 M&A에 적용된 수준을 크게 웃돈다. 이를 고려하면 재입찰에 참여하는 원매자들은 이보다는 낮은 가격을 제안할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다.
엠플러스자산운용은 2008년 설립됐다. 초기에는 군인공제회 자회사 대한토지신탁이 운영하다 2015년 군인공제회의 100% 자회사로 편입됐다. 작년 말 기준으로 운용자산(AUM)은 1조3000억원, 순자산 규모는 230억원가량으로 알려졌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딜
-
- 대신밸류리츠, IPO 수요예측 '흥행'…경쟁률 7대 1
- [기업들의 CP 활용법]신용등급 전망 '부정적' 넷마블, 회사채 등장은 언제쯤
- [Korean Paper]호주 '처녀출전' 주금공, 선순위채 데뷔전도 통했다
- [발행사분석]한화리츠, 공모채 4개월만에 재등판…2·3년물 도전
- [엔비알모션 IPO]스팩 합병 자금, 자동화 설비투자에 쓴다
- [IPO 모니터]페스카로 상장 맡은 한화증권, 직상장 실적 확보 '기지개'
- [Korean Paper]외평채 준비하는 기재부…'새 정부 인사' 기다린다
- [Korean Paper]수은, 신정부 출범 후 첫 발행…SSA 투자자 몰렸다
- [세레신 IPO]'연내 상장' 로드맵 초읽기…프리 IPO 실탄 '장전'
- 영구채 콜옵션 앞둔 제주항공, 치솟는 부채비율 '부담'
감병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LNG선가 급등' IMM, 현대LNG해운 매각 속도 낼까
- '중부CC 우협' 더시에나그룹, 2000억 조달 방안 있나
- [이재명 정부 출범]PEF, 정책 출자 확대 기대감 속 LP 규제 강화 '촉각'
- 중부CC 매각 흥행, 골프장 후속 거래 쏟아질까
- [LP Radar]'계획 변경' 캠코, 올해 블라인드펀드 출자사업 진행
- 더시에나그룹, 중부CC 인수한다
- 한투PE, SKC EB에 3500억 투자 추진
- [영상]SK그룹 리밸런싱, 주요 M&A 현황과 전망은
- '대규모 실사 인력 투입' KKR, SK에코 환경자회사 품나
- ICS, 엘앤에프 엑시트 배경 '한투증권 도우미 등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