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웃백, 무더기 매장 폐점…어디어디 문 닫나 매출 부진 34곳, 명동 광화문 종로 등 서울 16곳 포함
고설봉 기자공개 2014-12-22 09:16:00
이 기사는 2014년 12월 19일 08시0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아웃백이 본격적인 매장 철수에 들어갔다. 지난달 5일 수익성이 떨어지는 하위 34개 매장을 철수하기로 한데 따른 후속조치로 보인다.1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이하 아웃백)은 전국 34개 매장에 대한 철수를 진행하고 있다. 대상 매장은 서울 16곳, 경기 4곳, 부산 4곳, 대구 2곳, 경남 2곳, 광주 1곳, 강원 1곳 등이다.
이번 폐점 대상에는 서울 명동, 광화문, 종로, 청담, 신천, 구의 등 서울 도심의 주요 매장과 북수원(수원), 산본(군포), 센텀시티(부산), 칠곡(대구), 충장로(광주), 춘천(춘천) 등 지방도시들의 거점 매장들이 포함돼 있다.
이들 매장은 대부분 시내 중심가에 150~200평 이상의 거대한 점포를 임차해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막대한 임대료를 지불하고 있다. 34개 매장의 평균 보증금은 3억 원이고, 평균 월임대료와 관리비는 각각 1606만 원과 293만 원이다.
보증금이 가장 비싼 매장은 중계점으로 보증금이 무려 15억 원에 달했다. 월 임대료는 1550만 원이고, 관리비는 없다. 월세가 가장 비싼 매장은 종로점으로 매달 3700만 원을 지불했다. 보증금은 3억 원, 관리비는 100만 원이다.
아웃백 관계자는 "이번에 새로운 사업 계획 발표 후 질적 성장을 위해 기존 매장 중 매출 부진, 인테리어 노후, 임대차계약이 종료되는 34개 매장을 철수하기로 했다"며 "추후 선택과 집중을 통해 다른 매장에 집중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아웃백의 매장 철수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아웃백에서 밝힌 철수 이유(임대차계약 종료)와는 다르게 대부분의 매장들의 임대차계약기간이 많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광화문 매장의 경우 2024년 2월 23일까지 임대차계약이 맺어져 있기 때문에 임차인을 채워 넣지 못할 경우 계약 만료일까지 계속해서 손실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 외에도 명동(2023년 3월), 덕천(2022년 11월), 상인(2022년 8월), 장안(2022년 5월), 마산(2020년 7월), 청담(2020년 3월) 홍대 2019년(10월), 연산(2019년 9월) 등 8곳의 매장들이 계약기간이 5년 이상 남아있다.
나머지 매장들의 임대기간 만료 시기도 대부분 2016년~2019년에 몰려 있다. 2015년 이내에 임대차계약이 종료되는 곳은 신천(2015년 4월)과 경성대(2015년 5월) 단 두 곳뿐이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아웃백 매장은 대부분 평수가 넓고, 상권의 중심지에 위치해 있어 임대료가 높다"며 "새로운 임차인 구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건물주 입장에서는 현재 수준 이상의 보증금과 임대료, 관리비를 지불하는 새 임차인이 들어오지 않을 경우 굳이 아웃백 매장의 임대계약을 파기시킬 이유가 전혀 없다"고 전했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교보생명 지주사 전환 전략 점검]조대규 사장, '보험 대표, 지주 TF' 도맡으며 남다른 입지
- [i-point]채비, 전자금융업 라이선스 취득
- [i-point]엑스플러스, 어린이날 맞아 '캐치! 티니핑' 굿즈 기부
- [i-point]김하용 킵스파마 대표 "삼일PwC 지정감사 이상 무"
- [thebell interview]"수익성 회복에 집중, 기업·투자금융 확대로 미래 동력 확보"
- [보험사 기본자본 점검]KB라이프, 손실흡수력 최상위…하방 압력은 큰 부담
- [Policy Radar]상호금융 PF 대출, '20% 룰' 도입되나…당국·업계 줄다리기
- [금융 人사이드]하나저축, 심사본부장에 그룹 출신 전상윤 이사 선임
- [Sanction Radar]멜라트-우리은행 손배소 판결 가른 'SDN'
- [보험경영분석]보장성 늘린 농협생명, 441% 초우량 킥스비율 달성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2025 공시대상기업집단]유코카캐리어스, 현대차 물량 업고 첫 대기업 등극
- [감액배당 리포트]제주항공, 신속한 885억 감액…배당은 못했다
- [GM·르노·KGM 생존기]부활 신호탄 쏜 KGM, 환율효과로 버텼다
- [GM·르노·KGM 생존기]수익성 바로미터 '공장 가동률' 전망은
- [thebell desk]두산그룹, 뚝심이 이긴다
- [GM·르노·KGM 생존기]르노코리아, '완전 무차입 경영' 이어간다
- [감액배당 리포트]'통합 진에어' 앞두고 자본금 회수 나선 대한항공
- 현대차, 1분기 미국서 반짝 성장…본게임은 2분기부터
- 현대차, 주주환원 의지 재확인…속도는 '조절'
- 현대차, 미국 관세리스크 대응 '총력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