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산업개발, 부채비율 낮췄지만 '자본잠식' 여전 [건설리포트]이익잉여금 손실 축소로 자본확충, 실적 악화 부분자본잠식 지속
고설봉 기자공개 2016-09-21 08:04:44
이 기사는 2016년 09월 20일 10시0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대우산업개발이 이익잉여금 결손금을 만회하면서 부채비율 축소에 성공했다. 그러나 여전히 자본잠식이 이어지면서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수년째 이익잉여금 누적 결손으로 인한 부분자본잠식 상태에 빠졌지만 헤어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대우산업개발은 올해 2분기 말 기준 부채비율 580.56%를 기록했다.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596.95%대비 16.39% 포인트 줄었다. 매입채무가 늘어나며 부채총액은 불어났지만, 이익잉여금 누적 결손이 줄면서 자본총액이 더 많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대우산업개발의 올해 2분기 말 기준 부채총액은 1276억 원으로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1129억 원 대비 147억 원 늘었다. 만기 도래한 장기차입금을 상환하면서 외부 차입금을 축소했지만 매입채무가 대거 늘면서 부채총액이 불어났다.
매입채무는 거래처와 사이에 발생한 어음상 채무인 지급어음과 거래처와 거래에서 발생한 미불금인 외상매입금으로 구성돼 있다. 일반적으로 자금회전이 어려워지면 회사는 매입채무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대우산업개발은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339억 원이던 매입채무를 올해 2분기 말 기준 576억 원으로 늘렸다.
다만 기존 외부 차입금은 소폭 줄어들었다. 외부 차입금 규모는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385억 원에서 올해 2분기 말 기준 330억 원으로 약 55억 원 줄었다. 상환 만기 1년 미만인 유동성장기부채가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89억 원에서 올해 2분기 말 기준 38억 원으로 줄어들며 부채 감축 효과를 톡톡히 봤다.
부채총액이 증가보다 자본총액 증가폭이 더 커지며 부채비율은 낮아졌다. 대우산업개발의 올해 2분기 자본총액은 220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189억 원 대비 약 31억 원 가량 자본총액이 늘었다. 수년째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는 이익잉여금 규모가 소폭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대우산업개발의 이익잉여금 누적 결손은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마이너스(-) 338억 원에서 올해 2분기 말 기준 307억 원으로 줄어들었다.
그러나 여전히 부분자본잠식은 지속되고 있다. 수년째 이익잉여금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자본금을 갉아먹고 있기 때문이다. 대우산업개발은 올해 2분기 말 기준 자본금 약 388억 원이지만 이익잉여금 마이너스(-) 307억 원을 기록하며 자본총액은 220억 원에 그쳤다. 자본총액이 자본금보다 약 168억 원 작은 상태로 자본잠식이 계속되고 있다. 자본잠식률은 약 43%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디벨로퍼 리포트]위본그룹 '위본', 부동산 개발 위축에 수익성 둔화
- [2025 공시대상기업집단]'건설' 대광그룹, 회계기준 변경 덕에 대기업 반열에
- [PF Radar]마포 도시형생활주택 개발사업, 재구조화 수순
- [건설보증업계 경영분석]건설공제조합, 자산운용 성과…당기순이익 '수성'
- [건설리포트]HL디앤아이한라, '역기저효과' 속 자체사업 성과 기대
- [KT 리빌딩]나스미디어, 커머스 떼고 본업 집중 '승부수'
- 삼성 하만, 마시모 오디오 인수 'B2C·B2B' 대폭 강화
- 삼성전자 하만, 마시모 구조조정 파고든 M&A
- 카카오게임즈, 1분기 실적 부진 '본게임은 2분기부터'
- [IR Briefing]카카오게임즈, 대형 신작 '삼총사'에 달린 명운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GM·르노·KGM 생존기]KGM, 가동률 저하 묘수 '수출'
- [감액배당 리포트]티웨이항공, 예림당이 일구고 대명소노가 챙길 '3000억'
- [GM·르노·KGM 생존기]KGM, 여전한 과제 '재무 개선'....회사채 시장 복귀 목표
- [2025 공시대상기업집단]유코카캐리어스, 현대차 물량 업고 첫 대기업 등극
- [감액배당 리포트]제주항공, 신속한 885억 감액…배당은 못했다
- [GM·르노·KGM 생존기]부활 신호탄 쏜 KGM, 환율효과로 버텼다
- [GM·르노·KGM 생존기]수익성 바로미터 '공장 가동률' 전망은
- [thebell desk]두산그룹, 뚝심이 이긴다
- [GM·르노·KGM 생존기]르노코리아, '완전 무차입 경영' 이어간다
- [감액배당 리포트]'통합 진에어' 앞두고 자본금 회수 나선 대한항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