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속 챙긴 우리은행, 수수료 수익 1위 [방카슈랑스 시장 분석] 월납 누적 효과…점유율 1위 국민은행 따돌려
최필우 기자공개 2017-01-25 08:16:14
이 기사는 2017년 01월 19일 07시3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우리은행이 지난해 방카슈랑스 시장에서 가장 높은 수수료수익을 올렸다. 우리은행이 수수료수익 1위를 차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19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지난해 판매 수수료수익에서는 861억 원을 기록했다. 월납 수수료수익은 555억 원을, 일시납 수수료수익은 306억 원을 기록했다. 시장 점유율에선 KB국민은행에 뒤진 21.8%을 기록했지만 수익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월납과 일시납을 합친 우리은행의 초회보험료 규모는 전년 대비 23.7% 증가한 1조 5065억 원을 기록했다.
우리은행은 지난 2015년부터 월납 저축성 보험을 적극적으로 판매했다. 우리은행은 예금금리가 연 1%대로 하락하자 3년동안 연 2%대 수익률을 올릴 수 있는 월납 저축성보험을 설계해 마케팅을 강화했다. 이 상품은 은행 예·적금 상품의 대안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수수료가 한번에 들어오는 일시납 상품과 달리 월납 상품은 판매시 수수료수익이 꾸준히 쌓여 전체 수익에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며 "시중 금리 이상의 최저보증이율을 보장하는 월납 저축성 보험 판매가 늘어난 점이 타행 대비 수수료수익이 높았던 요인"이라고 말했다.
2015년 수수료수익 1위였던 KB국민은행은 지난해 우리은행에 밀려 2위를 기록했다. KB국민은행은 작년 한 해 수수료수익 792억 원을 올렸다.
KB국민은행은 지난 한 해 초회보험료 1조 7935억 원을 기록, 시장점유율 26%를 기록하며 수위에 올랐지만 수익성이 우리은행에 뒤졌다. 일시납 수수료수익(350억 원)으로는 월등했지만, 월납 수수료수익(442억 원)이 우리은행보다 낮았다.
NH농협은행은 675억 원, 신한은행은 611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 이어 IBK기업은행(598억 원), KEB하나은행(509억 원) 순이었다. SC제일은행과 KDB산업은행은 각각 159억 원, 28억 원을 기록하며 하위권에 자리잡았다.
|
방카슈랑스 부문 전통의 강자인 KB국민은행은 다소 기대에 미치지 못했던 월납 상품 판매를 강화해 수수료수익을 끌어올리겠다는 방침이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일시납 상품 판매로는 타행 대비 높은 성과를 거뒀지만 월납 상품 판매에서 뒤처졌던 점이 수수료수익 1위를 내준 원인"이라며 "올해부터 장기적인 수익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월납 상품 판매를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KT의 이유있는 '쓴소리'
- HDC랩스, 그룹 내 시너지 덕에 '턴어라운드' 기대감
- '수성 아이유쉘' CR리츠, 대주단 '엑시트' vs 시공사 '대손'
- 신한리츠운용, 알파·서부티엔디리츠 투자 콘셉트 확정
- 롯데건설, '마곡 르웨스트' 재분양 속도 낸다
- [건설리포트]GS건설, 하반기 수익성 제고 '정조준'
- [CAPEX 톺아보기]㈜신세계, 현금창출력 초과한 투자 집행…'성장' 방점
- 트럼프 주니어 만난 문주현 회장 "첫 만남은 탐색전"
- [제약바이오 R&D 인사이더스]비보존 후속 자신감 원천, "R&D 전주기 아우르는 시스템"
- 유동성 바닥난 아이톡시, '영구 CB'로 신작 확보
최필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하나금융, 절묘한 RWA 관리 '밸류업 행보' 지속
- [금융사 KPI 점검/하나은행]영업점에 수익 확대보다 '고객 만족' 강조한다
- [BNK금융 인사 풍향계]하나·KB금융 출신 전문가 영입 '리스크관리·디지털' 강화
- [우리금융 인사 풍향계]IB 임원 겸직 체제 도입, 임종룡 회장 우투증권 힘싣기
- 우리은행, '위기기업 대응 조직' 신설 자본비율 관리 고삐
- iM금융, 성공적 RWA 관리 'CET1 12%' 고지 올랐다
- [컨콜 Q&A 리뷰]신한금융, 속도감 있는 주주환원율 제고 '자신감'
- 신한은행, 자금세탁방지부 '본부 격상·경영진 배치' 배경은
- 삼양사의 JB금융 지분 매각이 남긴 것
- [컨콜 Q&A 리뷰]우리금융, 올해 안정적 자본비율 관리 '최우선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