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그룹, 오너 지분 보유 계열사 '산은 담보' 제공 작년 유동성 지원시 '조원태 회장 주주' 한진정보통신 주식담보, 한국공항·아이에이티 포함
김경태 기자공개 2021-03-29 10:57:41
이 기사는 2021년 03월 26일 16시2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진그룹이 작년 유동성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국책은행에 지원을 받으며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을 비롯한 오너일가가 지분을 보유한 계열사의 주식을 담보로 제공했다. 해당 기업은 과거 고 조양호 회장이 지분을 소유했던 곳이다. 한진그룹은 또 다른 비상장사의 지분도 KDB산업은행에 담보로 잡혔다.26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한진그룹은 작년 5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산은과 수출입은행에 1조2000억원 규모의 긴급자금지원을 받았다. 이 과정에서 산은과 수은은 대한항공이 보유한 계열사 주식을 담보로 잡았다.
우선 상장사 한국공항 주식 188만5134주(59.54%) 전량에 대해 주식근질권 설정계약을 맺었다. 대한항공 종속사 중 덩치가 가장 크다. 작년말 자산은 4189억원이이다. 지난해 말 한국공항 지분 59.54%의 장부가는 1454억원이다.
산은과 수은은 한국공항 외에 비상장사 2곳의 주식을 담보로 잡았다. 대상은 한진정보통신, 아이에이티(IAT)이다.
이 중 한진정보통신은 오너일가가 지분을 소유하고 있는 곳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애초 고 조 회장이 한진정보통신 지분 0.65%를 갖고 있었다. 그가 별세한 뒤 배우자와 자녀가 나눠 상속받았다. 이명희 전 한국공항 고문이 0.22%로 가장 많이 상속했다. 조 회장과 조현아 전 부사장, 조현민 한진 부사장은 각각 0.14%씩 동일하게 받았다.
대한항공은 감사보고서에 연결 자회사 중 주요 종속사로 2곳을 분류하는데 한국공항과 한진정보통신이다. 한진정보통신은 내부거래 비중이 높다. 2019년 매출 1657억원 중 82.3%를 대한항공을 비롯한 특수관계자와 거래를 통해 발생했다.

IAT도 대한항공이 단일 최대주주인 곳이 아니다. 대한항공이 2010년12월 미국의 세계적인 항공기 엔진 제조업체 P&W(Pratt&Whitney)의 계열사 UTIC-Asia(United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Asia Private Limited)와 합작해 만든 법인이다. 대한항공이 지분 86.13%, UTIC-Asia가 13.87%를 나눠갖고 있다.
대한항공이 설정한 IAT 장부가는 한진정보통신보다 비싸다. 작년말 기준 한진정보통신은 지분 99.35%의 장부가는 301억원이다. IAT는 지분 86.13%는 702억원이다. 한진정보통신의 경우 그룹 내부거래를 바탕으로 꾸준한 실적을 거두고 있지만 IAT는 매년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일반적으로 보유 중인 비상장법인의 지분가치가 손상되면 장부가액과 회수가능가액의 차이를 손상차손으로 인식하고 금융비용으로 처리하지만 IAT는 전년과 변화가 없다. 이는 IAT가 보유한 유형자산 때문으로 풀이된다. IAT는 설립 당시부터 영종하늘도시 내 항공엔진정비센터를 추진해왔다. 2019년말 토지 장부가는 539억원이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산은의 1조2000억원 금융지원에 대해 대한항공이 소유하고 있는 자산을 담보로 제공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진정보통신과 아이에이티의 주식이 대상이 된 배경은 밝히지 않았다.
산은은 아시아나항공 빅딜 과정에서 조 회장이 보유한 한진칼 주식 전량을 담보로 잡기도 했다. 여기에 만일의 경우에 대한항공뿐 아니라 비상장사에 대해서도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구조가 만들어진 셈이다.
향후 코로나19로 확산세가 지속돼 항공업황 침체가 지속돼 추가 자금지원이 이뤄지는 경우 또 다른 비상장사로 담보 범위가 확대될지 주목된다.
우기홍 대한항공 사장은 이날 열린 정기주총에서 조 회장의 인사말을 대독하면서 "올해도 전세계 항공산업 전망이 밝지만은 않다"며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코로나19로 인한 불확실성이 계속되고 여객수요가 코로나19 이전으로 회복하려면 2024년이 되어야 한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조 회장과 특수관계인들이 지분을 보유한 비상장사로는 정석기업이 있다. 이곳은 부동산관리업이 주력으로 서울 중구 남대문로2가(소공동)에 소재한 한진빌딩 본관을 소유하고 있다.
정석기업의 최대주주는 한진칼로 지분 48.27%를 보유하고 있다. 나머지 주주는 조원태 회장(4.59%), 이명희 고문(6.87%), 조현아 전 부사장(4.59%), 조현민 전무(4.59%), 고 조양호 회장의 매형 이태희 씨(8.07%), 정석물류학술재단(10.0%)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NPL 자금조달 리포트]대신F&I, 공격적 투자에 단기조달 확대…NPL 매입 '적기 대응'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1위 저축은행 PBR 0.95배, 상상인그룹은 '난색'
- [Policy Radar]금융당국, SKT 사태 '비상대응본부' 구성
- [은행경영분석]농협금융, 예대업 약화…낮아진 비은행 기여도 '설상가상'
- [여전사경영분석]우리금융캐피탈, 대손비용 부담 확대로 실적 개선 제동
- [금융 人사이드]캠코 사장 단독후보에 정정훈 전 세제실장…'자본확충' 첫 시험대
- [은행경영분석]제주은행, 90% 넘는 지역 의존도…가파른 연체율 상승세
- [은행경영분석]BNK금융, 건전성 지표 저하 '밸류업 복병' 부상
- [금융사 KPI 점검/하나은행]본사 정책 평가 강화, '건전성·손님만족' 항목 힘줬다
- [Policy Radar]보험업법 규제 기준 킥스비율 130%로 낮아진다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HB그룹은 지금]알짜빌딩에 세종 신사옥까지, 그룹 안전판 '부동산'
- [IR Briefing]삼성전자, '자사주 또 소각' 주가반등 사활
- [Company Watch]'예상 밖 선방' 삼성전자, MX사업부 '압도적 기여'
- [HB그룹은 지금]종합엔터 거듭난 HB엔터, '중국자본 동행' 기대감
- HPSP, 예스티 상대 소극적권리심판 항소
- 트럼프 시대, 삼성에 필요한 단어 '그룹'
- [HB그룹은 지금]HB테크놀러지·솔루션, 신성장동력 가시화 언제쯤
- [IR Briefing]LG전자, 조주완 승부수 '적중'·인도법인 IPO '느긋'
- [IR Briefing]'저점 확인' 삼성SDI, 신성장동력 '만반의 준비'
- 삼성전자 미국법인, 인하우스 로비스트 활동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