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옵션 임직원 배정' TPC, 스톡옵션 효과 노린다 특수관계인 명단 등재, 복지 차원…바이오메카트로닉스 사업 기대감
황선중 기자공개 2021-10-25 08:00:31
이 기사는 2021년 10월 21일 10시5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공장자동화설비 부품 제조업체 'TPC메카트로닉스(이하 TPC)'의 임원들이 최대주주 특수관계인 명단에 대거 이름을 올렸다. TPC의 전환사채(CB)에 설정된 콜옵션을 행사하는 방식으로 CB를 손에 쥐면서다. 경영권이 안정된 상황인 만큼 TPC가 임원진과의 유대감을 강화하는 목적으로 스톡옵션처럼 콜옵션을 활용했다는 해석이다.21일 업계에 따르면 코스닥 상장사 TPC의 엄재윤 대표 등 전·현직 임원 9명은 지난 12일 콜옵션을 행사해 약 19만6047주 규모의 CB를 확보했다. 전체 발행주식수와 비교하면 1.33% 규모다. 임원들은 지분율 기준으로 적게는 0.07%에서 많게는 0.54%에 해당하는 물량을 각각 가져갔다. 엄 대표는 0.16% 규모의 물량만을 인수했다.
이 CB는 TPC가 지난 2018년 10월 운영자금 160억원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한 8회차 물량이다. 당시 총 전환가능 물량(리픽싱 80% 기준)은 보통주 349만2430주였고, 신한금융투자를 비롯해 8곳의 기관투자자가 나눠 인수했다. 권면총액 30%로 설정된 콜옵션 행사기간은 2021년 10월 12일까지였다. 행사기간 마지막 날에 콜옵션을 행사한 셈이다.

눈길을 끄는 건 임원들이 콜옵션 행사 주체자로 등장했다는 점이다. 통상 콜옵션은 최대주주가 지배력을 강화하려는 목적으로 행사된다. 전환청구권 행사에 따른 지배력 희석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로 활용하는 것이다. 경영승계를 앞둔 오너 2세들이 지분 확보용으로 행사할 때도 있다.
하지만 TPC의 지분구조는 안정된 상태다. 여러 차례에 걸친 전환청구권 행사에도 특수관계인을 모두 포함한 최대주주 지분은 56.31%에 달한다. 최대주주는 엄 대표의 동생인 엄재웅 이사(13.19%)다. 그 다음은 엄 대표(9.25%), 가족회사 ㈜단해(8.10%), 친인척 Tiffany Uhm Rho(8.10%) 순이다.
비록 엄 대표보다 동생의 지분이 많기는 하지만 지배력을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 오히려 엄 대표의 부인 김정래(1.75%) 씨를 비롯해 아들 엄현준(7.27%), 딸 엄신지(3.19%), 엄신혜(3.19%) 지분을 모두 합치면 24.65%의 지배력을 갖게 된다. 굳이 콜옵션을 통해 지배력을 강화할 필요가 없는 상황이다.

주가부양을 향한 의지로도 읽힌다. 최근 TPC 주가는 잦은 전환청구권 행사로 전환가액을 하회하고 있다. 콜옵션을 행사한 지난 12일 종가는 전환가액보다 낮은 3525원이었다. 사실상 시장가보다 비싼 가격에 CB를 사들인 셈이다. 우하향하는 주가를 다시금 끌어올릴 수 있는 모멘텀이 될 수도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TPC 관계자는 "임원들이 회사의 성장 가능성을 보고 장기적 관점에서 콜옵션을 행사했다"며 "새롭게 추진하고 있는 바이오메카트로닉스 사업이 내년부터 성과를 내면 회사도 좋아지고 주가도 점차 회복세에 접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미래에셋운용, 인프라 투자도 질주…AUM 8조 목전
- 삼표그룹, 사상 첫 '외국인 부회장' 영입
- '3조 클럽' 풀무원, 중국 사업 건기식→식품 재편 박차
- [사모펀드 유통 포트폴리오 점검]네파, 합병에서 기인한 상환 부담…'수익성'에 방점
- [고운세상코스메틱은 지금]지배구조 변동 전 주주 정책 변화, 대규모 배당 실시
- [Company Watch]미국 키우는 LG생활건강, '1800억' 투자 재무 영향은
- [지앤푸드는 지금]'오븐구이'로 성장한 20년, 신사업 전환점 맞나
- [레페리는 지금]'뷰티 마케팅' 특화된 MCN, 1호 상장사례 만들까
- [thebell desk]오리온의 '심장'
- [사모펀드 유통 포트폴리오 점검]락앤락, '투자→자산 매각'으로 효율화 선회
황선중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넵튠 파는 카카오게임즈, '비욘드 게임' 마침표
- 엔씨소프트, '클러스터' 전략으로 족쇄 푸나
- 위메이드, 해킹에 흔들린 블록체인 사업 미래는
- 위메이드 "위믹스 재상폐에도 게임 동접자 안 빠져"
- 위메이드 "위믹스 해킹 늑장공시 아니야…DAXA 기준 불분명"
- 유동성 바닥난 아이톡시, '영구 CB'로 신작 확보
- [Company Watch]'압도적' 크래프톤, 현금성자산 '4조' 찍었다
- [Company Watch]'연타석 홈런' 넷마블, 달라진 자회사 5인방
- 조이시티, 4년 연속 '역성장' 흐름
- 크래프톤, 6개사만 넘었던 '8000억' 장벽…1분기 넘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