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22]'공기없는 타이어' 한국타이어, 현대차와 자율주행 협력할까비공기입 타이어 'i-Flex', 'Pnd' 모듈 적용 눈길...구본희 R&D총괄 부사장 승진
김서영 기자공개 2022-01-06 11:29:14
이 기사는 2022년 01월 05일 14:07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타이어 제조업체는 엄밀히 말하면 자동차 부품사로 분류된다. 타이어를 엔진, 공조시스템, 라이트 등과 함께 완성차를 이루는 하나의 부품으로 본다면 말이다. 그러나 타이어는 자동차업계에서 일반 부품사와는 다른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 타이어가 겉으로 드러나 있고, 운전자가 주기적으로 교체한다는 점 때문이다.타이어업계는 국내외 완성차로부터 인정을 받아야 하고, 또 소비자로부터 선택을 받아야 하는 숙명을 안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연구개발(R&D)을 게을리할 수 없다. 국내 타이어업계 1위인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한국타이어)는 현대자동차의 미래 전략에 보폭을 맞춰 모빌리티 신기술 개발에 매진 중이다.
한국타이어는 5일 세계 최대 IT·전자 전시회인 'CES 2022'에서 비공기입 타이어(airless tire)를 새롭게 선보였다. 이름은 'i-Flex(아이플렉스)'다. 아이플렉스는 세포 구조를 모방해 디자인한 미래형 컨셉트 타이어다. 이번 CES 2022를 위해 10인치 사이즈로 개발됐다.

자율 주행 기술에 사용되는 라이다 센서와 카메라 센서를 바탕으로 지능형 스티어링, 주행, 제동이 가능하고, 특히 연속적인 360도 회전은 물론 자유로운 움직임을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어떤 사물에든 부착해 이동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i-Flex 타이어는 내부에 공기가 필요 없어 펑크로 인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아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고 사측은 설명했다. 무엇보다 적정 공기압 유지 관리도 필요하지 않아 운전자가 따로 없는 자율주행 모빌리티에 최적화된 타이어라고 평가했다.
한국타이어 관계자는 "현대차의 자동차 부품사로서 CES 2022에 신기술을 선보이게 됐다"며 "현대차와의 코웍(cowork·협업)을 통해 자율주행 모빌리티 전용 타이어 기술을 개발하게 됐다"고 말했다.
한국타이어는 지난 2010년부터 정부 과제 중 하나로 비공기입 타이어 연구를 시작했다. 특히 i-Flex는 자율주행 등 미래 모빌리티에 가장 적합한 타이어로 △안전성(safety) △보전성(maintenance) △지속가능성(sustainable)을 갖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진행 중이다.
한국타이어는 국내 타이어 3사(한국타이어·금호타이어·넥센타이어) 가운데 R&D에 가장 적극적인 곳이다. 연간 매출액 대비 3%가량을 R&D 비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R&D 비용은 2020년 1806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금호타이어(915억원), 넥센타이어(884억원)의 두 배가 넘는 수준이다.
지난 연말 인사에서 연구담당임원 승진을 승진 시켜 힘을 싣기도 했다. 지난해 12월 말 한국타이어는 구본희 연구개발혁신총괄을 전무에서 부사장으로 승진시켰다고 발표했다. 이는 미래 혁신을 중심으로 핵심 사업 경쟁력 강화와 신규 사업 발굴을 위한 투자를 적극 주도해 나가겠다는 조현범 신임 회장의 경영 방침과 일치한다.
한국타이어는 "구본희 부사장은 미래 타이어 기술력을 포함한 전기차 전용 타이어, 초고성능 타이어 등 글로벌 타이어 기술력 선도에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아 부사장으로 승진했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넥스턴바이오사이언스, 롤코리아 경영권 확보 완료
- 위세아이텍, '사업 경쟁력 강화' 각자 대표 체제 출범
- '렌탈 1위' 코웨이, 후발주자들과 격차 더 벌렸다
- 네이버, '페이머니 통장' 혁신금융서비스 신청 모색
- 중소형거래소도 뭉친다…개별 협의체 'KDA' 출격
- SK시그넷, 자회사 시그넷에너지 '유증자합병' 이유는
- 넷마블, 블록체인 우군 25곳…MBX 글로벌 확장 속도
- 드림어스컴퍼니, 주가하락에 CPS 전환 요원
- [증권사 글로벌사업 점검]KB증권, 현지 증권사 '통큰 인수'...KB 문화 이식
- [증권사 글로벌사업 점검]캄보디아 진출 16년 유안타, 현지화로 시장선점 '결실'
김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만도, 튀르키예법인 지분 추가 인수..유럽 실적 호조
- 세계로 뻗어가는 포스코의 '기업시민'
- [ESG위원회 중간점검]롯데글로벌로지스, '워킹그룹' 중심 운영
- [캐시플로 모니터]한솔제지, 수익성은 좋은데 NCF는 마이너스
- ['예비' 상호출자제한기업 돋보기]'풍부한 유동성' 장금상선, 차입보다 '상환' 주력
- ['예비' 상호출자제한기업 돋보기]장금상선, '재계 58→50위' 몸집 불린 해운업 뚝심
- [캐시플로 모니터]무림P&P, 펄프 가격 강세에 현금흐름 '미소'
-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점검]에어부산, 공시 의무 대상 포함 '첫 해' 성적표는
-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점검]'오너 리스크' 아시아나항공, 이사회 독립성 강화 주력
- [기업가정신 변천사]'보부상 정신' 두산그룹, 자본축적에서 '사회환원'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