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 제강사 리포트]휴스틸, 미국 강관수요 증가 수혜...관건은 철강쿼터③수출에서 미국 비중 1년만에 67.3%→92.5%, 강관 수출쿼터 소진 빨라 수혜 폭 미지수
강용규 기자공개 2022-04-25 07:39:28
이 기사는 2022년 04월 21일 15:20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휴스틸은 강관 단일사업만을 진행하는 제강사다. 연 121만4500톤의 생산능력을 갖춰 152만톤의 세아제강에 이은 강관업계 ‘넘버2’다. 내수와 수출의 비중은 경영환경 변화에 따라 유동적이지만 수출에서는 미국 시장의 비중이 높다.최근 미국에서 인프라 투자가 확대되면서 강관 수요가 늘어 휴스틸을 포함한 국내 강관사들이 수혜를 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다만 미국이 한국산 철강제품에 적용하는 수입 쿼터가 조정되지 않는다면 수혜의 크기가 기대만큼 크지는 않을 수 있다는 신중론도 있다.
휴스틸은 최근 5년(2017~2021년) 동안 연결기준 매출 합계 2조7985억원 가운데 52.6%에 해당하는 1조4723억원을 수출을 통해 올렸다. 총 수출금액 가운데 73.3%에 이르는 1조786억원이 미국 판매법인(휴스틸USA)의 매출이다.
2021년만 놓고 보면 매출 6165억원 가운데 46.9%인 2892억원이 수출에서 나왔고 휴스틸USA가 전체 수출의 92.5%인 2674억원을 담당했다. 휴스틸에게 미국은 내수 못지 않게 중요한 시장이라는 것뿐만 아니라 지난해 미국 의존도가 눈에 띄게 높아졌다는 점이 드러난다.

휴스틸 관계자는 “지난해 미국에서 코로나19 상황이 다소 완화돼 경기가 살아나면서 전반적으로 에너지 수요가 증가했고 고유가 기조에 유정 개발투자도 늘었다”며 “이에 강관 수요도 함께 늘면서 가격 상승 효과를 봤다”고 설명했다.
휴스틸의 미국 사업은 앞으로 더욱 전망이 밝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11월 미국에서 1조달러 규모의 인프라 투자법안이 통과되면서 국내 강관사들이 수혜를 볼 것이라는 기대감이 강관업계에 퍼져 있다. 미국 상무부 집계에 따르면 2021년 기준으로 미국의 강관 수입국 가운데 한국이 2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휴스틸로서는 미국의 철강 쿼터제 속 얼마만큼의 비중을 확보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한국산 철강제품의 시장 지위가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을 막기 위해 수입량 상한을 2015~2017년 한국산 철강제품 수입량 평균의 70%로 묶어두고 있다. 강관의 경우는 상한이 103만톤이다.
국내 강관업계에서는 쿼터의 상한선이 너무 낮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미국의 인프라 법안에 따른 투자는 올해 5월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그런데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국내 강관사들은 이미 1분기에만 미국에 44만5000톤의 강관을 수출했다.
지난해 미국의 강관 수요 증가세는 하반기부터 시작됐다. 휴스틸USA의 경우에는 2021년 매출이 상반기 813억원, 하반기 1861억원으로 이뤄졌다. 이런 상황에서도 국내 강관사들은 지난해 미국에 98만톤의 강관을 수출해 쿼터를 사실상 모두 소진했다.
미국에서 지난해보다 더욱 늘어날 2분기 이후의 강관 수요와 올해 1분기 국내 강관사들의 미국 수출량을 고려하면 국내 강관사들은 3분기가 채 가기도 전에 미국 강관 수출쿼터를 모두 소진할 수도 있다는 것이 강관업계의 시각이다. 쿼터를 넘어선 수출물량에 대해서는 높은 관세가 적용되는 만큼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휴스틸 관계자는 “미국 강관사업이 쿼터제로 제한돼 있다 보니 판매량을 확대하는 데 한계가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현재 우리 정부가 미국 정부와 철강 쿼터를 놓고 재협상을 요구하고 있는 만큼 결과에 맞춰 적절한 사업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VC 팔로우온 투자파일]유안타인베, '바이오녹스' 시리즈B 브릿지 투자 견인
- 브랜드엑스, 일상복까지 점령 판매량 '고공행진'
- 케이피에스, 세기리텍 품고 실적 '퀀텀점프'
- 정태영 부회장 “한국 페이먼트 이정표 되는 날”
- 맞춤 수면시대 연 코웨이 '비렉스 스마트 매트리스'
- [증권사 IB, 유상증자 비즈니스 전략]'Industry3부' 신설 효과, NH증권 코스닥 실적 '최대'
- 시노펙스, 국내 최초 나노급 ePTFE 설비 구축
- [챗GPT발 AI 대전]국내 첫 GPT-3 서비스 꺼낸 SKT, 7년을 갈고 닦았다
- [삼성SDI 로드 투 아메리카]해외 R&D 허브 보스턴, 배터리 경쟁력 백년대계 담당
- [챗GPT발 AI 대전]엔비디아 GPU에 도전하는 국내 팹리스들
강용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김지홍 KAI 전무, R&D 중책 짊어진 '초대 리더'
- [택배사 엔데믹 적응기]글로벌에서 기회 찾는 ㈜한진, 키워드는 '동남아'
- 현금 늘리는 삼성중공업, 흑자전환 준비 모드
- [택배사 엔데믹 적응기]㈜한진, 중장기 대규모 투자 자금마련 방안은
- [On the move]KAI, 글로벌 톱7 가는 길...소프트웨어 R&D
- [인벤토리 모니터]현대로템, 재고자산 감소에서 나타난 ‘효율의 미학’
- [한국조선해양은 지금]올해 첫 배당 예고, 관전 포인트는 자회사 이익
- [한국조선해양은 지금]개선되는 ESG평가, 계속되는 안전 과제
- [한국조선해양은 지금]선박기자재 '친환경 솔루션' 사업화, 어디까지 왔나
- [한국조선해양은 지금]STX중공업 인수, 7부능선 넘었는데 무산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