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폴리오 실적 고공행진, 펀드 명가 입증 공사모 수탁고 3.7조 넘어…영업익·순익 두배 증가
윤종학 기자공개 2022-05-30 07:44:29
이 기사는 2022년 05월 27일 14시3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펀드 명가의 저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최초로 영업수익 네자릿 수를 넘어섰고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두 배 이상 급증했다.지난해 최대 실적은 펀드 비즈니스가 견인했다. 소프트클로징(추가 판매 중단)에 앞서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의 펀드에 가입하려는 자금이 몰리며 공사모펀드 수탁고가 드라마틱한 성장세를 보였다.
◇펀드 비즈니스, 최대 실적 견인차 역할
3월 결산법인인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은 지난해(2021년 4월초~2022년 3월말) 영업수익 1074억원, 영업이익 586억원, 순이익 517억원을 달성했다. 전년대비 영업수익은 66% 증가했고,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168%, 136% 급증했다.

지난해 최대 실적은 사모에서 공모로 영역을 확장한 펀드 비즈니스가 이끌었다. 고유계정 성과는 전년대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가운데 펀드 투자 성과가 눈에 띄게 성장했다.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의 지난해 수수료 수익은 493억원에서 924억원으로 87% 껑충 뛰었다. 지난해 펀드 비즈니스로 거둔 수익은 918억원이다. 전년 대비 90% 늘어난 수치다. 영업수익의 85%가량을 펀드 수수료로 벌어들인 셈이다. 타임폴리오자산운용 관계자는 "지난해 펀드 수익률이 좋아 성과 보수가 크게 늘어난 효과를 봤다"고 설명했다. 11개 대표 펀드의 지난해 평균 수익률은 약 35%로 파악됐다.
영업수익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고유계정 성과는 다소 주춤했다. 지난해 증권평가 및 처분이익은 147억원으로 집계돼 전년(150억원) 대비 1.8% 감소했다. 타임폴리오자산용은 주로 자사 펀드의 시드 자금과 비상장 주식 등에 고유계정 투자를 단행하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비상장 주식 시장이 위축되면 고유계정 성과가 소폭 줄어들었다는 설명이다.
◇소프트클로징 앞두고 공사모펀드 자금 유입 봇물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은 롱숏 비중을 80~90% 수준으로 유지하며 대체자산을 5~20% 비중으로 담는 전략으로 리스크는 줄이고 안정적 수익률을 기록하며 사모에 이어 공모 펀드 시장에서도 자금을 끌어 모았다. 올해 3월 말에는 소프트클로징 단행하는 등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의 펀드에 탑승하려는 자금이 급격히 몰렸다.
지난해 공모와 사모를 포함한 전체 펀드 설정액은 3조7381억원으로 집계됐다. 2020년 1조4160억원에서 163.9% 불어났다. 설정 펀드 수도 155개에서 192개로 늘었다.
특히 공모펀드 설정액이 1조원에 육박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2020년 2241억원이었던 공모펀드 설정액은 335% 급증한 9762억원을 기록했다. 주식형 펀드는 588억원에서 2417억원으로, 재간접형 펀드는 1653억원에서 7345억원으로 각각 310%, 344% 증가했다.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은 재간접형인 '타임폴리오위드타임'과 주식형인 '타임폴리오마켓리더'를 공모 펀드 라인업으로 두고 있다. 사모펀드 설정액도 1조1191억원에서 2조7618억원으로 두 배 이상 껑충 뛰었다.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은 올해 말까지 소프트클로징을 유지할 방침이다. 올해 3월이 타임폴리오 펀드에 가입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였던 셈이다. 실제로 ‘타임폴리오 The Time-T 일반사모투자신탁’과 ‘타임폴리오 The Time-M2 일반사모투자신탁’ 등 타임폴리오가 설정한 사모펀드들은 3월 설정액 증가 상위 펀드 15위권 안에 절반을 차지하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타임폴리오가 소프트클로징 계획을 밝히자 막차를 타려는 투자자들이 몰렸다"며 "소프트클로징 직전인 3월 말까지도 공사모 펀드 수탁고가 지속해서 불어났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Company Watch]1년만에 IR 무대 선 세아메카닉스, ESS 부품 수주 예고
- 휴온스랩, 92억 투자 유치…반년만에 밸류 두배 껑충
- [HB그룹은 지금]알짜빌딩에 세종 신사옥까지, 그룹 안전판 '부동산'
- [코스닥 유망섹터 지도]'보냉재 강자' 동성화인텍, 시장확대 수혜 전망
- [Company Watch]한중엔시에스, 미국 생산거점 확보 나선다
- [VC 투자기업]달바글로벌 주주, 화장품 할인 받는다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에이벤처스, 'Co-GP' 몰린 스케일업서 승기 잡을까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출자 감소' 사이버보안, 린벤처스 2연속 도전 눈길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단독 출사표' 인피니툼, 스포츠산업 무혈입성할까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국토교통혁신 분야, '비하이인베' 주목받는 이유
윤종학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롯데, AI·글로벌 공략 박차…“신사업 중심 포트폴리오”
- [Policy Radar]K-OTT 글로벌화 선행조건, 토종 플랫폼 경쟁력 확보
- [비상장사 재무분석]유한건강생활, 적자폭 축소…실적 턴어라운드 '목전'
- [캐시플로 모니터]메가스터디교육, 환원·사업재편 상쇄한 현금흐름
- [캐시플로 모니터]엘앤피코스메틱, '투자자산 처분' 유동성 둔화 방어
- 코스맥스, 연구개발비 확대 지속…매출 연결 선순환
- [강원랜드는 지금]주주환원 강화, 시장 신뢰 회복 '시험대'
- [Company Watch]다이닝브랜즈그룹, 상환우선주 정리로 재무구조 정비
- [강원랜드는 지금]복합리조트 전환 본격화…비카지노 사업 키우기 주력
- [캐시플로 모니터]동서식품, 현금흐름 둔화…원자재 가격 상승 여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