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Paper]'양대산맥' 산은·수은 글로벌본드 준비 '한창'산은 내주 평가위원회 개최…수은 12일 주관사단 확정
김지원 기자공개 2022-08-17 07:12:09
이 기사는 2022년 08월 12일 17:52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물 시장의 두 빅이슈어 KDB산업은행과 한국수출입은행이 하반기 첫 글로벌본드 발행을 위해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최근 한국물 시장의 발행사들이 변동성 확대 탓에 평소보다 높은 수준의 NIP(뉴이슈어프리미엄)을 지급하고 있는 가운데 두 국책은행이 벤치마크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12일 투자은행업계에 따르면 수출입은행은 이날 글로벌본드 주관사단 선정을 완료했다. 10일 제안서 취합을 마치고 11일 내부 회의를 거쳐 이날 주관사로 선정된 하우스에 결과를 통보한 것으로 파악된다. 빠르면 다음 주 주관사들과 첫 킥오프 미팅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후 비대면 NDR(Non-Deal Roadshow)을 개최해 본격적으로 투자자 접촉에 나선다.
이달 8일 제안서 제출을 마감한 산업은행은 다음 주 초 주관사단 선정을 위한 내부 평가위원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후 수출입은행은 3월 호주 시장에서 6억5000만달러의 캥거루본드를 발행한 데 이어 5월 15억유로의 글로벌본드를 추가로 발행했다. 산업은행도 5월 변동성 장에서 속전속결로 북빌딩을 진행해 3억달러의 유로본드를 발행했다.
현재 135일룰로 인해 한국물 시장이 개점휴업에 들어간 가운데 두 빅이슈어의 발행을 시작으로 공기업들이 외화 조달을 재개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AA급 국책은행으로서 상반기와 하반기에 대규모 조달에 앞장서 한국물 시장의 벤치마크 역할을 하고 있다.
두 곳 중 어느 곳이 먼저 발행에 나설지는 미정이다. 수출입은행이 북빌딩 시기를 9월 초로 잠정 확정한 가운데 산업은행은 8월 말에서 9월 말로 선택지를 열어두고 고심 중이다. 내부적으로는 9월 20~21일 FOMC 개최 전 발행 완료를 목표로 삼은 것으로 확인된다.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모두 작년보다 일찍 하반기 글로벌본드 발행을 준비하고 있는 가운데 연말까지 추가로 외화 조달을 할 가능성도 있다. 두 곳은 135일룰과 관계없이 딜을 진행할 수 있는 스케줄 B(Schedule) 자격을 갖추고 있어 우호적인 조달 여건이 포착되는 대로 달러를 포함해 다양한 통화로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 작년 수출입은행은 멕시코페소채권과 딤섬본드를, 산업은행은 스위스프랑채권을 발행한 바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A급 불안하나...㈜한화, 현금으로 회사채 상환한다
- 감성코퍼레이션 브랜드 '스노우피크' 삼성전자와 협업
- 라이트론, 글로벌 고객사 수주 덕 '흑자전환'
- [증권사 커버리지 지도]발전공기업 ESG채권 '절반' 미래에셋이 맡았다
- [증권사 커버리지 지도]삼성증권, 롯데 '절친' KB증권 밀어냈다
- [증권사 커버리지 지도]현대차그룹 딜 '넷중 하나' KB증권 차지
- [증권사 커버리지 지도]SK그룹-SK증권, 변치않는 우정…삼성증권 '끼워볼까'
- [증권사 커버리지 지도]LG그룹 최고 파트너는 역시 'KB증권'
- 보령의 'LBA' 전략, 성장·내실 두 마리 토끼 잡을까
- [바이오시밀러 한계와 도전]삼성바이오에피스 R&D '키맨' 김경아 부사장
김지원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디벨로퍼 리포트]SK디앤디, 에너지 부문 성장세 '파이프라인 지속 확대'
- 대토신, 상봉동 역세권 청년주택 개발 돌입
- 한국테크놀로지, 대조양건설과 합병 철회 '시간 벌기'
- 엠케이인베스트먼트, 한토신 주식담보대출 규모 축소
- [건설리포트]GS건설, 10조대 매출 회복…주택 부문 '일등공신'
- [건설부동산 줌人]'환경·개발분야 힘 싣기' 태영건설, 우철식 사장 '승진 인사'
- 케이리츠, 대표이사 교체·조직개편 단행
- 디앤디인베스트먼트, 물류센터 추가 투자 '속도'
- 건설사 고군분투 '자금조달기(記)'
- 대토신, 노량진 역세권 청년주택 개발 '순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