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은행 '총대' 멨다...'막힌' 한국물 시장 뚫으러 간다 [흥국생명 외화채 콜옵션 논란]콜옵션 논란 이후 한국물 첫 발행 타진...트랜치 3년 단일물, 가산금리 BBSW+200bp 제시
이상원 기자공개 2022-11-08 11:06:42
이 기사는 2022년 11월 08일 10:27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한은행이 총대를 멨다. 흥국생명 신종외화자본증권 콜옵션 사태 이후 첫 한국물(Korean Paper) 발행이어서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채권 종류는 캥거루본드(호주달러 채권)다.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이날 오후 캥거루본드 발행을 위한 프라이싱에 나설 예정이다. 발행규모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트랜치(tranche)는 3년 단일물로 구성했다.

다만 흥국생명 사태의 후폭풍은 있다. 신한은행은 이니셜 가이던스(IPG, 최초제시금리)로 호주채권 스왑금리(ASW) 또는 호주달러 3개월 스왑금리(BBSW)에 200bp를 가산한 수준을 제시했다. 앞서 캥거루본드 발행 일정을 접은 하나은행이 125~130bp를 제시한 점을 감안하면 약 2주사이 금리가 70bp 이상 높아진 셈이다.
신한은행의 이번 발행은 향후 발행될 한국물의 벤치마크 효과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흥국생명사태 이후 한국물 시장의 분위기를 가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신한은행은 이번 캥거루본드를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채권의 일종인 사회적채권(Social bond) 형태로 발행한다. 이에 따라 자금 사용처는 사회적 프로젝트 등으로 제한된다. 이를 통해 떨어진 한국물에 대한 매력을 만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한은행이 공모 한국물 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한 건 약 1개월만이다. 지난 10월 사무라이본드를 발행해 320억엔 조달에 성공했다. 당시 모집액 320억엔을 뛰어넘는 400억엔의 주문일 들어왔다. 최근 한일관계 악화 등으로 공모 한국물 시장에 사무라이본드(보증채 제외) 발행이 전무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성공적이라는 평가다.
신한은행의 국제 신용등급은 ‘A'급이다. 무디스로부터 ’Aa3‘를 부여받았다. S&P와 피치는 각각 'A+', 'A'를 제시했다. 이번 프라이싱은 ANZ, 크레디트아그리콜, 미즈호, 노무라 등이 총괄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임종룡 시대’ 개막…우리금융 사내이사 선임 의결
- 윤종규 KB 회장 "사외이사 선임 독립성 제고에 충실"
- 소니드, 납축전지 재활용 '영한금속' 인수 추진
- [우리은행 차기 리더는]세대교체 택했다…'강신국·박완식·이석태·조병규' 4파전
- 장세욱 동국제강 부회장 "주주환원정책, 원칙대로 하겠다"
- 이창실 LG엔솔 부사장 "조만간 세부 영업이익률 가이던스도 발표"
- 권영수 LG엔솔 부회장 "CATL에 관심 없다...우리 갈길 간다"
- 조현민 ㈜한진 사장, 사내이사로 경영능력 입증 시험대
- 이구영 한화솔루션 대표 "전략적 무배당 기조 '재무적투자' 우선"
- 신성이엔지, 주총서 '본사 이전·결손금 보전' 안건 승인
이상원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신종자본증권 리스크 '급부상', 은행 자본보충 '비상'
- "PF 리스크 극복 절실, 적재적소에 유동성 공급"
- ㈜한화, 사상 첫 '한국형 녹색채권' 발행한다
- [Market Watch]부동산 리스크 신탁사로 전이, 조달 사실상 '올스톱'
- 한일시멘트, 공모채로 최대 1000억 조달 추진
- [유명무실 회사채 수요예측]편법 논란 종지부찍나…금투협, 모범규준 손본다
- 신한증권, 프랑스계 BNP파리바 '원화조달' 주선한다
- [IPO 모니터]보안산업 급성장, 시큐레터 흑자전환 기대감 커진다
- [Rating Watch]'최대 실적' 기아, 3년만에 'AA+' 회복한 배경은
- [이사회 모니터]유안타증권, LG이노텍 의장 출신 채준 교수 영입 '재무관리'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