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보, '사업부문' 체제로 탈바꿈…부문장 선임도 완료 전략기획·경영관리·기술금융·혁신성장 4개 부문 신설…전무이사 직속 조직
김서영 기자공개 2023-01-12 08:28:16
이 기사는 2023년 01월 11일 16시2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기술보증기금(기보)이 조직 개편을 통해 사업부문 체제로 거듭났다. 정부가 공공기관 혁신을 주문한 데 따른 변화다. 상임이사 4인이 각각의 사업부문장을 맡아 책임경영에 나선다. 이번 조직 개편을 통해 경영 혁신과 시너지 향상에 성공할지 주목된다.1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보는 최근 이사회를 열고 '2023년 조직 개편'을 의결했다. 이번 조직 개편의 핵심은 사업부문으로 대부서화를 진행하는 것이었다. 그간 기보는 상임이사 산하에 11개 부를 두고 있었다. 그런데 △전략기획부문 △경영관리부문 △기술금융부문 △혁신성장부문 등 4개 사업부문으로 11개 부를 그룹화했다. 4개 사업부문은 전무이사 산하 조직으로 재편됐다.
구체적으로 전략기획부문은 1부 3실로 구성된다. 경영기획부와 리스크준법실, 홍보실, 성과평가실로 이뤄진다. 경영관리부문은 인사부·ESG경영지원부·ICT운영부와 자산운용실 등 3부 1실 체제다. 기술금융부문과 혁신성장부문은 각각 3부로 꾸려진다.
기보는 "대내외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새로운 미래사업을 준비하기 위해 연구용역과 대내외 의견수렴을 통해 조직개편을 준비했다"며 "정부의 공공기관 혁신방향에 적극 부응해 본부조직은 대부서화해 10부 4실로, 영업조직은 관리체계 광역화를 통해 9개 지역본부를 8개로 개편해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였다"고 밝혔다.

전략기획부문장은 이종배 전무이사(사진)가 직접 지휘봉을 잡는다. 1965년생인 이 전무는 대구 출신으로 한국외대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서강대에선 경제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90년 기보에 입사한 이 전무는 중앙기술평가원 지점장, 송파지점장 등을 역임했다. 2014년에는 비서실장에 발탁돼 이사장을 근거리에서 보좌했다. 이후 경기지역본부장을 거쳐 2019년 상임이사에 올랐다. 지난해 1월 전무이사로 승진하며 '2인자' 자리에 올랐다.
경영관리부문장 자리는 김영갑 상임이사(사진)에게 돌아갔다. 이 전무와 마찬가지로 1965년생인 김 이사는 동인고, 부산대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경영학 석·박사 학위를 밟았다. 김 이사는 '기보맨'은 아니다. 한국자본시장연구원, 한국금융공학컨널팅, 롯데미래전략연구소 등을 거치며 다양한 경력을 쌓았다. 스팍스자산운용에서는 전무직, 롯데손해보험에서는 상무보까지 올랐다. 2021년 9월부터 현재까지 기보 상임이사로 재직 중이다.
기술금융본부장은 이은일 상임이사(사진)가 맡는다. 이 이사는 기보에 31년간 몸담았다. 배정고 출신으로 부산대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1991년 기보에 입사한 그는 부평지점장, 기술보증부장, 동래지점장을 거쳤다. 이후 경영기획부장과 부산지역본부장으로 일했다. 지난해 1월부터 상임이사에 올라 임기를 이어가고 있다.
마지막으로 혁신성장부문장은 박주선 상임이사(사진)다. 앞선 부문장들과 비교해 유일한 전남 출신 인사다. 1966년생인 박 이사는 광주고 출신으로 전남대에서 무역학과를 졸업했다.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까지 받았다. 1990년 대학 졸업과 동시에 기보에 입사해 이 전무와 입사 동기다. 박 이사는 안양지점장, 구로지점장, 감사실장 등을 역임했다. 인천지역본부장, 서울서부지역본부장을 거쳐 지난해 3월 상임이사에 올랐다.
한편 조직 개편과 관련해 김종호 기보 이사장은 "정부의 공공기관 혁신 방향인 △생산성과 효율성 제고 △관리체계 개편 △민간공공기관 협력강화 등 세 가지 원칙을 충실히 이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아이티센코어, 세아제강지주 준법경영시스템 구축
- '자본잠식' 해소 효성화학, 비주력사업 매각 이어간다
- '흑자전환' 세아베스틸지주, 항공방산소재 '효자' 등극
- 오일뱅크 빠졌지만…HD현대 배당재원 '조선·전력기기'
- 두산밥캣, 건설기계 불황에도 분기배당 이행
- [GM·르노·KGM 생존기]KGM, 가동률 저하 묘수 '수출'
- [감액배당 리포트]티웨이항공, 예림당이 일구고 대명소노가 챙길 '3000억'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실적 못 따라간 주가, 주주환원정책 '과제'
- [GM·르노·KGM 생존기]KGM, 여전한 과제 '재무 개선'....회사채 시장 복귀 목표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KAT '초전도 선재' 적자 지속…자본잠식 가능성은
김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FO 워치]김정훈 한신공영 전무, 신용등급 전망 개선 '첫 성과'
- [thebell note]부영이 그리는 '실버빛' 미래는
- GS건설, 자회사 '리밸런싱' 어디까지 왔나
- [2025 건설부동산 포럼]"기업형 임대주택 사업 '선순환 모델' 구축해야"
- GS건설, 이니마 매각 급물살 타나
- [디벨로퍼 리포트]DS네트웍스, 선제적 토지 매각으로 리스크 해소
- [건설리포트]'1조 클럽 수성' 반도건설, 올해 실적 향상 카드는
- [건설사 미수금 모니터]SK에코플랜트, SK하이닉스 공장 준공에 '연동'
- 우미건설, '부산 장안지구 우미린 프리미어' 견본주택 오픈
- [디벨로퍼 리포트]외형 키우는 신세계프라퍼티, 투자 더 늘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