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킨 프랜차이즈 '치킨플러스', M&A 시장 매물로 주관사 삼정KPMG, 베트남 법인 등 자회사도 거래 대상 포함
김예린 기자공개 2023-02-15 07:57:15
이 기사는 2023년 02월 14일 14시0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프랜차이즈 업체 치킨플러스가 M&A 시장에 매물로 나왔다. 국내는 물론 베트남 법인 전체가 매각 대상이다. 배달형 프랜차이즈 업체로 코로나19 기간에는 특수를 누렸지만 올해는 앤데믹 전환으로 실적이 꺾일 수 있다는 점이 한계로 꼽힌다.14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치킨플러스 운영사 '돕는사람들' 최대주주 측은 보유지분 100%에 대한 매각 작업을 진행 중이다. 돕는사람들은 클레어인베스트먼트제이호 사모투자합자회사가 지분 61.9%를 들고 있고, 창업자인 유민호 대표와 특수관계자 등이 나머지 38.1%를 갖고 있다. 매각 주관사는 삼정KPMG다. 거래 대상에는 치킨플러스뿐 아니라 소스 제조 자회사 바른푸드, 베트남 자회사 바른비나(BARUN VINA)도 포함됐다.

다만 배달중심 사업 방식은 ‘양날의 칼’이 된 형국이다. 코로나19 여파로 매장 중심 프랜차이즈 시장은 크게 위축됐지만 배달 위주 프랜차이즈 업체들은 수혜를 누렸다. 치킨플러스 역시 매출이 증가했다. 그러나 사회적 거리두기가 끝난 만큼, 배달 위주 업체들은 실적이 꺾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치킨 프랜차이즈 시장은 레드오션으로 업계 내 경쟁이 치열한 점도 수익성을 떨어뜨릴 수 있는 요인이다. 가장 최근 공시인 2021년 기준 '돕는사람들'의 매출은 306억원으로 전년(288억원) 대비 소폭 늘었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2020년 17억원 흑자에서 2021년 16억원 적자로 돌아섰다.
IB업계 한 관계자는 “치킨 프랜차이즈는 가맹점들의 건전성이나 본사와의 관계 등 신경써야 할 부분이 많아 인수 결정에 보수적일 수 있다”며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가 끝나면서 배달이 메인인 프랜차이즈 업체들의 실적이 꺾이는 점은 인수 매력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김화진칼럼]영국 RBS
- '환경 변화 고려' CJ제일제당, 그린바이오사업 계속 키운다
- [DN솔루션즈 IPO]고심끝 상장 철회…비우호적 시장 환경에 '결단'
- [i-point]신테카바이오, ‘2025 글로벌 IP 스타기업’ 선정
- [i-point]채비, 서울시 전기버스 충전 인프라 확대 사업자 선정
- [영상/Red & Blue]현대엘리베이터 '주주환원, 리포트, 실적' 삼박자
- 기지개 켜는 인성정보의 '헬스케어'
- [i-point]인텔리안테크, 정부 저궤도 위성통신망 구축 '핵심'
- [NHN 리빌딩]'아픈 손가락' 콘텐츠, 더디지만 잠재력 확신
- [영상]‘메타가 탐낸’ 퓨리오사AI의 백준호 대표에게 들었다…회사의 향후 계획은
김예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브이원씨-메리츠증권, 3000억 중소기업 대출펀드 만든다
- 이브이씨씨, 최대 150억 투자유치 추진 '산은·GSA 등 러브콜'
- 다올PE, HMR 제조 '진한식품' 매각 추진
- '펀딩 순항' 에어인천 컨소, 수은·우본 등 복수 LP 유치
- 이차전지 상장사 윤성에프앤씨, 400억 CB 발행 성공
- 300억 펀딩 나선 앤유, 투자 하이라이트 '성장성·개발력'
- 무신사에 꽂힌 IMM인베, 100억 추가 투자
- VIG파트너스, 마제스티골프 최대주주 올랐다
- 게임 개발사 '앤유', 최대 300억 투자유치 추진
- 이녹스리튬, 2500억 모은다…한투PE·KB운용 리딩 FI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