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발 AI 대전]라인, 한일 AI 동맹 속 '아시아 글로벌 테크기업' 포부[IT·플랫폼]5년간 5000억엔 투자해 AI 인재 5000명 확보 계획
원충희 기자공개 2023-03-29 13:52:12
[편집자주]
챗GPT가 쏘아올린 인공지능(AI) 검색엔진과 하이퍼스케일 AI 등이 순식간에 메가 트렌드로 부상했다. 누군가는 미래에 대한 기대를, 누군가는 위협을 느끼고 대응책을 마련 중이다. 국내에서도 반도체, IT·플랫폼, 게임, 블록체인 기업들이 이 변화를 놓치면 도태된다고 판단해 기존 비즈니스에 AI를 접목하거나 신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주요 테크기업의 AI 전략을 짚어보고 특장점이 무엇인지 청사진을 들여다본다.
이 기사는 2023년 03월 27일 15:56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라인은 관계사 네이버와 인공지능(AI) 공동브랜드 '클로바'를 통해 관련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네이버-라인이 공동 개발한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 등을 통해 한국과 일본의 AI 동맹을 구축, 미국계 글로벌 공룡들의 공세에 맞서겠다는 전략이다.라인은 야후재팬의 모회사인 Z홀딩스 간 경영통합과 동시에 그룹사 간 AI 지식을 공유하고 관련 인재를 육성하는 'Z AI 아카데미'를 발족했다. Z홀딩스는 중장기적으로 AI 분야에 연평균 1000억엔(약 1조원)씩 쏟아 붓겠다는 구상이다.
◇Z홀딩스와 경영통합, 한일 AI 동맹 중심에 선 라인
네이버의 일본 자회사이자 일본의 카카오톡으로 불리는 메신저 '라인(LINE)' 운영사인 라인은 소프트뱅크 산하의 Z홀딩스와 경영통합을 이룬 뒤 관계사로 변경됐다. 그러나 이들 간 사업 및 기술협력은 변하지 않았다. 특히 AI 분야에서는 클로바를 공동 브랜드로 사용하고 있다.
네이버와 같이 활용하고 있는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도 마찬가지다. 네이버가 하이퍼클로바를 2021년 5월 공개한 이후 두 달 뒤에는 라인이 'AI 데이 2021' 행사를 개최해 일본어에 특화된 하이퍼클로바를 선보였다. 네이버는 한국어 기반으로, 라인은 일본어 기반으로 AI를 고도화하는 방향이다. 특히 일본어는 단어 수가 한국어보다 많기 때문에 언어학습에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하이퍼클로바 응용 서비스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다양한 데모 앱(애플리케이션) 작업이 한창이다. 또 AI 전문가가 아니라도 누구나 쉽게 AI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하이퍼클로바 스튜디오'를 오픈했다. 이를 통해 사람과 자연스럽게 대화를 나누거나 수준 높은 문장을 대신 만들어주는 AI를 개발할 수 있도록 했다는 게 장점이다.
◇미중 AI 기술 패권 맞설 아시아 네트워크 구축
라인은 2021년 소프트뱅크 산하의 Z홀딩스와 경영통합을 완료했다. 이용자 수만 1억5000만명에 달하는 아시아 공룡 IT기업의 탄생이다. 라인과 야후재팬을 산하에 둔 Z홀딩스는 그룹사 간 AI 지식을 공유하고 관련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Z AI 아카데미를 발족했다. 부족한 AI 인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다.
Z홀딩스는 향후 5년간 5000억엔을 투자해 5000명가량의 AI 엔지니어를 확보할 포부도 밝혔다. 단순 계산하면 연간 1000억엔씩, 원화로는 거의 1조원 규모다. 애초 경영통합은 테크핀 출혈경쟁을 멈추고 구글 견제와 함께 미국, 중국을 중심으로 형성된 AI기술 패권에 맞설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다.

라인은 일본 현지 대학과의 산학협력 방안도 추진 중이다. 오사카대학원, 도쿄도립대, 와세다대와 공동연구를 통해 AI 성능을 높이고 언어모델에 숨겨진 편견을 검출·제거한다는 개념이다. 앞서 네이버가 서울대와 초대규모 AI 연구센터를 설립하고 카이스트 AI대학원과 초창의적 AI 연구센터를 설립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전방위 자본확충' 푸본현대, 연이은 조달 성공할까
- ㈜한양, 건설업 투심 악화 ESG로 극복할까
- [i-point]손경익 시노펙스 대표 국민훈장 동백장 수훈
- [i-point]에이트원, 고려자산개발과 토큰증권 비즈니스 MOU
- [i-point]알에프세미, 진평전자 LFP 배터리 국내판권 평가·이전 마쳐
- [thebell interview]"한화증권 IPO 비즈니스 확대 원년"
- [건축자재 기업 돋보기]암울한 시멘트·레미콘업체, 기댈 구석 '가격인상뿐'
- [i-point]바이브컴퍼니, 한국형 생성 AI 언어모델 'VAIV GeM' 공개
- [2023 BIO USA]바이오 최대 박람회 D-1, 삼성바이오로직스 韓 유일 스폰서
- [보험경영분석]신협공제, 유가증권 포트폴리오 재조정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네이버파이낸셜은 지금]간편결제서 종합자산관리로 서비스 진화
- [네이버파이낸셜은 지금]본사보다 더 풍족한 자회사…그룹 현금창고 역할
- 위메이드, 새 성장동력 '매드엔진' 몸값은 얼마
- [네이버파이낸셜은 지금]직접 진출보다 '제휴'…오프라인 결제 공략 '청신호'
- [네이버파이낸셜은 지금]최대 매출 계열사…덩치 대비 낮은 수익기여도
- 카카오페이, KP보험서비스 유증…네이버와 반대 행보
- '코인게이트' 사태의 본질
- [모빌리티 플랫폼은 지금]곳간 비어가는 타다, 토스·쏘카 '추가 출자'는 언제
- [모빌리티 플랫폼은 지금]우티, 유한회사 한계…우버 의지에 달린 생존 가능성
- [모빌리티 플랫폼은 지금]진모빌리티, 자금여력 빠듯…'토스 주담대'는 어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