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스틴, 10년 만에 APS 둥지 떠난다 SK하이닉스 용인 클러스터 입주로 본사 이전 추진, 캐파 확대·세제혜택 '플러스'
구혜린 기자공개 2023-06-07 08:11:30
이 기사는 2023년 06월 01일 17:07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넥스틴이 약 10년 만에 APS 사옥에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로 본사를 이전한다. 2015년 AP시스템을 최대주주로 맞은 넥스틴은 장기간 APS와 동거동락해왔다. SK하이닉스 주도로 조성되는 클러스터에 입주하면서 생산능력(CAPA) 확대, 비용 절감, 영업력 강화 등 메리트를 얻을 것으로 보인다.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넥스틴은 지난달 31일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 산업시설용지 입주사로 확정됐다. 이 산업단지는 산업시설용지의 80%를 SK하이닉스가 사용하므로 'SK하이닉스 용인 클러스터'로 불린다. SK하이닉스는 이곳에 4개 반도체 공장을 지을 계획이다.
넥스틴이 입주하는 곳의 면적은 1만4068㎡로 약 4256평에 달한다. 입주사 16개 기업 중 솔브레인과 피에스케이, 램테크놀러지, 디아이머티리얼즈 다음으로 넓은 면적을 사용한다. 이들 기업 외에 1만㎡(약 3000평) 이상을 사용하는 곳은 주성엔지니어링과 파크시스템스가 있다.
넥스틴은 입주와 동시에 본사를 이전할 예정이다. 용인 클러스터 실입주는 2027년으로 예상된다.넥스틴은 현재 경기도 화성시 동탄에 위치한 AP시스템 동탄 제2사업장 내에 본사 및 생산시설을 두고 있다. 이곳은 넥스틴 외에도 지주사인 APS와 APS리서치 등이 본사를 두고 있다.

본사 이전과 동시에 여러 효과가 기대된다. 사용 공간이 확대되는 만큼 넥스틴은 클린룸, 창고 등 제품 생산에 필요한 곳을 통합·확대할 계획이다. 넥스틴은 APS 사옥 내 1개 층에서 제품을 생산하고 있었으나, 지난해 수주 규모가 급증하면서 인접 건물을 임대해 생산기지를 이원화한 상태였다. 현재 캐파 수준은 연간 60대다.
어플리케이션 다양화를 앞두고 있어 넉넉한 공간이 필요하다. 주력 장비인 웨이퍼 검사 시스템 '이지스(AEGIS)'의 경우 버전 III를 개발을 완료하고 조만간 중국 반도체사에 출하할 예정이다. SK하이닉스에서 3D 낸드플래시 검사 장비 '아이리스II(IRIS-II)' 퀄(품질인증)을 진행 중이며, 오는 7월에는 극자외선(EUV) 공정시 정전기 제거에 쓰이는 '레스큐(ResQ)' 데모장비를 삼성전자에 공급할 예정이다. EUV 대비 장파장 자외선을 사용하는 심자외선(DUV) 장비 '바이올리스(VIOLIS)' 2024년 말 출시가 예상된다.
세제혜택 등에 따른 비용 절감 효과도 예상된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입주사들은 평당 가격과 관련해선 아직 세부 조율 중이다. 다만 정부 지원이 있는 산업단지이다보니 일반 시세대비 가격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여유 공간은 자회사 등에 임대를 줄 수 있어 추가 수입을 얻기도 수월하다.
국내 최대 고객사인 SK하이닉스와의 협업에도 플러스 요인이다. 지난해 중국 반도체사의 장비 주문이 늘면서 매출 의존도가 줄어들긴 했으나, SK하이닉스의 발주는 넥스틴의 국내 매출액의 60%를 차지한다. 넥스틴 관계자는 "신규 공간에서 다양한 제품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2차전지' 에코프로비엠, 최대 3000억 공모채 추진
- LS전선, 최대 1800억 공모채 추진
- 신세계백화점, '그룹과 별도 행보' 브랜드본부 신설
- [롯데의 베트남 시대]"면세점은 역시 럭셔리, 신규 출점 검토"
- [Red & Blue]'황제주의 추억' 오뚜기, 잠룡일까 항룡일까
- [베일 벗은 부산 디지털자산거래소]최대 숙제 '원화 거래 지원', 부산시 지원사격 받는다
- 디딤이앤에프, 임직원 266명 탄원서 제출
- [심상찮은 카드사 비용 리스크]롯데카드, 차기 CFO의 제1 과제는 '자본확충'
- [KAI를 움직이는 사람들]재무개선 기반 강화, 박상욱 CFO 역량 '시험대'
- 라이트론, 유럽 광통신 컨퍼런스서 100G 제품 전시
구혜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지피씨알, IPO 전 마지막 투자 유치 '순항'
- [Red & Blue]미래에셋벤처투자 주가 조정의 '허와 실'
- [VC 투자기업]'웨어러블 로봇기업' 엔젤로보틱스, 코스닥 상장 추진
- [VC 투자기업]'펩타이드 소재사' 애니젠, IR 기지개 켠다
- [VC 투자기업]'종합 엔터사' 빅오션이엔엠, 코스닥 상장 추진
- [VC 경영분석]'수장 바뀐' SBI인베, 투자자산 매각에 흑전 가시화
- [thebell interview]"쓰리빌리언, 상장 후 북미·유럽·중동 직접 진출할 것"
- [VC 투자기업]'AI 희귀질환 진단' 쓰리빌리언, 코스닥 상장 재도전
- '취임 1년' 유웅환 한국벤처투자 대표, VC 스킨십 '눈길'
- 메디치인베, NPS 출자사업 도전…작년 탈락 설욕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