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일약품의 온코닉테라퓨틱스 첫 '신약']'비상장 바이오벤처' 국산신약, 블록버스터에 도전장②상장 바이오까지 신약 성과는 단 2곳, 시장성 큰 P-CAB 계열 진입에 의미
최은수 기자공개 2024-04-25 15:04:54
이 기사는 2024년 04월 25일 08시2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제일약품 신약 R&D 스핀오프(자회사) 온코닉테라퓨틱스가 자큐브로 국내 비상장 바이오벤처 신약 출시 역사를 새로 썼다. 37호 신약 자큐브가 위식도역류질환 '대세' P-CAB 계열 신약인 점도 주목할 사안이다.온코닉테라퓨틱스에 앞서 신약을 내놓은 선배 바이오텍들의 경우엔 시장에 안착하지 못하고 간신히 명맥을 유지할 뿐이다. 이 전례를 깰 수 있을거란 기대감이 나온다.
◇개발 착수 3년 만 '비상장 바이오 첫 신약' 금자탑
온코닉테라퓨틱스가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자큐보에 대한 국내 37호 신약 지위를 인정받게 된 건 2021년 임상에 착수한 지 3년만이다. 품목허가신청서를 제출한지 약 10개월 만의 성과를 냈다. 상당히 빠른 속도로 개발 및 신약승인까지 이뤄졌다.

온코닉테라퓨틱스는 국내 바이오텍 가운데 3번째로 신약개발기업 지위를 인정받게 됐다. 1999년 국산 1호 신약 선플라주를 SK케미칼이 출시한 이후 대부분의 성과는 국내 제약사를 중심으로 만들어졌다.
기록을 통해 확인되는 바이오텍 성과는 21호 신약을 내놓은 크리스탈지노믹스(현 CG인바이츠)의 아셀렉스, 퓨처켐의 알자뷰가 전부다. 다만 알자뷰는 치료제가 아닌 알츠하이머 보조진단 용도다. 항암신약 리아백스를 만든 바이오벤처 젬백스는 2014년 조건부허가를 받았지만 약 6년만에 허가 취소로 신약 개발 기업 지위를 반납했다.
더불어 비상장 바이오벤처가 국산 신약을 내놓은 사례는 역사상 온코닉테라퓨틱스가 처음이다. 그간 많은 바이오벤처들이 국내보단 해외를 지향하는 신약 개발로 밸류업에 나선 영향도 있다. 그러나 바이오벤처가 태동한지 20년이 넘었지만 신약 성과가 상당히 미진하다는 비판을 면치 못했고 온코닉테라퓨틱스는 이에 대한 도전에 성공한 셈이다.
온코닉테라퓨틱스 관계자는 "비상장 기업으로의 신약 개발 성과를 낸 게 처음이 맞는다"며 "임상 3상을 통해 우수한 점막 결손 치료 효과 등 유효성 및 안전성에서 비열등성을 입증한 게 주효했다"고 말했다.
◇여전히 '핫'한 P-CAB 계열로 성과… '블록버스터 품은 바이오벤처' 기대감
온코닉테라퓨틱스가 신약을 출시한 계기로 국내 바이오 시장은 또 한번의 전환점을 맞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여전히 시장 성장세가 가파른 P-CAB 계열 신약인 것을 비춰볼 때 그 기대감은 더 커진다. 앞서 신약을 내놓은 바이오텍들은 대부분 상업화 연착륙엔 실패했지만 자코보는 현재 시장성을 볼 때 이 전철을 밟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자큐보는 HK이노엔의 '케이캡', 대웅제약 '펙수클루'와 같은 P-CAB 계열이다. 지난해 케이캡의 총 매출액은 1194억원, 펙수클루는 553억원을 기록했다. 이 자체로도 국산 블록버스터 지위를 인정받을 수 있다.
케이캡은 작년 32%, 펙수클루는 무려 200%가 넘는 성장률을 기록했다. 자연스럽게 3번째 주자인 자큐보도 시장 성장세에 올라탈 것으로 전망된다. 통상 연매출 100억원 이상을 국산 블록버스터를 가르는 분기로 본다. 아직 자큐보는 급여 등재 및 약가 확정이 이뤄지지 않았지만 시장 상황을 보면 무난히 출시 첫 해 100억원 이상의 매출을 낼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영업과 판매는 모회사인 제일약품이 맡을 예정인 점도 긍정 요인이다. 크리스탈지노믹스(현 CG인바이츠)의 경우 2015년 바이오벤처 중 처음으로 국산 신약 아셀렉스를 출시했다. 그러나 판매망을 확보하지 못하며 R&D 바이오텍의 한계를 넘지 못했다. 퓨쳐켐의 알자뷰 역시 알츠하이머 '진단제'인만큼 한계는 뚜렷하다.
업계 관계자는 "그간 국내 상장·비상장 바이오텍들은 신약개발 업체로서 지위를 공고히 하지 못했고 신약을 냈다 해도 후속 파이프라인을 고도화할만큼 수익을 내는 데 실패했다"며 "온코닉테라퓨틱스의 이번 신약 출시 성과가 업계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는 이유"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thebell interview]황민영 부대표 “AI 검증 돕는 세계적 기업 되겠다”
- [thebell interview]"사제파트너스, 글로벌 파워 갖춘 K-커뮤니티 꿈꿔"
- [thebell interview]"클레이디스, AI로 3D 쉽게 생성…1분만에 뚝딱"
- 에트리홀딩스, 윤상경 대표 곧 임기만료…공모 돌입
- 산은 미국법인, 프라임마스에 70억 베팅
- ' VC협회장사' 퀀텀벤처스, 과기부 AI GP는 따낼까
- 한국벤처투자 신임 대표에 이대희…첫 '관 출신' 사례
- [thebell interview]황건필 대표 “미국에 햄버거 조리 로봇 도입할 것”
- 신스타프리젠츠, 30억 시리즈A 익스텐션 라운드 시동
- 어니스트벤처스, 과기부 SaaS 재도전 성공할까
최은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Financial Index/LG그룹]외연 25% 늘린 LG디스플레이 '암흑기 끝이 보인다'
- [Financial Index/LG그룹]주가 사수한 유플러스·HS애드, 낙폭 개선은 생활건강
- [Financial Index/LG그룹]그룹 자존심 지킨 에너지솔루션, 2024년 PBR '3.86배'
- [Financial Index/LG그룹]'자본 2000억' HS애드, 2024년 유일한 10%대 이익률
- [Financial Index/롯데그룹]순현금 상태 기로 선 정밀화학, 7조 차입 버거운 지주
- [Financial Index/롯데그룹]리츠 분전에도 역부족, 지주 이자보상배율 1배 하회
- [비상장사 재무분석]'L/O 계약금 추가 기대' ATGC, 15년만에 턴어라운드
- [Financial Index/롯데그룹]'4조 매출' 롯데칠성, 그룹 상장사 성장률 1위
- [Financial Index/롯데그룹]'불황에 강했다' 롯데렌탈, 나홀로 TSR 상승
- [Financial Index/롯데그룹]주요 계열사 PBR 1배 밑…음료까지 부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