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nings & Consensus]'이정헌 체제' 넥슨 첫 경영 성적표 '합격점'[컨센서스 상회]중국 매출 대폭 성장, 최대 실적 경신…4조 매출 기대감
황선중 기자공개 2024-08-09 14:54:02
이 기사는 2024년 08월 08일 17시06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넥슨이 지난 3월 출범한 '이정헌 체제'의 순조로운 출발을 알렸다. 2분기 안정적인 실적 성장으로 '매출 4조원' 목표에 한 발짝 다가갔다.2분기 실적은 이정헌 대표(사진) 첫 경영성과가 드러나는 일종의 경영시험대였다. 지난 3월 정기주주총회 이후로 이 대표가 넥슨 경영을 진두지휘하고 있어서다. 더군다나 지난해 오웬마호니 전 대표가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이라는 빛나는 성과를 일궈냈던 만큼 후임자 이 대표가 느끼는 부담감은 적잖았다.

◇실적 성장 효자는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성장을 견인한 효자는 단연 <던전앤파이터 모바일>이었다. 지난 5월 중국 출시 이후 기록적인 흥행을 달성했다. 2분기 중국에서만 매출 4158억원(441억엔)을 창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결과적으로 2분기 넥슨의 중국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209% 증가했다. 직전분기와 비교하면 93% 증가했다.

중국 매출구조도 눈에 띄게 바뀌었다. 지난 1분기 중국 매출(2746억원·291억엔)에서 모바일게임이 차지하는 비중은 8.4%였다. 이때 모바일게임 매출은 <메이플스토리> 중국판에서 나왔다. 하지만 2분기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실적이 얹어지면서 모바일게임 매출 비중은 78.4%로 대폭 커졌다.
중국 다음으로는 일본 매출 성장세가 눈길을 끌었다. <블루 아카이브>와 <히트2>가 일본 시장에서 인기를 끌며 힘을 보탰다. <더파이널스>는 넥슨의 취약점이었던 북미·유럽 시장에서 유의미한 성적을 냈다. 넥슨의 2분기 지역별 매출 증가율을 살펴보면 중국 209%, 일본 97%, 북미·유럽 29%, 기타 -11%, 한국 -21%로 나타났다.
◇3분기도 성장세 전망…4조 매출 기대감
3분기도 성장 기대감은 상당하다. 우선 <던전앤파이터 모바일>은 지난 5월 21일 중국 출시 이후 현재까지 계속해서 현지 모바일게임 앱마켓 매출 최상위권을 사수하고 있다. 2분기 실적에는 출시 이후 한 달여간의 매출 성과만 담겼다면 3분기에는 3개월간의 매출 성과가 담긴다.
여기에 지난달 출시한 신작 <퍼스트 디센던트>도 글로벌 시장에서 유의미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지난달 기준 전세계 PC게임이 유통되는 플랫폼 '스팀'에서 최고 동시접속자 26만명을 기록했다. 글로벌 대작
넥슨은 올해 무난하게 매출 4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넥슨은 지난해 매출 3조9284억원을 달성하며 국내 게임업계 사상 최대 실적을 냈다. 올해는 전년보다 실적 분위기가 더 좋은 만큼 4조원이 아닌 5조원 돌파에 도전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국내 게임업계는 넥슨 홀로 독주하는 양상이다.

이정헌 대표는 "중국에 출시한 <던전앤파이터 모바일>과 새로운 지식재산권(IP)으로 글로벌 시장에 도전했던 <퍼스트 디센던트> 모두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어 매우 고무적"이라며 "넥슨은 기존 IP의 확장과 함께 신규 IP 발굴을 통한 성장전략을 추진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1979년생으로 넥슨 평사원에서 시작해 대표까지 오른 입지전적 인물이다. 2003년 넥슨에 합류한 뒤 한국법인인 넥슨코리아에서 퍼블리싱QM팀 팀장, 피파실 실장, 사업본부 본부장, 대표이사까지 역임했다. 지난 3월부터는 일본에 소재한 넥슨 대표로 선임돼 경영을 책임지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미래에셋운용, 인프라 투자도 질주…AUM 8조 목전
- 삼표그룹, 사상 첫 '외국인 부회장' 영입
- '3조 클럽' 풀무원, 중국 사업 건기식→식품 재편 박차
- [사모펀드 유통 포트폴리오 점검]네파, 합병에서 기인한 상환 부담…'수익성'에 방점
- [고운세상코스메틱은 지금]지배구조 변동 전 주주 정책 변화, 대규모 배당 실시
- [Company Watch]미국 키우는 LG생활건강, '1800억' 투자 재무 영향은
- [지앤푸드는 지금]'오븐구이'로 성장한 20년, 신사업 전환점 맞나
- [레페리는 지금]'뷰티 마케팅' 특화된 MCN, 1호 상장사례 만들까
- [thebell desk]오리온의 '심장'
- [사모펀드 유통 포트폴리오 점검]락앤락, '투자→자산 매각'으로 효율화 선회
황선중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넵튠 파는 카카오게임즈, '비욘드 게임' 마침표
- 엔씨소프트, '클러스터' 전략으로 족쇄 푸나
- 위메이드, 해킹에 흔들린 블록체인 사업 미래는
- 위메이드 "위믹스 재상폐에도 게임 동접자 안 빠져"
- 위메이드 "위믹스 해킹 늑장공시 아니야…DAXA 기준 불분명"
- 유동성 바닥난 아이톡시, '영구 CB'로 신작 확보
- [Company Watch]'압도적' 크래프톤, 현금성자산 '4조' 찍었다
- [Company Watch]'연타석 홈런' 넷마블, 달라진 자회사 5인방
- 조이시티, 4년 연속 '역성장' 흐름
- 크래프톤, 6개사만 넘었던 '8000억' 장벽…1분기 넘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