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례상장 막힌 대신증권, IPO 앞둔 스타트업 ‘화들짝’ 나우로보틱스·모티브인텔리전스·라이브러리컴퍼니 "영향 없어”…대신 “3년간 성장성 상장 0”
이채원 기자공개 2024-08-13 09:04:45
이 기사는 2024년 08월 12일 15시2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대신증권이 오는 2026년까지 성장성 상장 주관 업무에 제한을 받으면서 대신증권을 주관사로 선정한 스타트업들의 향후 행보에 관심이 쏠린다. 스타트업들은 대부분 성장성 특례 이외에 다른 상장 트랙을 선택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지만 불필요한 잡음을 없애기 위해 다른 주관사를 선택하려는 움직임도 일부 나온다.
기술성장기업 상장 특례는 ‘기술평가 특례’와 ‘성장성 추천’으로 나뉜다. 기술평가 특례는 한국거래소에서 정한 두 곳 이상의 전문평가 기관으로부터 A, BBB 이상의 등급을 받아야 한다. 반면 성장성 추천은 상장 주선인이 직접 기업의 성장성을 추천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현재 대신증권을 주관사로 선정한 상장 전 기업은 수십개에 달한다. 글로우서울, 원더스, 위메이드커넥트, 스패로우, 차바이오텍, 나우로보틱스, 빅픽처인터렉티브, 인스텍, 지피씨알, 갤럭시코퍼레이션, 열매컴퍼니, 모티브인텔리전스, 이지템, 빅픽처인터렉티브, 바이오비쥬, 파블로항공, 모비콘텐츠테크, 라이브러리컴퍼니 등이 대표적이다.
대부분 기업은 아직 상장모델을 구체화하지 않은 만큼 성장성 특례상장이 아닌 다른 트랙을 고려하겠다는 입장이다. 스페이스 솔루션 기업인 글로우서울은 아직 IPO를 구체화하지 않는 상황으로 주관사를 교체 의사가 없다고 전해진다.
종합 e스포츠 전문 기업 빅픽처인터렉티브는 사업모델 또는 수익미실현 특례(테슬라 모델)로 상장 논의가 되고 있지만 아직 확실히 정해진 바는 없다는 입장이다. 빅픽처인터렉티브 관계자는 “아직 상장 모델을 구체화하지 않아 큰 영향은 없다”면서도 "성장성 추천 특례는 고려하지 않고 있었다”고 말했다.
글로벌 라이브 콘텐츠 기업 라이브러리컴퍼니, 로보틱스기업 나우로보틱스, 애드테크 전문기업 모티브인텔리전스는 애초에 성장성 추천 특례를 고려하지 않아 주관사를 바꾸지 않고 선택 가능한 범위에서 트랙을 골라 IPO에 나설 구상이다.
라이브러리컴퍼니 관계자는 “이익 기반 상장을 준비하고 있어 이번 대신증권 사태 영향은 없다”며 “주관사를 바꿀 계획도 없다”고 말했다.
기술성 특례상장을 준비하고 있는 파블로항공도 주관사 대신증권이 성장성 특례 상장 제한을 받은 것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은 없다. 파블로항공은 도심항공교통(UAM)과 드론 제어 전문 기업이다.
엔터테크 기업인 갤럭시코퍼레이션, 미술품 조각투자 업체 열매컴퍼니는 일반 상장을 고려하고 있다. 갤럭시코퍼레이션의 상장 주관사는 대신증권과 신한투자증권이다. 갤럭시코퍼레이션 관계자는 “올해 실적을 만들어서 내년 일반 상장하는 것이 목표다”라고 말했다.
열매컴퍼니는 이날 오후 대신증권과 만나 상장 트랙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김재욱 열매컴퍼니 대표는 “올해 2022년 매출 288억원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는 만큼 가능하면 성장성 트랙 이외에 일반상장으로 가는 것을 선호하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주관사 교체 논의를 진행하는 스타트업도 일부 나온다. 대신증권에서 특례상장이 막힌 전례가 나온 만큼 향후 IPO에 있어 불리한 요소를 모두 없애겠다는 심산에서다. 한 스타트업 관계자는 “성장성 특례를 준비하지 않고 있어 직접적인 영향은 없겠지만 내부적으로 상장에 불리할 수 있는 요소를 모두 배제하기 위해 주관사 교체 논의까지는 진행해보려고 한다”고 말했다.
대신증권이 기술특례 성장성 상장 주관 자격에 대한 패널티를 받은 것은 상장을 주관한 사이버 보안 전문기업인 시큐레터에 올해 4월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시큐레터는 분식회계 의혹 등으로 지난 4월 5일 거래 정지됐다. 시큐레터는 지난해 재무제표에 대해 감사범위 제한으로 인한 '의견거절'을 받았다. 감사인 의견거절은 상장폐지 사유에 해당된다.
한편 대신증권은 최근 3년 동안 성장성 추천방식을 통한 특례상장 사례가 없던 만큼 향후 상장 주관에도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대신증권 관계자는 “최근 3년간 성장성 추천방식을 통한 특례상장은 단 한건도 없었다”며 “기술평가 방식을 통한 특례상장만 진행한 만큼 상장주관 역량에 영향은 없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Financial Index/SK그룹]주가상승률 50% 상회, SK스퀘어 'TSR' 그룹내 최고
- 금호타이어, 분기 '최대 매출'…영업이익은 '주춤'
- 유지한 SKC CFO "트럼프 관세, 위기보다 기회"
- [i-point]신테카바이오, 'K-BioX 글로벌 SUMMIT 6' 참여
- 간추려진 대명소노그룹 선택지, '티웨이'에 집중
- [감액배당 리포트]제주항공, 신속한 885억 감액…배당은 못했다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세아베스틸지주, 배당수익 3배 급증...분할회사도 첫 기여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공격적인 '외연 확장'…재무 키워드 '자산 확충'
- [중견 배터리사 점검]고려아연, 이차전지 3사 이사회 정비...전문경영인 CEO 도입
- [자사주 리포트]두산, 3분의 1만 소각하는 이유는
이채원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스포츠전략, 유관펀드 경험 AC 2곳 승기 잡을까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공공기술사업화, 기술지주 각축장…티인베 참전 이목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미래환경산업 사업화, 기후투자 초보 하우스 기회줄까
- [영상]‘메타가 탐낸’ 퓨리오사AI의 백준호 대표에게 들었다…회사의 향후 계획은
- [thebell note]VC가 실리콘밸리로 향할 때
- [VC 투자기업]아모지, 암모니아 수소변환 개발 총력…C레벨 충원
- '부산 연고' NVC파트너스, 부산혁신펀드 140억 결성
- [기술특례 상장 그후]‘목표치 훌쩍’ 씨어스테크놀로지, 아웃퍼폼에 주가 활짝
- [기술특례 상장 그후]실적 가이던스 지킨 에이치이엠파마, 성장 요인은
- [thebell interview]박세준 유니포트 대표 “정착 외국인 필수 앱 되겠다”